$\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AR 적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의료팀간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Simulation training applying SBAR for the improvement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skil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2, 2017년, pp.407 - 419  

하이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윤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연희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 적용에 중점을 둔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여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간호대학 3학년을 대상으로 호흡곤란 주제의 시나리오에 SBAR를 적용하는 사전, 사후시뮬레이션 진행 중 녹화된 25개의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SBAR 점수는 사후시뮬레이션에서 B단계의 '가장 최근에 측정한 활력징후 보고' 항목 (Z=-2.448, p=.014)과 '간호사가 판단한 상황' 항목 (Z=-3.46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SBAR 단계별 진행빈도는 사전시뮬레이션에서 SBA나 SBAR 단계로 진행된 경우가 없었으나 사후시뮬레이션에서는 48%로 증가하였다. 사후시뮬레이션에서 언급된 SBAR 평가항목별 빈도는 S단계의 환자이름 (96%), 간호사이름 (80%), B단계의 가장 최근에 측정한 산소포화도 (76%), S단계의 주증상 (60%)의 순서였다. 그러나 A단계에서 추가사정을 통한 간호사의 판단결과를 제시하는 것과 R단계의 추가처방 요청이나 의사의 직접 환자방문 요청은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SBAR 적용이 포함된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사와 의사간의 의사소통교육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 추후 의사와의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이 필요한 시뮬레이션교육에서 SBAR 적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with a focus on the application of SBAR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with physici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25 videos recorded pre/post-simulation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SBAR sc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사와 의사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향후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SBAR는 간호사와 의사 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사소통교육의 내용이 다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방식의 연결을 위한 표준화된 틀이며 (Guise와 Lowe, 2006),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토콜이자 평가도구로도 사용된다 (Cornell 등, 2014).
  • 본 연구는 환자안전에 영향을 주는 의료인간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SBAR를 적용한 시뮬레이션교육이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SBAR는 간호사와 의사 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사소통교육의 내용이 다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방식의 연결을 위한 표준화된 틀이며 (Guise와 Lowe, 2006), 의사소통을 위한 프로토콜이자 평가도구로도 사용된다 (Cornell 등,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이 SBAR를 적용한 간호사와 의사 간 의사소통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시뮬레이션교육을 실시 하고 간호학생의 의사소통 내용을 SBAR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만 동일한 연구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운 제한점을 먼저 밝혀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현재 상태나 변화를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수정할 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현재 상태나 변화를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수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의 보고에 따르면 사망 환자의 75%에서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문제가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로 의사소통장애는 환자에게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Leonard 등, 2004; Berkenstadt 등, 2008) 특히 간호사와 의사 간의 비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투약오류, 환자위해와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다 (Kesten, 2011).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장애가 발생할 경우 어떤 문제가 야기되는가?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현재 상태나 변화를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거나 수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의 보고에 따르면 사망 환자의 75%에서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문제가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로 의사소통장애는 환자에게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Leonard 등, 2004; Berkenstadt 등, 2008) 특히 간호사와 의사 간의 비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투약오류, 환자위해와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다 (Kesten, 2011).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장애는 근본적으로 의사소통교육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간호교육에서는 임상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교육하지만 의학교육에서는 진단과 관련된 축약된 내용으로 의사소통하게 한다 (O’Daniel과 Rosenstein, 2008).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JCAHO)의 보고에 따르면 사망 환자의 75%에서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문제가 관련이 있다고 할 정도로 의사소통장애는 환자에게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Leonard 등, 2004; Berkenstadt 등, 2008) 특히 간호사와 의사 간의 비효과적인 의사소통은 투약오류, 환자위해와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다 (Kesten, 2011). 간호사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장애는 근본적으로 의사소통교육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간호교육에서는 임상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교육하지만 의학교육에서는 진단과 관련된 축약된 내용으로 의사소통하게 한다 (O’Daniel과 Rosenstein, 2008). 이러한 차이가 일상적인 상황이 아닌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한 응급상황이나 복잡한 상황에서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의 흔한 장애요인이 된다 (O’Daniel과 Rosenstein, 2008; Riesenberg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ccreditation. (2016). Standard investigation for approval accreditation in critical health institute (ver.2.1.), Retrieved December 30, 2016, from http://www.koiha.kr/member/kr/board/establish/establish_BoardView.do 

  2. Achrekar, M. S., Murthy, V. Kanan, S., Shetty, R., Nair, M. and Khattry, N. (2016). Introduction of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into nursing practice: A prospective study. Asia-Pacific Journal of Oncology Nursing, 3, 45-50. 

  3. Beckett, C. D. and Kipnis, G. (2009).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31, 19-28. 

  4. Berkenstadt, H., Haviv,, Y., Tuval, A., Shemesh, Y., Megrill, A., Perry, A., Rubin, O. and Ziv, A. (2008). Improving handoff communications in critical care: Utilizing simulation-based training toward process improvement in managing patient risk. Chest, 134, 158-162. 

  5. Cornell, P., Gervis, M. T., Yates, L. and Vardaman, J. M. (2014). Impact of SBAR on nurse shift reports and staff rounding. Medsurg Nursing, 23, 334-342. 

  6. De Meester, K., Verspuy, M., Monsieurs, K. G. and Van Vogaert, P. (2013). SBAR improve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reduces unexpected death: A pre and post intervention study. Resuscitation, 84, 1192-1196. 

  7. Dunsford, J. (2009). Structured communication, improving patient safety with SBAR. Nursing for Women's Health, 13, 384-390. 

  8. Guise, J. M. and Lowe, N. K. (2006). Do you speak SBA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5, 313-314. 

  9. De Meester, K., Das, T., Hellemans, K., Verbrugghe, W. and Jorens, P. G. (2013). Impact of a standardized nurse observation protocol including MEWS after intensive care unit discharge. Resuscitation, 84, 184-188. 

  10. Han, H. (2016). A study of convergence on frequency of performance, self-confidenc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of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 355-362. 

  11. Jarvis, C. (2012). Physical examination & health assessment, 6th Ed., Elsevier Saunders, St. Louis, Missouri. 

  12. Kesten, K. S. (2011). Role-play using SBAR technique to improve observed communication skills in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 79-87. 

  13. Kim, E. M., Yu, M., and Ko, J. W. (2015). Development of nurse's handover stnadards between hospital units using SBA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 127-142. 

  14. Kim, H. Y., Jeong, Y. J., Kang, J. and Mun, H. S. (2016). The effect of SBAR reports on communication clarity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 105-113. 

  15. Kim, K. Y. and Lee, E. (2016). The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in nurses working in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451-461. 

  16. Krautscheid, L. C. (2008). Improving communication among healthcare providers: Preparing student nurses for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 1-13. 

  17. Leonard, D., Graham, S. and Bonacum, D. (2004). 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 i85-i90. 

  18. Liaw, S. Y., Scherpbier, A., Klainin-Yobas, P. and Rethans, J. J. (2011). Rescuing a patient in deteriorating situations (RAPIDS):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on recognizing, responding and reporting of physiological signs of deterioration. Resuscitation, 82, 1224-1230. 

  19. Marshall, S., Harrison, J. and Flanagan, B. (2009).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3,137-140. 

  20. Moon, M. Y. and Kim, M. Y. (2016). Influence of teamwork skill and decision making competency on nursing work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361-1373. 

  21. Noh, G. O., Son, H. K. and Kim, D. H. (2016). Effect of SBA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imulation practice on report clarity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 145-153. 

  22. O'Daniel, M. and Rosenstein, A. H. (2008).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 collaboration. In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edited by Hughes R.G.,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ockville, MD, 1-14. 

  23. Ozekcin, L. R., Tuite, P., Willner, K. and Hravnak, M. (2015). Simulation education: Early identification of patient physiologic deterioration by acute care nurses. Clinical Nurse Specialist, 29, 166-173. 

  24. Pope, B. B., Rodzen, L. and Spross, G. (2008). Raising the SBAR: How better communication improves patient outcomes. Nursing, 38, 41-43. 

  25. Potter, P. A., Perry, A. G., Stocker, P. A. and Hall, A. M. (2013). Fundamentals of nursing, 8th Ed., Elsevier, St. Louis, Missouri. 

  26. Riesenberg, L. A., Leitzsch, J. and Cunningham, J. M. (2010). Nursing handoff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0, 24-34. 

  27. Shin, H. and Shim, K. K.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 147-155. 

  28. Son, H., Kim, H. S., Koh, M. and Yu, S. J. (2011).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426-434. 

  29. Street, M., Eustace, P., Livingston, P. M., Craike, M.J., Kent, B. and Patterson, D. (2011). Communication at the bedside to enhance patient care: A survey of nurses' experience and perspective of hand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7, 133-140. 

  30. Thomas, C. M., Bertram, E. and Johnson, D. (2009).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34, 176-180. 

  31. Woodhall, L. J., Vertacnik, L. and McLaughlin, M. (2008). Implementation of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in a tertiary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 314-317.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Human factors in patient safety, review of topics and tools, Report for methods and measures working group of WHO patient safety, WHO, Geneva. 

  33. Yu, M. and Kang, K. J. (2015). SBAR report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larity of handover in Korean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7, 189-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