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at were cohort quarantined dur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outbreak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175 - 184  

정희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최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건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김지영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정선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감염병 유행 시 간호사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메르스 대유행 시에 코호트 격리된 3개의 병원에서 메르스 확진환자나 의심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메르스 확진 혹은 의심환자를 직접 돌보지는 않았으나 이들 환자가 있는 병동 혹은 병원에 근무한 267명의 간호사이다. 원 자료의 수집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기간과 평소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메르스 확진환자를 직접 간호한 간호사들의 경우 높은 메르스 스트레스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p<.001) 이직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할 수 있는 메르스 환자 간호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간호사가 경험한 메르스 스트레스보다 평소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성공적인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특수한 상황에서의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 뿐 아니라 평소 직무특성을 고려한 스트레스 완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at were cohort quarantined dur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outbreak.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nurses from three hospitals that cam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diagnosed MERS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메르스 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에서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서, 추후 새로운 감염병 대유행 시 간호사의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르스는 무엇인가?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 MERS) 는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CoV)에 의해 야기되는 새로 출현한 감염병으로[1], 2012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심각한 폐렴환자에게서 최초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2]. 2017년 1월 15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27개국에서 1,879명의 실험실 확진 (laboratory-confirmed) 메르스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중 659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3].
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영향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외상 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감정노동, 소진 및 임파워먼트 등이 있으며[10-12], 이 중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 후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13-15]. 특히 감염병 대유행 시 간호사가 경험하는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제시 되고 있으며[16-17], Shiao 등[18]은 SARS 대유행 기간 동안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증가와 SARS의 치사율과 관련된 위험인식이 이직의도의 예측인자라고 하였다.
간호사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준 해외의 감염병 대유행 사례는? 감염병 대유행 시 간호사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감염 위험 및 안전에 대한 위협,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2003년 타이완에서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대유행 당시 환자간호에 참여한 간호사는 의료진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에서 메르스 감염사례가 보고된 대표적인 3개의 의료기 관에 종사하는 1,031명의 보건의료종사자 중 70.4%가 직장에서 메르스에 감염될 위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87.8%가 직장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7]. 우리나라에서 메르스 집중치료병원 간호사의 경우, 감염병에 대한 정보, 관리 및 지원 부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8], 메르스 감염 환자 치료 병원 15곳에서 근무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 스트레스, 메르스 치료에 대한 병원의 불충분한 자원, 가족 및 친구들의 지지 부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ternet] Osong (Chungcheongbuk-d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ited 2017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coronavirus/mers/index.html (accessed Jan., 10, 2017) 

  2. A. M .Zaki, S. V. Boheemen, T. M. Bestebroer, R. A. M. Fouchier, "Isolation of a novel coronavirus from a man with pneumonia in Saudi Arabi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7, no. 19, pp. 1814-1820, 2012. DOI: https://doi.org/10.1056/NEJMoa1211721 

  3.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MERS-CoV) [Ienternet].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cited 2017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emergencies/mers-cov/en/. (accessed Oct, 10, 2012)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ormation[Internet]. Osong (Chungcheongbuk-d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ted 2017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mers.go.kr/mers/html/jsp/Menu_H/content_H 1.jsp?fid5769&cid63450 (accessed Jan, 10, 2017)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RS Data[Internet]. Osong (Chungcheongbuk-d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ited 2017 Jan 10], Available From: http://www.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 ?menuIds&fid21&q_type&q_value&cid64256&pa geNum1(accessed Jan, 10, 2017) 

  6. C. S. Chen, H. Y. Wu, P. Yang, C. F. Yen, "Psychological distress of nurses in Taiwan who worked during the outbreak of SARS", Psychiatric Services. vol. 56, no. 1, pp. 76-79, 2005. 

  7. M. A. Abolfotouh, A. A. AlQarni, S. M. Al-Ghamdi, M. Salam, M. H. Al-Assiri, H. H. Balkhy, "An assessment of the level of concern among hospital-based health-care workers regarding MERS outbreaks in Saudi Arabia", BMC Infectious Diseases, vol. 17, no. 1, pp. 4. 2017. DOI 10.1186/s12879-016-2096-8 

  8. K. J. June, E .Choi, "Infection control of hospital nurses: Cases of middle east respira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5, no. 1, pp. 1-8, 2016.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1 

  9. J. S. Kim, J. S. Choi, "Factors influencing emergency nurses' burnout during an outbreak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vol. 10, no. 4, pp. 295-299, 2016. DOI: https://doi.org/10.1016/j.anr.2016.10.002 

  10. Y. S. EO, "Path Analysis of empowermen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3, pp. 1683-1697, 2015. 

  11. M. S. Song,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741-3750,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6.3741 

  12. H. R. Shin, Y.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8, no. 8, pp. 3958-3970, 2013. DOI: http://doi.org/10.5762/KAIS.2013.14.8.3958 

  13. J. W. Han, B. S. Lee, "The relationship of post-traumatic str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3, pp. 340-350,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3.340 

  14. Y. L. Lee, S. H. Ahn, "Impa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2, no. 1, pp. 30-39, 2015. DOI: https://doi.org/10.5953/JMJH.2015.22.1.30 

  15. H. R. Shin, Y. C.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 no. 8, pp. 3958-3970,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958 

  16. C. S. Chang, P. L. Du, I. C. Huang, "Nurses' perception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4, no. 2, pp. 171-179, 2006.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796.x 

  17. R. Maunder, J. Hunter, L. Vincent, J. Bennett, N. Peladeau, M. Leszcz, J. Sadavoy. L. M. Verhaeghe, R. Steinberg, T. Mazzulli, "The immediate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impact of the 2003 SARS outbreak in an teaching hospital",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 168, no. 10, pp. 1245-1251, 2003. 

  18. J. S. Shiao, D. Koh, L. H. Lo, M. K. Lim, Y. L. Kuh, "Factors predicting nurses consideration of leaving their job during the SARS outbreak", Nursing Ethics. vol. 14, no. 5, pp. 5-18, 2007. DOI: https://doi.org/10.1177/0969733007071350 

  19. E. E. Lawl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Hackman JR, Lawler EE, Porter LW, editors. Perspectives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2nd ed. pp. 78-97, New York: McGraw-Hill; 1983. 

  20. H. S. Park,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2. 

  21. S. J. Oh, S. H. Shin, G. Y. Go, B. Pratibha, "The effect of job str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es: mediating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trateg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6, no. 2, pp. 149-158, 2014. DOI: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49 

  22. A. J. Hall, J. I. Tokars, S. A. Badreddine, Z. B. Saad, E. Furukawa, M. Al Masri, L. M. Haynes, S. I. Gerber, D. T. Kuhar, C. Miao, S. U. Trivedi, M. A. Pallansch, R.Hajjeh, Z. A. Memish, "Health care worker contact with MERS patient, Saudi Arabi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20, no. 12, pp. 2148-2152, 2014. 

  23. M. Loeb, A. McGeer, B. Henry, M. Ofner, D. Rose, T Hlywka, J. Levie, J. McQueen, S. Smith, L. Moss, A. Smith, K. Green, S. D. Walter, "SARS among critical care nurses, Toron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10, no. 2, pp. 251-255, 2004. DOI: https://doi.org/10.3201/eid1002.030838 

  24. S. K. Park, J. O. Kim, Y. C. Cho,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9, pp. 3887-3896,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9.3887 

  25. Y. J. Son, H. H. Gong, M. A. You, S. S. Gong,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 pp. 515-530, 2015. 

  26. M. O. Oh, M. H. Sung, Y. W. Kim,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pp. 215-227, 2011. 

  27. S. H. Yoo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 463-470, 2009. 

  28. H. R. Yi, M. K. Shin, "Factors affect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verbal violence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1, pp. 15-25, 2013. 

  29. Y. C. Lu, Y. Y. Chang, B. C. Shu, "Mental symptoms in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s during the SARS attack: A follow-up study", Psychiatric Quarterly, vol. 80, no. 2, pp. 107-116, 2009. DOI: https://doi.org/10.1007/s11126-009-909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