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지 해양환경 연구를 위한 웹GIS 구축
Development of Web Based GIS for Polar Ocean Research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1, 2017년, pp.15 - 25  

지준화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현창욱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김현철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주형민 (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  양은진 (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  박호준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 ,  강성호 (극지연구소 극지해양과학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제적으로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자원개발, 북극항로개척 등 남/북극을 통합한 양극해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양극해 진출과 국제적 위상제고를 위하여 극지연구소에서는 2010년부터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하여 현장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극지 해양 관측 자료를 획득하여 양극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 나아가 양극 해양환경 웹GIS 서비스 개발을 통해 양극해에서 획득한 해양 환경정보에 대한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본 시스템을 통해 연구 자료의 수집, 현장관측 자료의 표준화, 연구 자료의 가시화와 공간정보도 제작 등의 기능을 구현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극지 해양 관측 자료의 접근성을 높여 국내 연구진뿐만 아니라 전 세계 극지 해양 연구자들 간의 정보 공유를 기대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여 극지 해양연구의 질적, 양적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polar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climate change, natural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a new North Pole Route. Since 2010,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has been collecting various in situ data from the Arctic/Antarctic oceans using ARAON, which is the first effort of Korea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PC버전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어려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연구 자료를 개별적으로 가시화해서 이전 자료들과 비교 확인함으로써 현장연구의 효율성을 높였다. 그밖에 연구항차와 관련된 항차보고서, 관련 현장사진 및 관련 연구논문 등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조사 경험이 없는 자료 사용자가 현장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 이에 극지연구소에서 기보유하고 있는 양극해 해수 및 해저환경정보(해양물리, 해양화학, 해양생물 및 해양지질 등)에 대한 GIS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웹 기반 GIS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해수 및 해저환경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자료의 검색, 정보의 확인 및 전 세계의 극지해양 연구자들간의 정보공유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현장관측 자료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여 p-WebGIS에서 기 구축된 DB를 극지 현장연구에서 획득한 자료와 비교, 분석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현장연구의 편의성 제고 및 연구활동 활성화를 증대시키고, p-WebGIS를 통하여 가시화가 이루어지는 환경주제도를 지도집 형태로 출력 가능하고자 하였다.
  • 본 시스템의 목적은 전 세계 극지해양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해양환경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속적인 자료의 공유를 통해 연구의 질과 양 모두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자별로 각기 다른 형태로 획득된 관측 자료를 공간자료의 형태로 손쉽게 변환되어야 한다.
  • 하지만 자료의 표준화와 공유 창구의 부재는 더욱 활발한 자료 공유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쇄빙연구선 아라온을 이용하여 양극 해양에서 획득한 해양 및 지구물리 관측 자료를 공간 정보화하여 웹GIS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직관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획득이 어려운 극지해양자료를 국내 연구자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영국 등 국제공동연구 그룹과 활발하고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함으로써 극지해양환경 연구의 질적, 양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극해역의 효율적인 극지해양 과학영토 관리 및 환경변화 대응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우리나라의 극지연구에 대한 국가적 입지가 가파르게 상승되고 있으나, 급격한 양극 해양 환경변화에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빈약하고 극지인프라(남극 세종과학기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북극 다산과학기지, 쇄빙연구선 아라온)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지역 다변화 및 핵심 연구 역량 부족 등 절대 규모면에서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2009년 11월 국적 쇄빙연구선 아라온을 보유함으로써 양극해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환경변화 현상에 대한 특성 이해 및 시공간 규모의 해수 및 해저 공간정보도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극지 해양탐사의 국제적인 리더쉽 확보가 가능해지고, 미래 극지해역 활용 기반 구축을 위한 양극해 통합 공간정보도 사업을 수행할 능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미래의 극지해 활용 기반 수립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극지해 연구 추진방식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태평양측 양극해(북극항로 주변 서북극해, 서남극 로스해 주변)의 해양환경을 비교할 수 있는 종합 공간 정보도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과거 단일지역 연구에서 양극해역 통합 비교 연구로 전환하여 단계별로 연구대상 지역을 구분하여 집중적이고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 추진을 통해 양극해역의 효율적인 극지해양 과학영토 관리 및 환경변화 대응이 필요하다(Kim, 201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p-WebGIS는 어떤 시스템인가요? p-WebGIS는 웹 기반의 양극해 시/공간 해수/해저 종합 환경도 작성과 활용시스템으로 양극해역에서 쇄빙연구선 아라온을 이용하여 획득한 연구 자료의 개방 및 공유로 환경변화 현상에 대한 이해와 연구 활동을 돕고, 극지 글로벌 이슈에 대한 국가 대응 전략의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남극해와 북극해의 기본도 및 양극해에서 획득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포맷 변환, 극좌표계 변환 등 웹 GIS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하여 자료의 입출력 및 가시화 기능을 웹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p-WebGIS는 무엇을 제공하나요? p-WebGIS는 연구해역 위치를 검색하고 연구정점의 수온, 염분, 밀도 등의 해저환경자료 및 해양환경도를 공간적으로 가시화하고 통계 그래프 생성 등의 기능을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 1은 본 시스템에서 제시하고자하는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프로그램 메뉴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으로 기본 지도제어 기능, 래스터/벡터 레이어 관리, 3차원 가시화 기능, 현장자료 검색/다운로드/업로드 등의 사용자 기능과 사용자통계, 데이터/시스템코드 및 심볼 관리 등 관리자 기능을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ctic Sea Ice Monitoring System. 2016. http://seaice.kma.go.kr (Accessed September 4, 2016). 

  2. ArkGIS. 2016. http://www.arkgis.org (Accessed September 4, 2016). 

  3. Kim, J.M., Y.S. Choi, and H.J. Park. 2014a.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the arctic geospatial information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85-86 (김재명, 최윤수, 박호준. 2014. 북극지역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85-86쪽). 

  4. Kim, M.K., D.B. Shin, and J.W. Ahn. 2014b.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ning of spatial information portal for polar reg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149-152 (김민경, 신동빈, 안종욱. 2014. 극지공간정보포털의 고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149-152쪽). 

  5. Kim, O.S. 2011. Global polar research. Science & Technology Policy. 182:86-95 (김옥선. 2011. 해외 극지 연구현황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182:86-95). 

  6. Korea Polar Portal Service. 2016. http://www.koreapolarportal.or.kr (Accessed September 4, 2016). 

  7. Marine Regions. 2016. http://www. marineregions.org (Accessed September 4, 2016).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the Arctic geospatial information in Korea. pp.1-250 (국토교통부. 2013. 북극지역 공간정보 구축 기본계획연구. 1-250쪽)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Korea-Polar ocean in rapid transition. pp.1-1039 (해양수산부. 2016. 양극해 환경변화 이해 및 활용연구. 1-1039쪽). 

  10.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16. http://www.ngdc.noaa.gov (Accessed September 4, 2016). 

  1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8.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sign and mapping for the polar regions. pp. 1-345 (국토지리정보원. 2008. 극지역 측량 및 지도제작 기본계획 수립 연구. 1-345쪽). 

  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2. Antarctic surveying and mapping in 2011. pp.1-313 (국토지리정보원. 2012, 2011년 남극지역 측량 및 지도제작. 1-313쪽). 

  13. National Snow & Ice Data Center. 2016. http://www.nsidc.org (Accessed September 4, 2016). 

  14. Polar Spatial Data Service. 2016. http://nps.ngii.go.kr (Accessed September 4, 2016). 

  15. p-WebGIS. 2016. http://kport.kopri.re.kr. 

  16. Quantarctica. 2016. http://www.quantarctica.org (Accessed September 4, 2016). 

  17.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6. http://www.usgs.org (Accessed September 4, 2016). 

  18. Yeon, Y.K. and J.G. Han. 2013.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s-based web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1):47-58 (연영광, 한종규. 2013. 표준기반 웹 지리정보 서비스구현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1):47-58). 

  19. Yun, H.C., G.S. Kim, K.D. An, and S.H. Lee. 2009. Antarctic mapping status analysis for spatial information infra construction of polar region. Proceedings of the 35th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 1608-1611 (윤희천, 김경수, 안기덕, 이상호. 2009. 극지역의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한 남극 매핑 현황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608-1611쪽). 

  20. Yoon, G.S. and K.W. Lee. 2016. Application of OGC WPS 2.0 to geo-spatial web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3):16-28 (윤구선, 이기원. 2016. 공간정보웹서비스에서 OGC WPS 2.0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3):16-28). 

  21. Lee, G.C., S.H. Suh, S.R. Cho, C.S. Han, C.H. Park, H.S. Roh, E.H. Kim, J.H. Kim, J.H. Park, and Y.S. Suh. 2006. A study on constructive method and the practical use of marine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2):126-143 (이기철, 서상현, 조승래, 한창석, 박창호, 노홍승, 김은형, 김진후, 박종화, 서영상. 2006. 해양GIS 구축 및 활용방안연구 9(2):126-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