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환경공간정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by Environmental Spatial-Information Using Text-Mining 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1, 2017년, pp.113 - 126  

오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박보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윤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분야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연구 동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 논문으로 총 869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에서 추출된 단어들은 "환경일반", "기후", "대기", 등 환경 분야 10개, "위성영상", "수치지도", "재난재해" 등 환경공간정보 20개로 설정된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 되었다. 재분류된 분류 키워드를 통해, 논문에서 해당 키워드의 출현 빈도 및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상호 간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일반"(40.85%)이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 (24.87%)이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환경 분야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으며, 활용 비율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연관분석 결과 총 80개의 연관 규칙이 생성되었으며, 환경 분야 중 "환경일반"이 "위성영상", "전자지도" 등 총 17개의 환경공간정보와 가장 많은 수의 연관 규칙을 생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research that utilize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olog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69 paper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환경 공간정보의 환경 분야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위한 연구 자료는 국내에서 발행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 본 연구에서는 전술된 연구 방법에 따라 환경 분야 활용의 관점에서 국내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이에 수집된 연구 자료의 전처리 과정으로부터 추출된 각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 분류 키워드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 시계열 분석, 연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관분석의 척도는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 도(lift)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분야별 활용된 환경공간정보의 빈도, 시계열 경향, 연관성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최근 20년(19 96년-2015년)동안 발간된 환경공간정보가 활용된 환경 분야 국내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 한편, 선행된 연구들은 공간정보 및 GIS 기술에 대한 동향 분석으로 환경 분야와의 관련성은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정보의 환경 분야 활용의 관점에서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환경 분야 10개, 환경공간 정보 20개로 구분된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환경 분야 및 환경공간정보 별 빈도, 추이, 연관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는 남북한 전체를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국내 환경공간정보는 환경부 주도로 1998년 구축된 전국 단위 대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는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의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남북한 전체를 7개 대분류(시가화 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및 수역 등)로 구분하였다(Oh et al., 2016).
텍스트 마이닝이란 무엇인가? 텍스트 마이닝은 Feldman and Dagan(1995)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지적 발견(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이라는 개념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기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연어(문자정보) 처리를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문헌의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이다(Feldman and Hirsh, 1996). 또한 기계적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이 관심을 가지는 자연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Hotho et al.
본 연구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위한 연구 자료로 국내 자료만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위한 연구 자료는 국내에서 발행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왜나 하면, 국내에서 생성된 환경공간정보는 국내 연구 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연구 논문 이외의 신문기사, 블로그 등의 자료 등은 본 연구의 전문성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K.Y., J.H. Park, J.S, Kim, and Y.S. Lee. 2013. Analysis of the abstracts of research articles in food related to climate change using a text-mining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6):1429-1437 (배규용, 박주현, 김정선, 이영섭. 2013.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관련식품분야 논문초록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6):1429-1437). 

  2. Cho, H.G., Y.S. Kim, and S.E. Kim. 1998. A study on circula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8-38 (조혜경, 김영섭, 김상은. 1998.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8-38). 

  3. Feldman, R. and H. Hirsh. 1996. Mining associations in text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343-346. 

  4. Feldman, R. and I. Dagan. 1995.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 (KDT).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112-117. 

  5. Hotho, A., A. Nurnberger, and G. Paass. 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20(1): 19-62. 

  6. Kim, H.J. and J,Y. Chang. 2011. Discovering news keyword associations using association rul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1(6):63-71 (김한준, 장재영. 2011. 연관 규칙 마이닝을 활용한 뉴스기사 키워드의 연관성 탐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11(6):63-71). 

  7.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http://www.nsdi.go.kr(Accessed June 1, 2016) 

  8. Lee, M.S., C.H. Lee, and J.Y. Kim. 2014. Big data analysis on demands for environmental policie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pp.47 (이미숙, 이창훈, 김지연. 빅데이터를 활용한 환경분야 정책수요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47쪽). 

  9. Lim, S.Y., M.S, Yi, G.H. Jin, and D.B, Shin. 2014a.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the area of geospatial-information using text-mining technique focused on national R&D reports and thes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2 (4):11-20 (임시영, 이미숙, 진기호, 신동빈. 2014.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공간정보 분야의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국가연구개발사업 보고서 및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2 (4):11-20). 

  10. Lim, S.Y., Y.M. Lim, and J.Y. Lee. 2014b. Study on the trends of U-City and smart city researches using text min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2(3):87-97 (임시영, 임용민, 이재용. 2014.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3):87-97). 

  11. Mindsinsight. http://www.mindsinsight.co.kr. (Accessed November 1, 2016). 

  12.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http://www.ndsl.kr(Accessed June 1, 2016). 

  13. Sakong, H.S. and K.H. Seo. 2007. A review on GIS research trends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 -focus on the GIS journals published from 1993 to 2006-.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3): 104-112 (사공호상, 서기환. 2007. 내용분석 기법을 활용한 GIS관련 연구 동향 분석- 최근 14년(1993-2006)간 학회지 투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104-112). 

  14. Shin, H.S., O.J. Kwon, Y.D. Koo, Y.W. Shon, and Y.C. Bae. 2013. Scientometric analysis through linkage relation of keywor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10):1467-1475 (신현식, 권오진, 구영덕, 손영우, 배영철. 2013. 키워드 연결 관계를 통한 계량정보 분석. 전자통신학회 8(10):1467-1475). 

  15. Oh. K.Y., M.J. Lee, and W.Y. No.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land cover map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105-118 (오관영, 이명진, 노우영. 2016.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환경부 토지피복지도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2):105-118). 

  16. Yun, H.C., K.S. Min, and M.G. Kim. 2010.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91-101(윤희천, 민관식, 김민규. 2010.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 91-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