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several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0 no.2, 2017년, pp.23 - 34  

양혜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윤리는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윤리와 다르게 정보윤리 교육을 해야 하는 정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내용 지식의 정도를 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2002학년도 부터 2016학년도까지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의 정보윤리 내용을 분석하고, 32개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4학년도 임용시험부터 10회의 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문항이 출제되었다. 둘째, 임용시험 초기에는 역기능에 관한 문항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나, 2010학년도 이후로 저작권, 정보보안, 다양한 중독 관련 문항이 많았다. 셋째, 정보교사 양성기능이 있는 32개의 교육대학원 중 11개(33%)에만 정보윤리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윤리 관련 문항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고, 정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ethic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that occur in information technology, had been comprised of one unit ever since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07 from whence 'informatics'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course, and has remained so even after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중등 정보교사를 양성하는 전국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 현황 파악하는 것이다.
  • 사회심리이론의 모형을 분석하여 정보윤리행동 예측 모형을 설계하고,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과거 행동 등이 정보윤리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17]. 반성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비판적 사고와 책임윤리를 통해 공감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다. 즉, 반성적 실천지향 정보통신윤리 교육 절차를 제안하였다[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교사에게 요구되는 정보윤리 내용지식과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등교사 임용시험-정보·컴퓨터 과목의 기출문제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교사에게 정보윤리와 관련해 어느 정도의 내용 지식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고, 정보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원에서 정보윤리를 가르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절차는 [그림 4]와 같다.

가설 설정

  • 넷째, 용어의 통일이 요구된다. 정보윤리는 <표 9>과 같이 과목명과 기본이수과목, 임용시험 문제,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 ‘정보통신윤리’, ‘인터넷윤리’ 등의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3][4][5][33][38].
  • 첫째, 분석대상과 분석기준과의 일치도 측면이다. 10개의 문항 중 6개의 문항이 ‘완전일치’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윤리는 무엇에 관한 것인가? 정보윤리는 정보기술의 올바른 이용에 관한 것으로, 일반윤리와는 구별된다.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정보윤리는 정보사회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역량으로 제시되었다[3][4][5].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교육과정은 어떤 교육과정인가? 정보윤리는 정보기술의 올바른 이용에 관한 것으로, 일반윤리와는 구별된다.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정보윤리는 정보사회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역량으로 제시되었다[3][4][5].
컴퓨터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컴퓨터 윤리학을 Moor는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정보윤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컴퓨터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컴퓨터 윤리학을 모체로 하고 있다. Moor(1995)는 컴퓨터 기술이 아주 새로운 형태의 특수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컴퓨터 윤리학은 컴퓨터 기술의사회적 본질과 영향력을 분석하여 컴퓨터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정책의 입안과 정당화를 그 목표로 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였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김동주, 하은용(2015). 컴퓨터화에 따른 대학 정보화 교육의 방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33-40. 

  2. 김자미, 이원규(2010).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한국정보교육학회, 14(2), 219-228.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0.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0. 교육부. 

  6. 추병완(2003). 정보윤리학에 대한 서양철학적 접근. 범학철학회논문집, 29(-), 35-55. 

  7. Philip Brey(2000). Method in computer ethics: Toward a multi-level interdiciplinary approach.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2), 125-129. 

  8. Luciano Floridi(2002). Information ehtic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mputer ethics. Eth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1), 37-56. 

  9. OECD(2010). Education at a glance, Education Indicators. Paris : OECD Publishing. 

  10. 조성환, 김성식(2008). 학습자 입장에서 살펴본 교원양성 대학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모델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3), 33-41. 

  11. 박수정(2016).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성찰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829-846. 

  12. Moor, J. H(1995). What is Computer Ethics? Computer, Ethics and Social Values. Englewood Cliffs. 

  13. 류지민, 김길모, 조성환, 김성식(2010). 리코나의 통합적 인격을 적용한 정보통신윤리 수업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14(3), 329-339. 

  14. 강오한(2014). 2009 개정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정보과학과 정보윤리'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2), 1-9. 

  15. 곽정은, 전현석, 김길모, 김성식(2012). 정보윤리 담당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 도출 및 검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5), 1-10. 

  16. 김민선, 김한성, 이원규(2012).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4), 13-24. 

  17. 김길모, 김성식(2012). 청소년의 정보윤리행동 예측 모형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1), 23-31. 

  18. 유상미, 김미량(2010). 실천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위한 사이버 일탈행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5), 51-70. 

  19. 조성환, 김성식(2008). Delphi와 AHP를 활용한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 의식 측정 요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6), 1-9. 

  20. 박찬정(2007).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초.중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 수업 설계 요소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1), 9-19. 

  21. 신미진, 이재운, 김성식(2006). 사이버 공간상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통한 정보통신윤리 의식 합양 교수-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3), 97-107. 

  22. 한건우, 이재운, 이영준(2006). 인터넷 유해정보 실태 및 중등학생에 대한 교육적 보호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3), 1-11. 

  23. 윤미선, 김명주, 박정호(2015). 사이버불링 경향성 진단도구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2), 59-70. 

  24. 김택헌(2013). 교원양성기관에서 인터넷윤리 교육의 필요성 및 강화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2), 1-8. 

  25. 박찬정, 김형철, 고영민, 현정석, 김철민(2010). 청소년 인터넷 중독 검사 방법의 통계적 고찰 및 개선-Young의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4), 41-50. 

  26. 김경호, 차은진(2012). 중학생의 인터넷중독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윤리의 매개 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2(2), 364-401. 

  27. 교육인적자원부(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 기술교육 운영지침. 교육인적자원부. 

  28. OECD(2013).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 Using Evaluation to Improve Teaching, Paris: OECD Publishing. 

  29. 박준기(2011).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9(4), 417-437. 

  30. 구원회(2016). 교사 전문성 발달 과정의 특성이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467-504. 

  31. 한명희(1997).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과정 구조의 논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35(5), 171-194. 

  32. Shulman, L. S(1986a).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www.kice.re.kr. 

  34. 교육부(2016). 2016 교원양성기관현황. 

  35. 교육부(2016). 2016 교원자격검정 실무 편람. 

  36. 김자미(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3), 35-53. 

  37.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개정, 제761호, 2000.1.28.] 

  38.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2-27호(2012.11.21.) [별표 3] 

  39. 김자미, 윤일규, 이원규(2011).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중등교육연구, 59(2), 381-414. 

  40. 김대윤, 이민형, 최문성(2016). 한국안광학회지 게재 논문의 주제어와 MeSH 용어의 비교.분석. 한국안광학회지, 21(2), 83-90. 

  41.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IEEE Computer Socie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2001), Computing curricula 2001 computer science. 

  42.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IEEE Computer Society (2008), Computer science curriculum 2008: An interim revision of CS 2001. 

  43.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44. Thomas Lickona(1998). 인격교육론. 백의. 

  45. 김자미, 이원규(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5), 27-40. 

  46. 이홍우, 유한구, 장성모(2006). 교육과정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