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e Manager and Peer Group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on Intention to Reten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3 no.2, 2017년, pp.191 - 200  

공문연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e manager and peer group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on intention to ret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29 nurses who had worked for over 6 months in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J province.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관리자 돌봄-배려행위,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와 재직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 재직의도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들이 지각한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 재직의도 정도를 파악하고, 지각된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와 환자 관계측면에서의 간호업무와 관련한 돌봄을 탐색하였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간호사 동료 간의 관계 측면에서 돌봄 행위에 접근하였고,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 및 재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 강화를 통한 재직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일 지역의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본 추출의 편중이 있을 수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 재직의도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지각된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재직전략 개발과 환자 간호의 질 향상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관리자와 동료 간의 돌봄행위와 재직의도간의 상관성은 무엇인가? Longo [14]와 AbuAlRub [16]은 간호관리자와 동료 간의 돌봄행위가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간호관리자와 상사로부터 칭찬과 지지를 받고, 간호사 간에 서로 배려하는 관계가 형성되면 간호사의 재직의도는 증가하며, 재직하는 간호사가 이직하는 간호사보다 동료 유대감이 더 강하고, 상사의 지지를 더 많이 받는다[13,17]. 또한 간호관리자나 간호사 동료의 사회적 ․ 정서적 지지나, 간호사 동료 간의 돌봄 관계 유지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결국 높은 직무만족은 재직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15-18]. 따라서 간호관리자의 돌봄-배려행위와 동료 간 돌봄-배려행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
간호학이란? 간호학은 각 개인의 고유한 독자적 특성과 상황을 염두에 두고 안위를 도모하며 돌봄(caring)을 실천하는 학문으로써 돌봄은 간호의 본질이며 간호 실무를 위한 가장 중심적이고 통합적인 핵심이다[1]. 모든 사람들은 돌봄을 주고받는 존재로 관계의 본질은 돌봄을 통해 변형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돌봄은 강화되며, 또한 돌봄 환경에서 개인들은 타인으로부터 자신이 인식되어지고 존경받으며,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2].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9%와 비교했을 때 약 5배 정도 더 높은 수치이다[9]. 이러한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에 역효과를 가져오며 질적으로 우수한 간호를 제공할 수 없게 한다[10]. 그러므로 이직문제에 대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법으로 이직의 유발 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제거하고, 구성원들이 현재의 조직에 재직하고자 하는 요인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tson, J.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A theory of nursing. Norwalk, Conn.: Appleton-Century-Crofts; 1985. 

  2. Boykin A, Schoenhofer SO. Nursing as caring: A model for transforming practice. London: NLN Press; 2013. 

  3. Godkin J, Godkin L. Caring behaviors among nurses: Fostering a conversation of gestures.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04;29(3):258-267. 

  4. Longo J. Acts of caring: Nurses caring for nurses.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1;25(1):8-16. http://dx.doi.org/10.1097/HNP.0b013e3181fe2627 

  5. Turkel MC. A journey into caring as experienced by nurse managers.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3;7 (1):20-26. 

  6. Park EO, Kim JH. The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toward nurses in hospitals in Jeju Province. Journal of Korean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212-202.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212 

  7. O'Connell B, Young J, Brooks J, Hutchings J, Lofthouse J. Nurses' perceptions of the nature and frequency of aggression in general ward settings and high dependency area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0;9(4):602-610.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0.00401.x 

  8.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tatus of hospital nurse staffing on 2014.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9. Statistics Korea. Industrial workforce survey: Annual employment statistics[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March 2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8&tblIdDT_118N_MONA31&vw_cdMT_ZTITLE&list_id118_ATITLE_1_118_ATITLE_13_P4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10. Kim MJ. The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11. Hayes LJ, O'Brien-Pallas L, Duffield C, Shamian J, Buchan, J, Hughes F, et al.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2):237-263.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1.10.001 

  12. Ko HJ, Kim JH. Relationships among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 22(3):279-291.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79 

  13. Lee EH, Cho KS, Son HM. A study of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keep nursing job.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1):15-27. 

  14. Longo J.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ager and peer caring to registered nurs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stay.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9;13(2):27-34. 

  15. Cowin LS. The effects of nurses'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32(5):283-291. 

  16. AbuAlRub RF.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 36(1):73-78.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4.04016.x 

  17. Hayhurst A, Saylor C, Stuenkel D. Work environmental factors and retention of nurs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5; 20:283-288. https://doi.org/10.1097/00001786-200507000-00015 

  18. Park JO. The effect of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tention intention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15. 

  19. Lee MS. Practice of ethics counseling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2014;35:1-25. 

  20. Park BC. The method of applicating care ethics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Moral and Ethics Education. 2005;20:241-264. 

  21. Kong BH. Art of caring in nursing. Philosophy of Medicine. 2007;3:97-116. 

  22. Lee BS.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of caring to evaluate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3):653-667. 

  23. Kim JH, Kong MY, Oh Y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431-442. https://doi.org/10.4040/jkan.2016.46.3.431 

  24. Hughes LC.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aring peer group interactio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8;37(5):202-207. 

  25. Kim MR.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8. 

  26. Kwon JA. Clinical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intention on reten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27. Jang SO.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d nurse's leadership in general hospital nursing system [master's thesis]. Chu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6. 

  28. Sohn IS, Han SS. Estimative factors and probability whether it is desire or no on the transfer of nurses’ duty po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4):571-583. 

  29. Lee EH. The attitude toward division transfer, job stres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division transfer experience of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3. 

  30. Tourangeau AE, Cranley LA.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determin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5(4):497-509. http://doi.org/10.1111/j.1365-2648.2006.03934.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