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이프약국 금연서비스의 성공요인
Success Factors for the Smoking Cessation Service of the Safe Pharmacy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7 no.1, 2017년, pp.38 - 43  

강은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박혜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Seoul City has implemented the Safe Pharmacy in 2013.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the success factors of the smoking cessation service of the Safe Pharmacy. Methods: The data for the smoking cessation registration cards were obtained from the pharmacies which participated in 2014 Saf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이프약국 사업에서 금연서비스를 계속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약국에서의 금연서비스를 국가 차원으로 확대 적용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진행된 세이프약국의 금연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이프약국 2차년도인 2014년의 금연서비스 자료를 활용하여 약국에서의 금연서비스의 효과를 4주 금연성공여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7) 약국 환경으로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는 상담실을 확보하는 것이 약국에서의 금연서비스 확대를 위해 중요하다. 약사들이 시간에 쫓기는 것 또한 중요한 약국 환경 요소이다.
  • 2) 이는 영국의 2007년 금연클리닉 4주 금연성공률 53%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3) 그러나 금연클리닉은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 2015년 남성흡연율은 3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여 약국 선정 절차는 어떻게 되는가? 금연사업에 있어서 약국이 제한적인 역할만 담당하고 있는 국내 현실에서 서울특별시는 약국이 가진 접근성과 대상자의 포괄성에 주목하고 의료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 약력관리 사업에 금연상담과 자살위험 스크리닝을 추가한 세이프약국 사업을 2013년에 도입하였다.10) 참여 약국 선정 절차는 일단계로 공모를 통해 자치구를 선정하고, 선정된 각 구의 약사회에서 약사 1.5명 이상, 처방조제건수 100건 내외 등 상담을 위한 약사인력 확보여부, 상담 공간, 사업수행의지 등을 기준으로 약국을 선정하였다. 1차년도인 2013년에는 강서구, 구로구, 도봉구, 동작구 등 4개구에서 48개 약국이 참여하였고, 2014년에는 강서구, 구로구, 도봉구, 동작구에 강북구와 중구가 추가되어 6개 구에서 89개 약국이 참여하였다.
약국이 금연서비스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약국이 금연서비스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약국의 환경, 약사 및 직원, 서비스 홍보, 그리고 보건 의료 제도 및 정책을 들 수 있다.17) 약국 환경으로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는 상담실을 확보하는 것이 약국에서의 금연서비스 확대를 위해 중요하다.
금연클리닉의 한계는 무엇인가? 3) 그러나 금연클리닉은 접근성에 한계가 있다. 2015년 남성흡연율은 39.3%로4) 이는 19세 이상 남자 인구 20,633,070 중 약 811만 명의 흡연자가 있음을 의미한다 .보건소는 이 중 44만 명, 즉 전체 흡연자의 약 5.4%만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많은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병의원, 약국, 학교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ti-smoking Support Policies in Korea. Available from: http://www.nosmokeguide.or.kr/mbs/nosmokeguide/subview.jsp?idnosmokeguide_030102050000. Accessed March 9, 2017. 

  2. Song TM, Maeng GH, Suh MK, et al. 2007 Anti-Smoking Program Support and Evalua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research/view.do?division002&ano310&menuId45&tid71&bid12. Accessed March 9, 2017. 

  3. NHS. Statistics on Smoking: England, 2007. The Information Centre 2007. 

  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Osong: Ministry of Health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6. 

  5. Brown TJ, Todd A, O'Malley CL, et al. Community pharmacy interventions for public health priorities: a systematic review of community pharmacy-delivered smoking, alcohol and weight management interventions. Public Health Res 2016;4(2), DOI: 10.3310/phr04020. 

  6. Perraudin C, Bugnon O, Pelletier-Fleurya N. Expanding professional pharmacy services in European community setting: Is it cost-effective? A systematic review for health policy considerations. Health Policy 2016;120:1350-62. 

  7. Mdege ND, Chindove S. Effectiveness of tobacco use cessation interventions delivered by pharmacy personnel: a systematic review. Res Social Adm Pharm 2014;10:21-44. 

  8. World Health Organisation and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 Developing pharmacy practice A focus on patient care. [serial on the Internet]. 2006.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cines/publications/WHO_PSM_PAR_2006.5.pdf. Accessed March 5, 2017. 

  9. Anderson C, Blenkinsopp A, Armstrong M. Feedback from community pharmacy users on the contribution of community pharmacy to improving the public's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the peer reviewed and non-peer reviewed literature 1990-2002. Health Expect 2004;7:191-202. 

  10. Park HK, Choi SM, Kim SH, et al. Introducing a health promoting pharmacy model: Safe Pharmacy Program of Seoul. J Health Technol Assess 2016;4(1):1-5. 

  11. Kang E, Park HK.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pharmacies and Smoking Cessation Clinics: The case of Seoul Health Promotion Collaborating Pharmacy (Safe Pharmacy). Paper presented at the 2015 Spring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Seoul 2015. 

  12. Prochaska JO, DiClemente CC.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 Consult Clin Psychol 1983;51:390-5. 

  13. Costello MJ, Sproule B, Victor JC, et al. Effectiveness of pharmacist counseling combined with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 pragmatic randomized trial with 6987 smokers. Cancer Causes Control 2011;22:167-80. 

  14. Dent LA, Harris J, Noonan WC. Randomized tri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 pharmacist-delivered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Ann Pharmacother 2009;43:194-201. 

  15. Lee J-Y, Song TM.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ccess of quitting smoking in rural and urban Smoking Cessation Clinics. J of Agri Med Community Health 2008;33(3):292-302. 

  16. Lee KH, Chung YC, Kim KH.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new enrollees and re-enrollee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J Digit Convergence 2014;12(1):445-55. 

  17. Saramunee K, Krska J, Mackridge A, et al. How to enhance public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community pharmacy?: General public and health providers' perspectives. Res Social Adm Pharm 2014;10:272-84. 

  18. Bock BC, Hudmon KS, Christian J, et al. A tailored intervention to support pharmacy-based counselling for smoking cessation. Nicotine Tob Res 2010;12:217-d220. 

  19. Maguire TA, McElnay JC, Drummond 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based in community pharmacies. Addiction 2001;96:325-31. 

  20. Mott K, Eltridge F, Gilbert A, et al. Consumer experiences, needs and expectations of community pharmacy. Final report. Adelaide, South Australia: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Division of Health Sciences; 2005. 

  21. Cheong C, Choi S-E, Lee H, et al. Variations in Pharmacy Payment of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a New Taxonomy of Community Pharmacies. Yakhak Hoeji 2013;57(1):63-9. 

  22. Bryant LJ, Coster G, Gamble GD, et al. General practitioners' and pharmacists' perceptions of the role of community pharmacists in delivering clinical services. Res Social Adm Pharm 2009;5:347-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