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토해양부(현재 국토교통부)가 2000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토지반정보 DB구축사업은 201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약 21만 공의 지반정보 DB를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2007년 시작된 지하공간정보전산화 초기 사업은 정보의 수집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2013~2014년은 수집된 정보의 정밀 정확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시작된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사업과 더불어 지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고 이 과정에서의 정밀도를 분석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추정보 정밀도의 검증 및 향상을 위해 ArcGIS에서 제공하는 지구통계학적 기법인 크리깅 기법과 RMSE의 비교 분석 및 검토를 통해 체계적인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축된 시추정보 DB의 표고자료 및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표고 자료의 오차를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0, the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B has been constructed by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resent Ministry of Land) and recently, it provides more than 210 thousands borehole informations through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DB portal systems. The initial project of underground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선 절에서 수행된 RMSE 분석으로 표고가 균일한 지형일수록 매우 높은 정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절에서는 3차원 지반정보 모델 구축 시 정밀도의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송파구의 수치 표고 자료(Digital Elevation Model, DEM)와 시추 정보에 포함된 기존 표고 자료의 크리깅을 통한 공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로부터 서울특별시 송파구 내에 있는 시추정보들을 제공받아 3차원 지반정보 모델 구축을 위한 정밀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시추정보의 공간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ArcGIS에서 제공하는 ‘Aggregate Point Tool’을 활용한 시추공의 군집화를 실시하였다.
  • (2015)에 의해 진행된 바 있다. 이에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들의 단순한 선형 분석 외에도 2차원적인 공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3차원 지반정보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시추공의 위치는 지역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으므로 시범지역을 선정함에 있어 시추공이 선형적으로 분포한 지역과 면형적 분포를 고루 보이는 지역을 택하고자 하였다. 이를 근거로 서울특별시 송파구를 3차원 지반정보 모델의 구축을 위한 공간분석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로부터 총 시추공 2,107개를 제공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 주요 도시에서 많은 사회적 문제와 비용이 발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13). 최근 서울 주요 도시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동공 및 도로 함몰과 같은 지반재해로 인하여 많은 사회적 문제와 비용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 지하공간정보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표준화 방안 및 활용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바 있다(Seok etal., 2012).
국가 지하정보인 시추정보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국가 지하정보인 시추정보는 터널, 지하구조물 등의 국토개발, 석탄, 석유, 금・은・동의 자원개발, 지진과 같은 지질재해, 지하수,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 방지, 지질공원, 지질박물관 같은 관광・레저 그리고 지반에 대한 지질학적, 화학적, 물리학적 교육연구 등에 지대한 기여를 하고 있다(Janget al., 2013).
구축된 시추주상도 및 각종 시험 결과 DB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렇게 구축된 시추주상도 및 각종 시험 결과 DB 등은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2017)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산화 작업 후 유통 자료로 제공되는 21만공 이상의 시추공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각 기관별로 개별 구축・관리되고 있는 지반정보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밀도의 검증 및 향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반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Integrated DB Center of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2017), http://www.geoinfo.or.kr. 

  2. Chun, S. H., Sun, C. G. and Chung, C. K. (2005),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 for geo-laye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 No. 2 C, pp. 103-115 (in Korean). 

  3.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n introductions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pp. 225-235. 

  4. Jang, Y. G., Jeon, H. S., Chae, D. H. and Cho, W. J. (2013), A state-of-the-practice review on the management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4, No. 8, pp. 39-46 (in Korean). 

  5. Jang, Y. G., Jeon, H. S., Chae, D. H. and Cho, W. J. (2014), Evaluation of precision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4, pp. 53-56 (in Korean). 

  6. Jang, Y. G., Kim, Y. S., Chae, D. H. and Cho, W. J. (2015), Time-series analysis of precision the domestic boring investig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6, No. 3, pp. 15-21 (in Korean). 

  7. Seok, C. H., Kang, Y. R., Jang, Y. G. and Kang, I. J. (2012), A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nfrastructur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and its avail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4, pp. 105-11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