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역별 및 농업기후지대별 논잡초 발생상황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by Regions and Agro-Climatic Zonal in Paddy Fields of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1, 2017년, pp.11 - 20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  오영주 (미래환경생태연구소) ,  박중수 (경기도농업기술원) ,  최준근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은정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박기웅 (충남대학교) ,  조승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권오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임일빈 (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성덕경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창석 (국립식량과학원)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  서현아 (국립농업과학원) ,  김환수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논에는 28과 90종의 논잡초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을 8개 지역별, 19개 농업기후지대별로 구분하여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경기지역에는 20과 52종, 강원지역은 17과 37종. 충북지역은 15과 41종, 충남지역은 12과 21종, 전북지역은 13과 24종, 전남지역은 21과 54종, 경북지역은 20과 36종, 경남지역은 16과 32종이 발생하였다. 과별로 보면, 화본과 > 방동사니과 > 국화과 등으로 순이었고, 지역간에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벗풀 등이 우점하였다. 태백준고냉지대에서 14과 31종부터 동해안남부지대의 16과 25종까지 18개(태백고냉지대 제외) 기후지대별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피속류,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순으로 발생되었다. 과별로는 방동사니과 > 화본과 > 국화과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지역별 및 기후지대별 잡초발생 상황의 차이는 지역적인 개념보다 여러 가지 기상요건에 의한 것이 크게 좌우되었고, 거기에 수반되는 재배양식 변화 그리고 제초제 사용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nety species belonging to 28 families of weeds were identified in Korean rice fields. They were divided by eight provinces and 19 agro-climatic zones to be used as basic data of weed control. Looking at the regional weed occurrence, there were 52 species of 20 families in Gyeonggi, 37 species of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잡초군락의 변화는 춘·추경 감소 및 로터리 경운 증가 등의 경운·정지법의 변화, 직파 및 기계이앙 재배 등 재배양식의 변화 그리고 사용 제초제의 변화 등의 원인이 대부분이겠지만, 지역간의 차이 또는 기후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농업기후지대 차이에서 올 수도 있다. 따라서 농업기후지대별로 논잡초 조사결과를 구분하고 잡초발생 양상을 파악하여 논잡초 방제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남한)의 지방은 어떻게 나누어져 있나? 우리나라(남한)는 크게 중부지방, 남부지방으로 나누고 남부지방을 다시 호남지방, 영남지방으로 나누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가 산이 많은 지형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구분한 것으로 이것을 반영하듯 농업의 재배법은 항상 2개 내지 3지역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Kim et al.
한반도의 행정구역은 몇 개도로 나누어져 있나? 한반도는 동서로 716 km, 남북으로 1,107 km(면적 220,847 km2)이고, 이 중 남한은 동서로 350km, 남북으로 500 km(면적 100,210 km2)으로 제주도를 포함해서 9개도로 행정구역이 나누어졌다. 이 행정구역은 행정편의적인 면이 강하지만 지형적이고 역사적인 배경도 있어 각 지역간에는 인적 및 물적 교류가 제한적이었다.
우리나라 논에 발생한 잡초를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가? , 2002). 2013년 조사는 전국을 10개 지역(제주제외)으로 구분하여 기계이앙 논을 비롯하여 담수직파, 친환경 재배논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한 결과,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28과 90종으로 확인되었다(Ha et al., 2014). 이와 같이 지난 50년간 잡초조사 결과, 잡초군락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우점하는 초종이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Lee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ck, N.H., Ko, J.C., Kim, B.K., Nam, J.K., Kim, T.K., et al. 2010. Study on optimum application rate of slow released fertilizer in ric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after partial-tillage at the silt loam soil in Honam plain area. Kor. J. Intl Agri. 22(2):148-151. (In Korean)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Zweite, umgearbeitete und vermehr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p. 865. 

  3. Choi, D.H. and Yun, S.H. 1989. Agroclimatic zone and characters of the area subject to climatic disater in Korea. Kor. J. Crop Sci. 34(1):13-33. (In Korean) 

  4. Choi, D.H., Jung, Y.S., Kim, B.C. and Kim, M.S. 1985. Zoning of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climat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rice planting period. Kor. J. Crop Sci. 30(3):229-235. (In Korean) 

  5. Ha, H.Y., Hwang, K.S., Suh, S.J., Lee, I.Y., et al. 2014.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Weed Turf. Sci. 3(2):71-77. (In Korean) 

  6. Hwang, J.B., Song, S.B., Hong, Y.K., Lee, D.C., Kim, S.C. et al. 2003.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rice paddy in Yeoungnam area. Kor. J. Weed Sci. 23(Sup. 1):104-106. (In Korean) 

  7. Im, I.B., Im. B.H., Park, J.H., Jang, J.H., Im, M.H., et al. 2015. Weeds on rice paddy field of Jeonnam western region. Weed Turf. Sci. 4(4):295-307. (In Korean) 

  8. Im, I.B., Kyoung, E.S., Kang, J.G. and Kim, S. 2002. Weed emergence of rice machine transplanting rice paddy field in Honam area. Kor. J. Weed Sci. 22(2):125-136. (In Korean) 

  9. Jung, G.B., Kim, W.I., Lee, J.S., Shin, J.D., Kim, J.H., et al. 2004. Assessment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orchard soils in middle part of Korea. Kor. J. Environ. Agri. 23(1):15-21. (In Korean) 

  10. Kim, E.J., Park, J.S., Lee, C.Y., Lim, S.C., Park, I.S., et al. 2014a. Survey of weed flora on paddy fields in Chungbuk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3(2):78-85. (In Korean) 

  11. Kim, J.H., Lee, J.S., Kim, W.I., Jung, G.B., Yun, S.G., et al. 2002.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of plastic film house fields around central park of Korea. Kor. J. Environ. Agri. 21(2):109-116. (In Korean) 

  12. Kim, S.C. 1983. Status of paddy field weed fl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 J. Weed Sci. 3(2):223-245. (In Korean) 

  13. Kim, S.K. and Kim, H.Y. 2014.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3(1):6-12. (In Korean) 

  14. Kim, S.Y., Park, S.T., Hwang, D.Y. and Shin, S.O. 2005. Determination of a critical late seeding date in minimum-tillage direct seeding under barley-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Yeongnam region. Kor. J. Intl Agri. 17(4):292-295. (In Korean) 

  15. Kim, Y.D., Choi, M.K., Ku, B.I., Park, H.K., park, T.S., et al. 2010. Selection of suitable rice cultivars for silage barley-rice double cropping Hoam plain area. Kor. J. Intl Agri. 22(4):337-340. (In Korean) 

  16. Kim, Y.D., Kang, S.G., Ku, B.I., Sang, W.G., Lee, M.H., et al. 2014b. Effect of pretilachlor for control of weed rice under direct hill seeding wet surface of rice in southern part in Korea. Kor. J. Intl Agri. 26(4):430-433. (In Korean) 

  17.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www.nature.go.kr).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8. Kwon, B.S., Park, H.J., Umezaki T. and Chung D.H. 1993.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eun STAPF in southern-region of Korea. Kor. J. Medi. Crop Sci. 1(2):166-170. (In Korean) 

  19. Lee. I.Y., Kim, C.S., Lee, J., Park, T.S., Moon, B.C., et al. 2016.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over the last 50 years in Korea. Weed Turf. Sci. 5(1):1-4. (In Korean) 

  20. Moon, B.C., Won, J.G., Park, J.S., Park, T.S., Oh, S.M., et al. 2005. Leaf emergence of paddy weeds to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and prediction of its leaf number in 19 agricultural climate zone. Kor. J. Weed Sci. 25(2):112-118. (In Korean) 

  21.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22.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23. Park, J.E., Lee, I.Y., Moon, B.C., Park, T.S., Lim, S.T.,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24. Park, J.S., Won, T.J., Roh, A.S, Jang, J.E. and Kim, H.D. 2014.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s of dominant weed species in paddy field of southern Gyeonggi region. Weed Turf. Sci. 3(2):86-94. (In Korean) 

  25.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2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27. Seong, D.G., Kim, Y.G., Cho, Y.C., Shin, H.Y., Kim, M.C., et al. 2014. Selection of the proper rice varieties to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southern plain of Korea. J. Agri. & Life Sci. 48(6):1-9. (In Korean) 

  28.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