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자의 지속과 북한인권개선 방안
Continu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trategies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원문보기

한국과 국제사회 = Korea and Global Affairs, v.1 no.2, 2017년, pp.85 - 108  

김주삼 (조선대학교)

초록

이 글은 지속적인 탈북자문제와 북한인권개선 방안에 관한 것이다. 탈북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지속적으로 한국행 입국을 해왔다. 북한주민의 탈북배경은 1990년대 중반까지는 북한 자체 '고난의 행군시기'의 경제적 동기가 가장 컸다. 하지만 이러한 탈북동기는 2000년대를 거치면서 기획탈북, 가족단위의 집단탈북, 자신의 미래를 위한 탈북 등의 형태 등으로 바뀌어왔다. 탈북자들은 탈북 후 한국입국 전까지 중국과 제3국에서 불법체류자 신분으로 인권사각지대에서 엄청난 인권침해를 당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이 탈북자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꾸준한 노력을 해 왔음에도, 탈북자문제와 인권문제에 대해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지속적인 공동의 역할은 더 절실하다. 정부는 2016년 3월 국회에서 북한인권법 통과로 이 법안에 따라 북한인권문제를 제도적 절차에 따라 탈북문제를 인간의 보편적 가치와 민족문제로 인식하고 국내외적으로도 공동협력해 나가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peculated on a continuous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trategies to improve North Korean human right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immigrated to South Korea continuously since the late 1990s. Their immigration was motivated by low financial status in the harsh marching period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북한주민의 탈북 문제가 김정은 체제가 들어섰음에도 끊임없이 탈북자들이 한국행을 결정하는 현실태를 분석하여 북한인권과의 상호연관성을 밝히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북자의 한국입국 현상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탈북자는 2017년 기준 3만 명이 넘어섰다. 탈북자의 한국입국 현상은 199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어 2000년 6월 김대중-김정일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숫자가 점점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이전에 탈북자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탈북자들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통해 가장 먼저 넘어간 곳은 어디인가? 탈북자들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통해 가장 먼저 넘어간 곳은 중국이다. 탈북자들은 조선족이 밀집되고 친·인척이 있는 연변자치주를 비롯한 동북3성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탈북자 발생원인 중 하나는? 탈북자 발생원인은 여러 요인을 나열할 수 있겠지만, 이 가운데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시기 북한의 경제위기와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이 시기에 약 200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 아사자가 발생했다는 설이 나올 정도로 심각한 식량난을 겪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국방부. 2016. 2016 국방백서 서울: 국방부. 

  2. 김병로.최경희. 2012.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분석," 통일과 평화. 4집 1호. 

  3. 김석우. 2017. "대량탈북사태는 북한정권 붕괴로 직결된다," 외교광장. 서울: 한국외교협회. 

  4. 김일수. 2009. "한국정부의 탈북자 정책," 현대 탈북자의 이해. 대전: 프라마 Books. 

  5. 김주삼. 2009. "탈북문제에 대한 한국의 인식전환과 대응," 현대탈북자 문제의 이해. 대전: 프라마 Books. 

  6. 오영달. 2012. "북한인권과 정부간 국제기구의 역할," 북한인권의 실태와 해결방안. 대전: 프리마 Books. 

  7. 이석기. 2015. "북한시장화의 실태와 한계," 코리아연구원 현안진단 제268호. 

  8. 정주신. 2009. "노무현정권의 탈북자 정책평가," 현대탈북자의 이해 대전: 프리마 Books. 

  9. 통일연구원. 2016. 북한인권백서 2016 서울: 통일연구원. 북한인권법. 2016. 

  10. 통일부. 2017. 北신년사 분석. 서울: 통일부. 

  11. 통일부. 2017. 2017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12. 하대성.김진윤. 2016. "북한사회의 변화와 동요의 흐름," 대한정치학회보. 24집 4호. 

  13. 한국국방연구원. 2015. 2015-2016 안보정세 평가 및 전망.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4. 주성하. 2016. "탈북자 스스로 정착제도 만들면 어떨까," 동아일보. (2016/10/20), A37. 

  15. http://www.ukorean.com/news/article "남한이 아닌 세계를 선택한 탈북자들 어디서 뭘할까", (최종검색일: 2017/05/15). 

  16. http://www.dailynk.com/korean/read_print.php, "유엔 안보리, '북한인권상황'공식 안건 채택", (최종검색일: 2017/05/15). 

  17. http://www.hankookilbo.com/v_print.aspx?id,"남북경제규모44배차이" (최종검색일: 2017/05/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