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동성 증진을 위한 한국군 리더십 연구

A Study on the ROK Army Leadership for promoting Jointness

한국과 국제사회 = Korea and Global Affairs, v.1 no.2, 2017년, pp.209 - 242  

진재열 (국방정신전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력의 유 무형 전력을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전투력상승효과(synergy)를 극대화시키는 '합동성(Jointness)'을 기반으로 이순신장군의 4대 대첩 리더십 분석과 제언을 통해 한국군의 무형전력의 핵심인 정신전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우리군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하드웨어 차원에서 군 구조개선을 하고 있는데,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 할 소프트웨어 차원에서 동맹국과 우리군의 합동성 추진과정을 분석한 결과 미래지향적인 정신전력 강화 시스템구축과 더불어 무형전력이 핵심인 리더십과 관련된 제반 과제들과 함께 조화롭게 혁신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국방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군 구조개혁과 함께 추진하여야 할 소프트웨어 차원의 한국군 리더십에 관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합동성과 연계한 연구문제(1. 합동성시대 서구 선진국가의 군 리더십의 핵심은 무엇인가? 2. 이순신장군의 전사(戰史)를 통한 한국적 리더십의 현대적 조명)를 선정하여 문헌조사 방법과 본 연구자의 참전당시 현지 인터뷰결과와 이순신장군의 4대 대첩을 중심으로 한 리더십 전사(戰史)를 모델로 고찰한 결과, 1)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전략적 리더십, 2)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융합의 리더십, 3) 전투중심으로 실천할 수 있는 지식의 리더십을 도출하게 되었다. 아울러 합동성을 기반으로 한 정신전력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합동성 증진을 위한 심층깊고 실질적인 리더십진단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 국방부와 육 해 공군 리더십센터와 PKO센터의 차별화와 통합에 관한 효율성을 과학적으로 비교분석한 후 국방개혁과 함께 합동성 증진을 위한 통합노력을 구현해야 하며, 셋째, 국방부 예하 무형전력 관련기관의 통폐합을 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nhancing spiritual combat power as the core of intangible combat power in Korean armed forces through analyses and suggestions on Admiral Yi Sun-sin's leadership for four major sweeping victories based upon jointness which effectively integrates tangib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구와 한국군 리더십의 조화를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서구와 한국군 리더십의 조화를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우리군은 실전경험이 미약하기도 하고, 서구의 이론과 지식을 단순하게 전수하는 차원에서 머물러 왔기 때문이다(오점록 1999, 15). 서구 선진군의 실전경험을 통한 우리 한국군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과 더불어 한국군하면 일제치하와 6·25 전쟁으로 인해 마치 우리군의 실전경험이 없을 것이고, 연합전력이나 합동성을 발휘한 전사(戰史)는 더군다나 없을 것이라는 착시현상(錯視現象)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 군이란 무엇인가? 첫째는 서구편향은 한국풍토와 괴리된 이론은 낳게 되고, 둘째는 한국화에 대한 집착은 문화적 폐쇄성을 초래할 수 있다(김성환 1998; 남기덕 1999; 박유진 2009). 따라서 이러한 주장과 함께 미래의 한국군 리더십의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서구 선진국과 한국적 리더십의 현실적인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며, 현대사회에 있어 군은 국방이라는 공통의 목적(a common purpose) 과, 국방을 수행하기 위한 정책 및 인간관계적인 협동의지(willingness to cooperate)의 발휘, 그리고 국방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식조직 이다(탁관로 2009). 그러므로 이와 같은 3가지 요소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통합성’과 ‘합동성’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합동성추진과 관련한 군 내·외, 현역과 예비역, 정부와 국민의 시각이 조화롭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합동성추진과 관련한 군 내·외, 현역과 예비역, 정부와 국민의 시각은 조화롭지 못한 현실에 직면에 있다. 왜냐하면‘이순신 장군처럼 되라고 교육은 하고선 이순신 장군처럼 살면 오늘날에는 백의종군이나 보직해임을 당하는 등 출세하기 어렵다’는 말이 트위터에 올라올 정도로, 평시에는 큰소리를 내는 리더가 있을지언정, 정작 천안함사건3)이나 연평 포격4)등 위기 시에는 과거에 자주 거론되던 걸출했던 큰 리더가 보이질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부인할 수 없는 리더다운 리더의 배고픔을 극복하고 국방정신전력강화를 위한 군 구조개혁과 함께 추진하여야 할 소프트웨어 차원의 한국군 리더십에 관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합동성과 연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고, 이에 대한 모델을 선정하여 논리를 전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김경상. 2007. "현대전의 합동성 증진에 부합하는 합동교리 발전방안". 해군대학. 

  2. 김동기.권영근 역, Gordon Nathaniel Lederman 著. 2007. 합동성 강화 美 국방개혁의 역사. 서울 : 연경문화사. 

  3. 김동기 외 역. 2007b. 합동성 강화 美 국방개혁의 역사. 서울: 연경문화사. pp.103, 127, 281. 

  4. 김동하. 2007. "합동성 증대를 위한 교육체계 발전방향 연구". 해군대학. 

  5. 김민주 외. 2007. 극단적 미래예측. 서울 : 김영사. 

  6. 김성만. 2010. "軍 합동성 강화 방안". 합동참모본부. 

  7. 김성환. 1998. K이론. 서울: 리드리드출판. 

  8. 김진항. 2006. 전략이란 무엇인가?. 서울 : 양서각. 

  9.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2010. 대한민국 안보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 국가발전미래교육협의회. 

  10. 국방대학교 정신전력.리더십개발원. 2009. 국방리더십개발원과 각 군 리더십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대전 : 국군인쇄창. 

  11.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대전 : 국군인쇄창. 

  12.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제48호. 대전 : 국군인쇄창. p. 56. 

  13. 권태영. 2011. "합동성 강화를 위한 우리 군의 노력". 합참지 제44호. p. 55. 

  14. 권태영. 2011b. "합동성 강화를 위한 우리 군의 노력". 합참지 제44호. p. 59. 

  15. 공군대학. 2007. 항공우주군 시대에 요구되는 리더십 역량. 공군대학. 

  16. 공군대학. 2007. 에이스 리더십. 공군대학. 

  17. 남기덕. 1999. "한국군 리더십의 모형과 발전방향." 화랑대 국제학술 심포지움. 

  18. 노병천. 2005. 이순신. 서울: 양서각. 

  19. 문달식. 2007. "과학기술의 발달과 미래 전장에서 합동성 강화 방안." 해군대학. 

  20. 박유진. 2009. 현대사회의 조직과 리더십. 서울 : 양서각. 

  21. 배규한. 2000. 미래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22. 백기복 외. 1988. "한국 경영학계의 리더십 연구 30년 : 문헌검증 및 비판." 경영학연구. 27집. 

  23. 이영계.진재열. 2010. "육군 초급간부리더십개발 지침서에 관한 연구". 육군교육사령부. pp. 2-10. 

  24. 에드가 F. 퍼이어 Jr. 저. 2004. 아메리칸 제너럴십(American Generalship). 서울 : 국방부. 

  25. 전광호. 2014. "외국군 사례를 통한 합동군사교육체계 발전방안." 합동군사대학교(5). 

  26. 조현행. 2014. 미육군의 시대적 변천과 역할. 익산: 원광대학교출판국. p. 13. 

  27. 진재열. 2009. Total 리더십. 대전 : 해성기획. 

  28. 진재열. 2007. "전쟁중의 학교교육;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한국교육학회 한국비교교육학회지. 

  29. 오점록. 1999. 한국군 리더십. 서울 : 박영사."군 리더십 특성과 군 조직유효성." p. 15. 

  30. 유명덕?하만석 공동연구. 2009. "2009년도 국방정책과제", 국방대학교. 

  31. 유영만. 2008. 상상하여 창조하라!. 서울: 위즈덤하우스. 

  32. 유용원. 2011. "육군, 별자리 줄까봐... 해.공군, 육군에 치일까봐 현역 군인, 예비역들 통해 국방개혁에 불만 표시... 왜 그러나." 조선일보(3월 29일), 8. 

  33. 육군본부. 2009. 야전교범 지-0, 육군 리더십(초안). 대전 : 국군인쇄창. pp. 1-12-13. 

  34. 최병순. 1991. "한국군 지휘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화랑대연구소. 

  35. 탁관로. 2009. "국방리더십개발원과 각 군 리더십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 국방대학교. 

  36.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2001. 지식경영. 서울: 21세게북스. 

  37. 하인호. 2008. 미래를 읽는 9가지 방법. 서울: 일송북. 

  38.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합동성 강화 발전방안." 정책토론회 결과 보고서. p. 17. 

  3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b. "합동성 강화 발전방안." 정책토론회 결과 보고서. p. 23. 

  40.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6. "정책연구보고." 합동참모본부 (7). 

  41. 합동참모본부 & 육군교육사령부. 2010. 합동성강화 대토론회집. 대전 : 국군인쇄창. 

  42. 합동참모본부. 2009. 합동작전. 대전 : 국군인쇄창. 

  43. 합동참모본부. 2002. 합동작전 합동교범 3-0. 대전 : 국군인쇄창. p8. 

  44. 현대경제연구원. 2001. 지식경영. 서울 : 21세기북스. 

  45. 홍성표, 2006. "한국군의 합동성에 관한 고찰." 합동참모본부. 

  46. 해군충무공리더십센터. 2012. 충무공 이순신. 대전 : 국군인쇄창. 

  47. Gary Yukl, 이상욱 역. 2004.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서울 : 시그마프레스. 

  48. Keith M. Huber. 2010. "美軍의 합동성 발전과정." 합동성 강화 대토론회집. 합동참모본부. p. 45. 

  49. K. B. Lowe., & W. L. Gardner, "Ten year of the Leadership Quarterly : Contribution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2000)", Leadership Quarterly, 11(4), pp. 466-469. 

  50. J. A. Conger, Leading to lead, Sanfracisco: Josey-Bass, 1992 백기복, 이슈 리더십, 창민사, 2000, pp. 362-366. 

  51. Jason B. Barlow,"Interservice Rivalry in the Pacific,"in Joint Force Quaterly(Spring 1994), pp. 76-81. 

  52. Steve M. JEX.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2. 

  53. Shamir, B., House, R, J., & Arthur, M. B. 1998.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 Science, 4: 1-17. 

  54. Lowe, K. B., Kroeck, K. G. & Sivasubramaniam, N. 1996. Effectiveness correlates of transformational &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sis review of the MLQ iterature. Leadership Quarterly, 7: 385-4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