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의학교육 역량체계 비교를 통한 한의학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A Study on Implications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by Comparing International Competence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1 no.1, 2017년, pp.36 - 45  

신상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교육실) ,  박종배 (미국 듀크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gain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in Korean medicine education, we examined several competence frameworks of medical education developed at international or national level, and compared the basic constitution and common elements. The competence frame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역량체계에서 지식 영역에 해당하는 세부역량 또는 학습성과는 상술하여 소개하였다.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의 「한의사 역량 모델」(2016 DKM Competency Model)은 우수한 한의사들의 행동자료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에 ‘바람직한 한의사의 象’을 제시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3), 해당 역량들의 평가-피드백 수반체계를 고려치 않았고, 적용(apply)할 수 있어야 하는 지식 분야 역량을 설정치 않아서 개별 대학의 교과목 맵핑(mapping)과 학습성과 개발시에 미비한 점이 있다.
  • 본 조사연구에서는 국제적 수준에서 또는 국가적 수준에서 개발되어 널리 알려진 의학교육 역량체계들을 살펴보고, 그 기본적인 구성과 공통적인 요소들을 비교하여 한의학교육의 역량기반교육체계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졸업 후 의학교육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개별 의과대학 차원에서 개발된 것은 제외하였다. 역량과 성과 등의 개념과 원리가 북미와 유럽의 영미권에서 출발하였고, 해당 국가들이 역량기반 의학교육을 선도하고 있으므로, 선행 사례들을 분석하여 한의학교육에 원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기반교육은 어떤 교육방식인가? 역량기반교육(Competence Based Education) 또는 성과기반교육(Outcome Based Education)이란 교육과정에 대한 결정이 교육이 끝날 때 학생들이 보여주어야 하는 역량/성과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교육 접근방식이다. 따라서 결과물이 과정을 정의하는 결과지향적(result-oriented) 사고로 요약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에 대해 합의된 역량/성과가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를 이끌게 된다1).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에서 한의학 교육에 요구하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에서는 한의학 교육 및 평가체계를 역량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행동사건면담기법(Behavior Event Interview)을 사용하여 한의 임상에 필요한 지식, 술기, 태도가 통합적으로 표현되는 능력으로 ‘최선의 진료’,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전문직업성 함양’, ‘사회적 책무 수행’, ‘효율적 의료경영 및 관리’의 총 5개 역량군, 15개 역량을 도출하여 일종의 ‘국가 수준의 한의사 역량 모델’(2016 DKM Competency Model)을 도출하였고, 대학별로 졸업역량과 학습성과를 개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3).
졸업역량과 학습성과의 설정은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졸업역량과 학습성과의 설정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지식, 수기, 태도의 총합체인 역량의 설정에서 그 특성인 맥락성과 수행성, 학습가능성이 간과되거나 혹은 과목간 성과간의 관련성이 미비하거나 적절한 평가-피드백 체계가 구축되지 않으면, 해당 역량기반교육은 수많은 문서작업(documentation)과 풍성한 말잔치에 그쳐서 실질적인 교육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반면, 역량과 성과를 너무 상세하게 규정하고 과중하게 평가-피드백의 수반 체계를 구성할 경우 구성원들이 탈진(burn out)하여 실질적으로 운용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arden RM. Crosby JR. Davis MH. AMEE Medical Education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1 - 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 Teach. 1999;21(1):7-14. 

  2. Lee YH. Study on the basic direction of th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of the discipline (program).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106-107. 

  3. Lim CI, Han HJ, Hong JS, Kang YS. 2016 Competency Modeling for Doctor of Korean Medicine & Application Plans. J Korean Med. 2016;37(1):101-13. 

  4. Carraccio C, Wolfsthal SD, Englander R, Ferentz K, Martin C. Shifting paradigms: from Flexner to competencies. Acad Med. 2002;77(5):361-7. 

  5. O'Connell, William R., Jr., Moomaw, W. Edmund. A CBC Primer: Competency-Based Curricula in General Undergraduate Programs. Atlanta, GA: Southern Regional Education Board, 1975. 

  6. Albanese MA, Mejicano G, Mullan P, Kokotailo P, Gruppen L. Defining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mpetencies. Med Educ. 2008;42(3):248-55. 

  7. Hautz SC, Hautz WE, Feufel MA, Spies CD. Comparability of outcome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framework development. Med Teach. 2015;37(11):1051-9. 

  8. Han JJ. The Development of Outcome-Based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Outside Korea.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3;15(1):19-24. 

  9.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Physicia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 GPEP Report: Report of the Panel on the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Physician and College Preparation for Medicine. J Med Educ. 1984;59:1-208. 

  10.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ing objectives for medical student education: guidelines for medical schools. Acad Med. 1999;74(1):13-8. 

  11.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Outcome project: General competencies. 1999. 

  12. Schwarz MR, Wojtczak A. Global minimum essential requirements: a road towards competence-oriented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02;24(2):125-9. 

  13. Frank JR, ed. The CANMEDS 2005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 Ottawa: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2005. 

  14. The Medical Council of Canada. Objectives for the Qualifying Examination - 3rd ed. 2015. 

  15. McGaghie WC, Miller GE, Sajid AW, Telder TV.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on medical education: an introduction. Geneva: World Health Orgnization, 1978. 

  16. Boelen C. Frontline doctors of tomorrow. World Health. 1994;47(5):4-5. 

  17. Boelen C. Medical education reform: the need for global action. 1992;67(11):745-9. 

  18.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The Edinburgh Declaration. Edinburgh, 1988. 

  19.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Basic Medical Education. 2001. 9. 

  20.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Basic Medical Education 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 The 2012 Revision. 2012. p. 18-20. 

  21. General Medical Council. Tomorrow's Doctors - Outcomes and standard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London; General Medical Council, 2009. 

  22. The Scottish Deans' Medical Curriculum Group. Learning Outcomes for the Medical Undergraduate in Scotland: A foundation for competent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Dundee; The Scottish Deans' Medical Curriculum Group, 2000. 

  23. Harden RM. Multi-professional education: Part 1- Effective multi-professional education: a three dimensional perspective. AMEE Medical Education Guide no. 12. Med Teach, 1998;20:402-8, 

  24. Cumming A, Ross M. The Tuning Project for Medicine - learning outcome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Europe. Med Teach. 2007;29(7):636-41. 

  25. Metz JCM. Verbeek-Weel AMM, Huisjes HJ. Blueprint 2001: training of doctors in The Netherlands. Nijmegen; Disciplinary Board of Medical Sciences of the Association of Universities in The Netherlands, 2001. 

  26. Laan RF, Leunissen RR, van Herwaarden CL. The 2009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GMS Z Med Ausbild. 2010;27(2):Doc35. 

  27. Working Group under a Mandate of the Joint Commission of the Swiss Medical Schools. Swiss catalogue of learning objectives for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Joint Commission of Swiss Medical Schools, 2002. 

  28. Working Group under a Mandate of the Joint Commission of the Swiss Medical Schools. Swiss catalogue of learning objectives for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2nd edition. Joint Commission of Swiss Medical Schools, 2008. 

  29. ten Cate O. Entrustability of professional activities and competency-based training. Med Educ. 2005;39(12):1176-7. 

  30.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RL http://www.med.unc.edu/md/ Accessed on Date 10 Novembe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