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노인의 마을 밥상 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도시와 농촌 노인의 식생활 행태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분석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for development of "Village Lunch Table" program: Based 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2, 2017년, pp.171 - 179  

이영미 (명지대학교식품영양학과) ,  최유림 (명지대학교식품영양학과) ,  박혜련 (명지대학교식품영양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식품영양학과) ,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식품영양학과) ,  유창희 (서울여자대학교식품영양학과) ,  임영숙 (명지대학교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6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거주 지역에 따른 노인의 식생활 행태와 식품 및 영양소 섭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 설문, 검진조사, 식품섭취조사에 모두 응답한 1,239명 (남 543명, 여 696명)을 선정하였으며, 거주지역에 따라 대상자를 농촌 노인 (867명)과 도시 노인 (372명)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끼니결식 여부, 주당 외식횟수, 영양교육 여부, 식품군별 섭취량,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으며, 권장섭취량 또는 충분섭취량 대비 영양소 섭취수준은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KDRIs)과 비교하여분석하였다. 주요연구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거주 지역에 따른 대상자의 조사 전날 아침, 점심식사의 결식 여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녁식사의 경우 도시 노인의 결식률이 농촌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30), 주당 외식횟수도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영양교육의 여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농촌, 도시 노인 모두 5% 미만이었다. 거주 지역에 따른 대상자의 식품군별 섭취량을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 물 (p = 0.028), 과실류 (p = 0.006), 해조류 (p = 0.040), 우유및유제품류 (p = 0.045) 섭취가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반면에 곡류 섭취는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27).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 교육 및 소득수준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아도 농촌노인의 물 (p = 0.039)과 과실류 (p= 0.006)의 섭취가 도시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두 지역 노인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해 보면,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 다가불포화지방산 (p = 0.025), n-6계 지방산 (p = 0.023), 인 (p = 0.039), 철 (p = 0.035), 비타민A (p = 0.009), 카로틴 (p = 0.013), 니아신(p < 0.001), 비타민 C (p = 0.004) 섭취량이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교육 및 소득수준까지 모두 보정한 경우에도 농촌 노인의 철 (p = 0.042), 비타민 A (p = 0.023), 카로틴 (p = 0.025), 니아신(p < 0.003), 비타민 C (p = 0.009) 섭취량이 도시 노인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 노인들이 특히 비타민 C, 비타민 A, 카로틴, 니아신의 섭취량과 관련이 있는 과실류와 우유 및 유제품류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한편 영양소섭취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수준은 농촌 노인의 경우, 비타민 A (p = 0.016), 비타민 C (p = 0.003) 섭취수준이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리보플라빈, 칼륨의 섭취수준은 80% 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칼슘 섭취수준은 농촌, 도시 노인 모두 60% 이하였다. 이러한 영양섭취 문제는 특히 농촌 노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역별 영양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도시, 농촌 지역의 특성에 따라 대상자들이 식품을 구입하고 이용하는 식생활행태가 다를 것이며, 이러한 식환경 특성은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식생활 환경 전부를 반영하지 못한 아쉬운 점이 있으나, 두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사회경제지표인 소득 및 교육 수준,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모두 반영해서 살펴보았고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여전히 농촌 노인의 식생활행태와 영양소 섭취는 도시 노인에 비해 문제가 심각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39 participants (urban elderly: 867, rur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배를 섭취하고 있었다.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34에서 김치류와 1회 섭취량이 많은 국, 탕류 섭취가 나트륨 섭취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배추김치, 된장찌개의 섭취빈도가 높았던 것이 나트륨 섭취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농촌 노인의 영양소 섭취량 부족이나 과잉은 식품 섭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농촌 노인을 위한 식생활 교육 내용에 과실류, 해조류, 우유 및 유제품류 등 부족한 식품을 적절하게 섭취하는 방법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농림 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농촌 노인을 위한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인 “마을 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농촌 노인의 식생활행태와 영양소 섭취를 파악하고, 식생활 개선을 위해 먼저 적용해야 할 식품, 영양소 섭취의 유의점, 마을 밥상 프로그램을 위한 식단 및 레시피 개발 등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거주 지역별로 노인의 식생활행태와 영양소 섭취를 비교·분석하였다.
  •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 비교는 일반 선형모형의 t-test(general linear model t-test)를 이용하여,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지역 대상자들의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고, 모델1에서는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후 비교하였다. 또한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 교육 및 소득 수준을 모두 보정한 모델의 유의성도 검증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p < 0.
  • 노인의 영양 상태는 인구학적 요인, 사회 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신체적 건강 요인, 정서적 요인, 건강행동요인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거주지별 노인의 식생활 행태와 영양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지역별 노인을 위한 맞춤형 식생활개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율은 어떠한가? 경제 및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1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은 2008년 10.3%에서 2015년 전체 인구의 13.1%로 증가했으며, 우리나라는 전체 가구 중 노인가구의 비율이 20.6%로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2
농촌에 사는 노인의 식생활 행태는 어떠한가? 주요연구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거주 지역에 따른 대상자의 조사 전날 아침, 점심식사의 결식 여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녁식사의 경우 도시 노인의 결식률이 농촌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30), 주당 외식횟수도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영양교육의 여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농촌, 도시 노인 모두 5% 미만이었다. 거주 지역에 따른 대상자의 식품군별 섭취량을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 물 (p = 0.028), 과실류 (p = 0.006), 해조류 (p = 0.040), 우유및유제품류 (p = 0.045) 섭취가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반면에 곡류 섭취는 도시 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27).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 교육 및 소득수준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아도 농촌노인의 물 (p = 0.039)과 과실류 (p= 0.006)의 섭취가 도시노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두 지역 노인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해 보면, 연령, 성별,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농촌 노인의 경우, 다가불포화지방산 (p = 0.
불균형적인 영양섭취로 인해 농촌 노인에게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칼슘 섭취수준은 농촌, 도시 노인 모두 60% 이하였다. 이러한 영양섭취 문제는 특히 농촌 노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역별 영양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도시, 농촌 지역의 특성에 따라 대상자들이 식품을 구입하고 이용하는 식생활행태가 다를 것이며, 이러한 식환경 특성은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ean WR, Sharkey JR. Rural and urban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J Nutr Educ Behav 2011; 43(6): 426-433. 

  2. Statistics Korea. Elderly person statistics: 2016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7 Mar 4]. Avali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 index.board?bmoderead&aSeq356426&pageNo13&row-Num10&amSeq&sTargettitle&sTxt. 

  3. Schunemann HJ, Sperati F, Barba M, Santesso N, Melegari C, Akl EA, Guyatt G, Muti P. An instrument to assess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nutrition: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0; 8(1): 26. 

  4. Jang JY, Kim MJ, Han JS.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0): 1362-1372. 

  5. Han SS, Kim S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ietary intake up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ged. Korean J Nutr 1988; 21(5): 333-347. 

  6. Lim YS, Cho KJ, Nam HJ, Lee KH, Park H.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57-267. 

  7.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R);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KR).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0.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8. Lee JW, Kim KA, Lee MS.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taking free congregate lunch meals compared to the middleincome class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1998; 3(4): 594-608. 

  9. Kim OS, Ryu HS. The study on blood lipid levels according to the food habits and food intake patterns in Korean elderly. Korean J Food Nutr 2009; 22(3): 421-429. 

  10. Chen SH, Cheng HY, Chuang YH, Shao JH. Nutritional status and its health-rel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rural and urban areas. J Adv Nurs 2015; 71(1): 42-53. 

  11. Cho YE, Lee SL, Cho EH, Lomeda RA, Kwak EH, Kim YH, Kwun IS.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between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6): 698-707. 

  12. Kang M, Joung H, Lim JH, Lee YS, Song YJ.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1; 44(2): 152-161. 

  13. Bianchetti A, Rozzini R, Carabellese C, Zanetti O, Trabucchi M. Nutritional intake,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in a large elderly population. J Am Geriatr Soc 1990; 38(5): 521-526. 

  14. Gu W, Rennie KL, Lin X, Wang Y, Yu Z. Differences in bone mineral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Chinese men and women. Bone 2007; 41(3): 393-399. 

  15. Lee MJ, Kim JH, Park OJ, Lee YM.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65-74. 

  16. Kim MK, Han JI, Chung YJ.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y food intake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Korean J Nutr 2011; 44(6): 537-550. 

  17. Kwak CS, Yon M, Lee MS, Oh SI, Park SC. Investigation on influencing environmental factors on health status of Korean septuagenarians dwelling in longevity region in Jeonla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2): 142-162. 

  18. Kwon JH, Yoon HJ, Moon HJ, Lee JM, Son YH, Park SH, Lee HK, Lee SK. Antropometric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omen attend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n urban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6): 762-768. 

  19. Yoon HJ, Lee HK, Lee SK.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50-57. 

  20. Lee KH, Park MY. Nutrient intake of the rural elderly living in Kyungnam: focusing on health and aging status, and life-satisfact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5): 773-788. 

  21. Kim HR, Ju MJ, Moon HK, Kim HY.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 2007; 22(6): 765-774. 

  22. Lim Y, Cho K, Nam H, Lee K, Park H.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between low-incom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 29(2): 257-267. 

  23. Porter EJ. Problems with preparing food reported by frail older women living alone at home. ANS Adv Nurs Sci 2007; 30(2): 159-174. 

  24. Yap KB, Niti M, Ng TP. Nutrition screen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Singapore. Singapore Med J 2007; 48(10): 911-916. 

  25. Lim YJ, Choi YS.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the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1): 58-67. 

  26. Pearson JM, Schlettwein-Gsell D, van Staveren W, de Groot L. Living alone does not adversely affect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of 70- to 75-year-old men and women in small towns across Europe. Int J Food Sci Nutr 1998; 49(2): 131-139. 

  27. Davis MA, Murphy SP, Neuhaus JM, Lein D. Living arrangements and dietary quality of older U.S. adults. J Am Diet Assoc 1990; 90(12): 1667-1672. 

  28. Kim Y, Seo S, Kwon O, Cho MS.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Nutr 2012; 45(3): 252-263. 

  29. Yim KS, Lee TY.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2004; 37(3): 210-222. 

  30. Ahn SJ, Kang SA.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among the Korean elderly.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99; 15(1): 81-94. 

  31. Fraser GE, Welch A, Luben R, Bingham SA, Day NE. The effect of age, sex, and education on food consumption of a middle-aged English cohort-EPIC in East Anglia. Prev Med 2000; 30(1): 26-34. 

  32. Payette H, Shatenstein B. Determinants of healthy eating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Can J Public Health 2005; 96 Suppl 3: S27-S31. 

  33. Kim EM, Choi MK. An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818-827. 

  34. Moon HK, Kim JE, Kim EH. Dietary intake assessment by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the season for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Nutr 2009; 42(3): 221-233. 

  35. Choe JS, Ahn EM, Kwon SO, Park YH, Lee J. Dietary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rural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12; 45(5): 470-478. 

  36. Chun SS, Yoon EJ. A comparative study of taste preference,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nutrition intake between the elderly in their 80's living in long life regions in Jeollanam-do and a part of Seoul. Korean J Food Nutr 2016; 29(1): 115-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