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 영향 요인
Influencing the Factors on Obesity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1, 2017년, pp.162 - 177  

장지혜 (강릉영동대학 간호학부) ,  권명순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obesity and dietary self-efficacy scal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obesity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458 fifth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Chuncheon city,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지역의 초등 5, 6학년 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및 비만과 식이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비만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의 차이를 확인한 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비만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아동의 비만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고학년의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남학생이며,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 거주하며,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체형이 ‘뚱뚱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더 비만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정도와 식이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비만군과 비해당군으로 구분한 아동 비만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과 식이 자기효능감을 확인하고,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와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질량지수의 백분위수에 따라 비만군을 분류하여 비교하였는데, 각 비만의 판정 기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이 달랐다. 공통적으로 차이가 있었던 특성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체형, 체중감량 경험, 비만인 가족 구성원, 어머니 직업 유무로 나타났고, 학년, 성별, 비만과 관련된 보건교육 경험은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만 있었고, 어머니 연령과 아버지 직업 유무는 비만여부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만 차이가 있는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비만과 식이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궁극적으로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지역의 차이를 포함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만과 식이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아동 비만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청소년 비만은 어떤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가? 7%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 12∼18세가 가장 높은 비만율을 보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2). 소아 청소년 비만은 학령기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함께 성인기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CDC, 2011), 학령기 비만이 치료되더라도 성인기에 다시 비만으로 이어지기 쉬워 예방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SSO], 2010).
식이 자기효능감의 지역별 차이는? 식이 자기효능감은 5학년이 6학년보다 높았고, 아버지의 직업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으로 평가한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특히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읍면지역이 가장 점수가 낮았고, 중소도시, 대도시 순으로 높았다. 지역별로 식이 자기효능감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가 거의 없어 비교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도시형, 농어촌형, 도서벽지형의 급식 유형에 따른 식이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급식 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Won & Shin, 2012).
소아 청소년 비만의 예방과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7%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 12∼18세가 가장 높은 비만율을 보였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2). 소아 청소년 비만은 학령기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함께 성인기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CDC, 2011), 학령기 비만이 치료되더라도 성인기에 다시 비만으로 이어지기 쉬워 예방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SSO],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Y. M., Sohn, M., & Choi, S. H. (2010). Comparison in weight, height, degree of obesity and body mass index among different methods for body shape classification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775-784. 

  2. Bang, K. S., Chae, S. M., Kim, J. Y., & Kang, H. J. (2012).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in late school aged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5(1), 33-38. 

  3. Chang, H., Kim, S. K., & Seo, D. I. (2011). Effects of group music rope-jumping on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serum lipid in obes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38-47.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0(2) [Internet]. Atlanta: Author. Retrieved October 10, 2015, from http://www.cdc.gov/mmwr 

  5. Choi, G. S., & Chung, Y. (2008). Degree of obesity and obesity related factors in school age children. Korean Business review, 1(1), 1-20. 

  6. Choi, S. J. (1998).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7. Clark, M. M., Abrams, D. B., Niaura, R. S., Eaton, C. A., & Rossi, J. S. (1991).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5), 739-744. http://dx.doi.org/10.1037/0022-006X.59.5.739 

  8. Dubois, L., Farmer, A., Girard, M., Peterson, K., & Tatone-Tokuda, F. (2007). Problem eating behaviors related to social factors and body weight in preschool children :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4(1), 1-10. http://dx.doi.org/10.1186/1479-5868-4-9 

  9. Jee, Y. J. & Kim, Y. H. (2013). Factors influencing obesity among adolescent: Analysis of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2(1), 39-49. http://dx.doi.org/10.7570/kjo.2013.22.1.39 

  10. Kang, S. Y., Ryu, H. S., & Cho, I. S.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senior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35-48. 

  11. Kim, H. S. (2001).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physical variables, habit and self-esteem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7(3), 308-321. 

  12. Kim, J. K., Im, J. S., Yim, J., Park, S. H., & Hong, D.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 obesity in Incheo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6(2), 76-85. 

  13. Kim, S. R. (2003). Relationship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5(4), 301-304. http://dx.doi.org/10.3803/EnM.2010.25.4.301 

  15. Lee, J. S. (2003). The effects of gender, obesity rat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n the dietary self-efficacy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5), 652-657. 

  16. Lee, K. E. & Kim, N. S. (2011).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dietary self-efficacy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253-261. 

  17. Lee, S. R. & Kim, J. H. (2011).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in Korea. Journal of Youth Welfare, 13(4), 91-117. 

  18. Marlow, D. R. & Reading, B. A. (1989). Textbook of pediatric nursing (6th ed.).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Co.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4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analysis presented.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March 10, 2016,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48&boardSeq6094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6&smoe&m040103&opTypeN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3) Daejeon: Author. Retrieved May 25, 2013,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 

  21. Nam, S. M. (2013). Effects of club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obese children on body composition, self 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619-632.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619 

  22. Parcel, G. S., Edmundson, E., Perry, C. L., Feldman, H. A., O'Hara-Tompkins, N., Nader, P. R., et al. (1995).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5(1), 23-27. http://dx.doi.org/10.1111/j. 1746-1561.1995.tb03335.x 

  23. Seo, N. S., Kim, Y. H., & Kang, H. Y. (2005). Effects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based on behavior modification and self-efficacy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611-620. 

  24. Sharif, I. & Blank, A. E. (2010). Health literacy relationship between child health literacy and body mass index in overweight childre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9(1), 43-48. http://dx.doi.org/10.1016/j.pec.2009.07.035 

  25. Shin, Y. H. (2005). A review of childhood obesit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2), 240-245. 

  26. Wabitsch, M. (2002). Molecular and biological factors with emphasis on adipose tissue development. Burniat, W., Cole, T. J., Lissau, I., & Poskitt, E. M. (Eds.),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Causes and Consequences, Prevention and Management (pp. 50-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dx.doi.org/10.1017/CBO9780511544675.005 

  27. Won, H. R. & Shin, G. B. (2012).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od service type in Gangwon province. Journal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5), 638-646. http://dx.doi.org/10.3746/jkfn.2012.41.5.638 

  28. Yang, S. J., Jang, S. H., & Kim, S. J. (2012).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lief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27-238. http://dx.doi.org/10.5932/JKPHN. 2012.26.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