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2, 2017년, pp.222 - 232  

이은미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례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exual knowledge, gender role attitude, parent efficacy for child's sex education, and marital consisten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성역할은 성 관련 견해의 주요 영역으로 부모는 성역할에 관한 올바른 신념과 태도를 갖춤으로써 자녀보호에 이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에 관한 고정관념과 성 문화를 다룸으로써 부모가 전통적인 성역할, 혼란스럽거나 불평등한 성에 관한 신념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평등한 성에 관한 가치관 및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이론 기반, 대상자 중심, 다양한 학습법을 활용한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본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참여자의 성 지식, 성역할 태도,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효능감, 부부 간의 일치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부모의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 부부간 일치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 연구이다.
  • 부부 간의 일치성 부족은 부모 사이의 의견 차이나 충돌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녀 보호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정보의 습득과 충분한 연습을 통해 성교육자로서 자신감과 부모효능감을 키워 자녀와의 대화를 시작하는 것을 돕고 부모 간의 상호교류와 일치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과 부모 간의 일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재 대상으로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참여시켰고 부모의 자신감과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효과측정의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 회기 구성을 위해 자녀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9]의 프로그램의 주제 및 제공 방법(4회기)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점과 보호기능 향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 평등을 포함한 사회적 성과 긍정적인 성을 통한 성 관련 가치관을 강화하기 위해 1회기가 추가되었다. 교육 장소는 방과 후 교육기관의 교실이었고 교육시간은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토요일 오전으로 하였다.
  • 이를 토대로 작성한 질문지를 통해 자녀 성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대상자 중 5쌍의 부모가 참여하였다. 부모 성교육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과 평소 자녀 성교육시 어려웠거나 궁금했던 점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성교육에 포함될 내용으로 임신과 출산, 생식기의 역할과 보호, 성폭력 대처방법, 성 고정관념과 성차별, 평등한 성역할과 가치관, 성 예절 등이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정보의 습득과 충분한 연습을 통해 성교육자로서 자신감과 부모효능감을 키워 자녀와의 대화를 시작하는 것을 돕고 부모 간의 상호교류와 일치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과 부모 간의 일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재 대상으로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참여시켰고 부모의 자신감과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효과측정의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 부부 간 일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의식이 많을수록 성폭력 피해 및 가해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성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양성 평등의식과 올바른 성역할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28]. 향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성 관련 지식 제공과 같은 인지적 측면 외에 사회적성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위협적 성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며, 올바른 성 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주제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교육이 가장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성교육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이다[5,12,13]. 많은 부모들이 자녀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때 학교의 보건교사나 지역사회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14].
국내의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이 지니는 한계점은 무엇입니까? 부모 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들은 성교육자로서의 부모 역할, 성에 대한 자녀와의 의사소통,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와 10대 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7,8,12,14,17]. 국내의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은 대개 가정통신문이나 강연회 형식으로 제공되어 그 효과가 미비하였고, 유아 및 학령전기,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부모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아버지의 참여율이 낮아 실제로는 어머니만의 교육효과를 측정하는 제한점이 있었다[9,18-20]. 이와 같이 기존의 부모성교육 프로그램들은 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일회성의 일 방향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접근이 미흡했던바, 성교육 서비스의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과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로 확대하고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실제 저학년 자녀의 부모 역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6].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와의 성에 대한 대화를 불편해하거나 부끄럽게 생각하고[7] 구체적인 성 지식과 교육 내용 및 방법 등을 잘 알지 못해 자녀 성교육에 어려움을 겪는다[8]. 특히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성 지식 수준과 성교육 참여의사, 책임감 및 준비 자세가 부족하고[6] 성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해 올바른 자녀 성교육을 실시하는 데 제한적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elev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eoul: Author; 2015. 

  2. Kim JY, Choi JH, Lee H, Kim SB. The influence of pornography use and social interaction on South Korean males'rape myth accepta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5;46:55-80. http://dx.doi.org/10.17997/SWRY.46.1.3 

  3. Cho YR, Kim JE, Park KM.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between low- and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2):119-12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2.119 

  4. Yoon IK, No SO, Park SY, Park SE, Song SK, Yu IK, et al. Sex education and sexual assault prevention materials research and developmen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p. 25-70. 

  5. Jeong GH, Yang SO, Kim SJ. Teachers' needs analysis about contents of sexual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1):35-42. 

  6. Jin HS, Park HR. Sexual knowledge and perception and current status of sex education among parents of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3):198-205. 

  7. Turnbull T, van Wersch A, van Schaik P. A review of parental involvement in sex education: The rol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British families. Health Education Journal. 2008;67(3):182-195. http://dx.doi.org/10.1177/0017896908094636 

  8. Liavshina G. Parents' participation in sex education of children. Problemy Sotsial'noi Gigieny, Zdravookhraneniiai Istorii Meditsiny. 2002;(3):22-24. 

  9. Lee EM, Kweon YR. Effects of a materna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70-37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70 

  10. Guem SH, Kim MH, Kang IS. Research on sex education of young children's mother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5;8(1):49-63. 

  11. Schuster EA, Kruger SF, Hebenstreit JJ. A theory of protection: Parents as sex educators.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5;7(3):70-77. 

  12. Vieira I, Fernandes O, Vieira RX. Evaluation of parents as partners in sex education. Sexologies. 2008;17(Suppl 1):S154. http://dx.doi.org/10.1016/S1158-1360(08)72946-3 

  13. Youn G. Preventive suggestions of sexual violence through school- and community-based sexuality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exual Health. 2015;2(1):31-40. 

  14. Wakley G. Helping parents with sex education. The Journal of Family Health Care. 2011;21(2):30-33. 

  15. Lee GY, Song SH.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 knowledge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3):406-416.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3.406 

  16. Sulak PJ, Herbelin SJ, Fix DD, Kuehl TJ. Impact of an adolescent sex education program that was implemented by an academic medical center.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6;195(1):78-84. http://dx.doi.org/10.1016/j.ajog.2005.12.011 

  17. Fisher CM, Telljohann SK, Price JH, Dake JA, Glassman T.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arents regarding sexuality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Sexuality Education. 2015;10(1):1-20. http://dx.doi.org/10.1080/15546128.2015.1009595 

  18. Eum JS. Effects of a parent-involvement sex education program for high primary-school gra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4;18(1):143-153. 

  19. Kim YS. Effects of parents sex education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08. p. 1-60. 

  20. Park SR. The effect analysis of parents sex education program to puberty [master's thesis]. Busan: Dong Eui University; 2009. p. 1-83. 

  21. Yang SO, Jeong GH, Kim SJ, Lee QY, Baek 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ool for sexu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3):334-343. 

  22. Ahn SS, Kim YS, Park KS, Lee SH, Kim J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uth Korean multifaceted gender perception test. Seoul: Kor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Promotion and Education; 2008.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xual education guideline. Seoul: Author; 2001. p. 25-111. 

  24. Aoosung. Sexual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Seoul: Author; 2009 [cited 2015 Sept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aoosung.com/edu/package/list.php?Index271. 

  25. Yoon IK, Roh SO, Park SY, Park SE, Song SK, Yu IY, et al.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ex education and sexual assault prevention materials. Seoul: Ministry of Educati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08. 

  26. Demetriadis SN, Papadopoulos PM, Stamelos IG, Fischer F. The effect of scaffolding students'context-generating cognitive activity in technology-enhanced case-based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2008;51(2):939-954. http://dx.doi.org/10.1016/j.compedu.2007.09.012 

  27. Michaelsen LK, Parmelee DX, McMahon KK, Levine RE, Billings DM.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2007. p. 169-170. 

  28. Choi IS, Kim JI. The effects of sexual violence myths, interpersonal violence acceptance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s on aggressive sexual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5;20(3):277-300. http://dx.doi.org/10.19158/kjwp.2015.09.20.3.277 

  29. Crosby RA, Hanson A, Rager K. The protective value of parental sex education: A clinic-based exploratory study of adolescent females.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2009;22(3):189-192. http://dx.doi.org/10.1016/j.jpag.2008.08.006 

  30. Somers CL, Anagurthi C. Parents'attitudes about adolescents' premarital sexual activity: The role of inter-parent consistency/inconsistency in sexual outcomes. Health Education Journal. 2014;73(5):545-553. http://dx.doi.org/10.1177/0017896913506702 

  31. Wight D, Fullerton D. A review of interventions with parents to promote the sexual health of their children.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3;52(1):4-27.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12.04.014 

  32. Kim MW, Kang MJ. The effects of double-income couples' gender role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1;49(8):25-35. http://dx.doi.org/10.6115/khea.2011.49.8.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