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30·40년대 한국영상자료 속 근대도시풍경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Scenery of the Modern City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1930·40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159 - 165  

문근종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930 40년대의 한국영상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의 도시풍경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시각 매체인 영화가 당대의 도시 경관과 인간 행위를 필연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1934년부터 1944년까지에 해당하는 8편의 조선 영상작품들이 선정되었으며, 영화 속에서 도시의 풍경은 크게 2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첫째, 근대적 건축물과 속도감의 교통수단으로 이루어진 거리 경관이 의도적으로 비추어졌는데, 이는 근대화의 빠른 물결 속에 놓인 경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둘째, 도시의 아파트, 양옥, 백화점, 카페, 호텔 등 서구적인 분위기의 건축 공간들이 조명되었는데, 이는 소수 상류층의 생활상과 새로운 서구문화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자 했던 대중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영화적 해결책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enery of the Modern City' revealed by Korean films of 1930 40s. It is assumed that films always reflect the cityscape and human activities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8 Korean films from 1934 till 1944 was constructed. In these film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1930·40년대의 영상자료들을 분석하여 당시 근대화에 놓인 도시의 풍경을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1930년대 중후반과 1940년대 초, 즉 일제강점 말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30·40년대의 한국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근대적 도시 풍경을 고찰하는 것이다.
  • 생김새, 성격, 계층 등 ‘등장인물’을 나타내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로 주인공들의 직업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6].
  • 이렇게 선정된 8편의 주요 분석대상을 통해 각 영상자료의 장면들과 등장인물의 대사, 그리고 관련 문헌들을 동시에 분석하고자 한다. 각각의 장면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며, 인물들의 대사는 작품 속에 설정된 인물관련 정보와 경관·공간에 대한 묘사, 스토리, 더 나아가 영화적 메시지까지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기능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자료는 어떤 집합체인가? ‘영화’로 대표되는 영상자료는 문화적 산물이자 뚜렷한 사회적 행위의 집합체이며[2]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를 통한 문화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1930-40년대 영상 자료에서 도시적 풍경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이러한 기초적 분석 다음으로 영상작품의 스토리와 주제, 사회문화적 맥락 등 분석 대상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당시의 도시적 풍경은 크게 2가지 특징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경성과 같은 도시는 빠른 근대화의 물결 속에 놓여 있었으며 이를 드러내기 위해 근대적인 도시 경관·거리를 배경으로 경성역 일대와 기차, 전차, 자동차 등이 존재감 있게 조명되었다. 다음으로는 도시에서의 서구적 생활방식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과 동경이 근대 건축 공간을 조명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1920년대의 조선 사회는 어떤 사회였는가? 1920년대의 조선 사회는 농촌과 도시를 가릴 것 없이 심각한 수준의 빈곤상태가 지속되었고 초근목피(草根木皮), 기아, 걸식, 춘궁(春窮) 등의 단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 시대였다[13]. 이러한 현상은 1930년대 중반까지 계속되었는데, 현실과 달리 영상작품 속 도시에서의 주거생활, 여가생활은 상당 부분 도시적, 서구적인 분위기로 표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 J. Moon, E. G. Seo, "The Use of Urban. Architectural Elements in Michelangelo Antonioni's Film-Focusing on the Cityscape of 1950.60s Ital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6, No. 11, p.294, 2010. 

  2. T. Graeme, Film as Social Practice(2nd ed.), Hannarae Publishing Co., pp. 66-67, 1994. 

  3. KOFA, List of 100 Korean Films, Korean Film Archive, p.242, 2013. 

  4. http://www.kmdb.or.kr 

  5. E. T. Jeong, K. H. Jung, H. J. Song,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aspects and storytelling from Imaging Content Produ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6, pp. 177-184, 2016. 

  6. W. J. Lim, “A Analysis on the Relations among Characters shown in SBS Wednesday and Thursday Drama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 pp. 481-486, 2015. 

  7. S. M. An, “Study on the Convergence between Spatial Design Education and On.Offline Communication Method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317-327, 2015. 

  8. H. Y. Park, The Past Unearthed: The Second Encounter-Collection of Chosun Films in the 1930s, Korean Film Archive, 2008. 

  9. J. W. Kim, The Series of Korean Films Vol. 1, Kookhak-Jaryowon, 2002. 

  10. M. H. Kim, History of Korean Films, Communication Books, Inc., p.88, 2006. 

  11. G. J. Moon, J. W. Lee, “A Study on the Images of the City of Seoul through Korean Film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esign Convergence Study, Vol. 13, No. 2, pp. 297-313, 2014. 

  12. W. G. Shim, S. H. Kang, S. J. Yeo, "Korean Apartment Housings from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18, No. 9, p.163, 2002. 

  13. J. M. Son, A Study on the Urban Social Aspect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ljisa, p.87, 1996. 

  14. H. Y. Park, The Past Unearthed: The Second Encounter-Collection of Chosun Films in the 1930s, Korean Film Archive, p.19, 2008. 

  15. G. J. Moon, A Study on the Images of Apartment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3. 

  16. J. H. Jeong, The Past Unearthed: The Third Encounter-Dear Soldier, Korean Film Archive, p.8, 2009. 

  17. G. J. Moon, J. W. Lee, "A Study on the Images of the City of Seoul through Korean Film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esign Convergence Study, Vol. 13, No. 2, p.309, 2014. 

  18. H. J. Lee, The Past Unearthed: The Third Encounter-Dear Soldier, Korean Film Archive, p.20, 2009. 

  19. K. N. Kim, “A ‘Study on ‘Convergent Media Art Information Visualization’ from the Creative Approach toward and Usability Perspective on Social Issues(Focusing on Ca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155-16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