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 당(堂)·실(室) 결합 건축의 가구특성 분석 -방형 평면의 맞배직교형 지붕 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ombined Architecture of Dang and Si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ectangular Plan and the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6 no.2, 2017년, pp.31 - 42  

김버들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patial recognition structure is emerging through the case of rectangular plan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Dang-Sil(堂室) and Gong(工) shape roof, and identifies a type of architec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has never been revealed. The conclusion of this 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옥의 평면을 칸 체계가 반복되는 메커니즘 또는 일정한 모듈로 구성할 경우의 단점은 무엇인가? 1) 이러한 관점은 한옥 평면의 기본 단위인 ‘칸’의 확장과 축소에 따른 격자형 기본 틀을 가지고 설명함으로써 어느 정도 한옥의 양식화(樣式化)와 가사제한2)과같은 제도적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유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칸은 2차원적으로 기둥과 기둥, 기둥과 보의 체계로 설명하기 때문에 입체적인 공간의 의미와 기능을 파악하는 데에 소홀한 점이 있다.
한옥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옥은 장방형 평면을 기본으로 인식하고 건축 구조와 가구를 해석한다. 특히 3 × 3칸의 평면은 5량 가구를 구성하는 데 유리한 일반적인 사례로 본다.
칸을 기본으로 하는 격자형 기본 틀의 이점은 무엇인가? 칸을 기본으로 하는 격자형 기본 틀은 좌우대칭과 중심성이 드러나는 정방형 장방형의 건축 설명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형 건축은 대부분 사방이 개방되어있는 구조로 궁궐의 주요 전각 및 사찰의 금당 등 권위건축에 유리한 평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연산군일기 

  2. 광해군일기 

  3. 선조실록 

  4. 국립한글박물관, 2015년 소장자료총서 2: 여러 여성들의 이야기, 열녀전, 2015 

  5. 문화재청, 아산 맹씨행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2 

  6. 문화재청,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2006 

  7. 문화재청, 향단 실측조사보고서, 1999 

  8. 아산시, 맹씨행단 건축유적지 발굴보고서, 1998 

  9. 김버들 이종서, 조선시기 궁궐건축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맞배직교형에서 팔작직교형으로-, 건축역사연구, 25권, 6호, 2016.12. 

  10. 성진욱, 한옥의 칸(間) 체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 유기원.김기주, 학봉종택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18권, 3호, 2009.6. 

  12. 이정미, 옛文獻에 나타난 室의 意味, 민족문화, 27집, 2004.12. 

  13. 이종서, 조선전기 '향단형(香壇型)' 주택의 건축과 공간 구획의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2권, 7호, 2016.7. 

  14. 이호열, 三栢堂의 건립 연원과 복원방향 -宗宅所藏家圖를 중심으로-, 안동사학, 11집, 2006 

  15. 전봉희.이강민, 3칸 $\times$ 3칸: 한국 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6. 전봉희.권용찬, 한옥과 한국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7. 조정식, 마당의 語意와 超越的特性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