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2, 2017년, pp.131 - 142  

이수정 (대구 파티마병원 중환자실)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related to life sustaining treatment (LST), and secondl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ress about LST. Methods: Participants were 202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세 변수간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명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명의료 중인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
  • 본 연구는 연명의료 중인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와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이들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와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세 변수간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명의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명의료란 무엇인가 연명의료(life-sustaining treatment)란 말기 환자의 상병 원인을 직접 치료하거나 주된 병적 상태를 개선할 수는 없지만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의학적 시술로, 치료 효과 없이 임종과정의 기간만을 연장하는 것을 말한다[1]. 중환자실의 경우, 사망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입실로 연명의료나 그 중단에 대해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2,3].
연명의료는 대부분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특히, 간호사는 환자의 질병과 죽음을 다루는 업무, 교대근무 조건, 점점 더 높은 수준의 간호 요구 등으로 인하여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7,8]. 고도의 의료기술과 장비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연명의료는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는데[4] 중환자실 간호사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와 연명의료 환자 모두에게 고도의 기술과 판단을 요하는 특수간호와 포괄적이면서도 숙련된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환자간호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간호수행의 어려움을 호소한다[9,10]. 또한 연명의료 환자간호에 있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에서 복잡한 기계와 장비조작의 부담감과 보호자와의 관계, 눈에 띄지 않으나 반복되는 과중한 간호업무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9].
의학기술의 발달은 간호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의학기술의 발달로 병원은 점차 전문분야로 세분화되고 조직구조도 복잡해져, 이로 인한 구성원의 이질성 증가로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가 존재한다[6]. 특히, 간호사는 환자의 질병과 죽음을 다루는 업무, 교대근무 조건, 점점 더 높은 수준의 간호 요구 등으로 인하여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7,8]. 고도의 의료기술과 장비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연명의료는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는데[4] 중환자실 간호사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와 연명의료 환자 모두에게 고도의 기술과 판단을 요하는 특수간호와 포괄적이면서도 숙련된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환자간호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해 간호수행의 어려움을 호소한다[9,10]. 또한 연명의료 환자간호에 있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상황에서 복잡한 기계와 장비조작의 부담감과 보호자와의 관계, 눈에 띄지 않으나 반복되는 과중한 간호업무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9].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업무만족 저하 및 좌절, 이직의도가 높아지고 양질의 환자간호 제공이 어려워진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vided the legal basis for hospice care, palliative care and withdraw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6 February 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29848 

  2. Monteiro F. Family reliance on physicians' decisions in life-sustaining treatments in acute-on-chronic respiratory diseases in a respiratory ICU: a single-center study. Respiratory Care. 2014;59(3):411-9. https://doi.org/10.4187/respcare.02695 

  3. Vanderspank-Wright B, Fothergill-Bourbonnais F, Brajtman S, Gagnon P. Caring for patients and families at end of life: The experiences of nurses dur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ynamics. 2011;22(4):31-5. 

  4. Jox RJ, Krebs M, Fegg M, Reiter-Theil S, Frey L, Eisenmenger W, et al. Limiting life-sustaining treatment in German intensive care units: a multiprofessional survey. Journal of Critical Care. 2010;25(3):413-9. https://doi.org/10.1016/j.jcrc.2009.06.012 

  5. Bae JM, Gong JY, Lee JR, Heo DS, Koh YS. A survey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life-sustaining therapy in nationwide medical institutions. The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10;25(1):16-20. https://doi.org/10.4266/kjccm.2010.25.1.16 

  6. Heo K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05;12(1):21-45. 

  7. Golubic R, Milosevic M, Knezevic B, Mustajbegovic J. Work related stress, education and work ability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0):2056-66. 

  8. Hoffman AJ, Scott LD. Role stress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registered nurses by work shift pattern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33(6):337-42. 

  9. Lee SJ, Kim HY. Experienc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patient car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2):172-83.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72 

  10. Park HS, Kim KN.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3):409-18. 

  11. Lim DS, Cho BH.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1):120-7. 

  12. Cho YA, Kim GS, Kim ES, Park HM, Yoo M, Lim EO, et al.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129-41. 

  13. Yaguchi A, Truog RD, Curtis JR, Luce JM, Levy MM, Melot C, et al.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end-of-life attitud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Results of a surve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5;165(17):1970-5. https://doi.org/10.1001/archinte.165.17.1970 

  14. Kim MS. Social perception of euthanasia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2 [cited 2015 November 16].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pdsdebate/view.do?menuId47&tid57&bid-1&ano176 

  15. Yeun EJ, Lee MY, Song MS. Attitudes toward life sustaining treatment (LST) among Korean adults: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011;22:129-45. 

  16. Scherer Y, Jezewski MA, Graves B, Wu YWB, Bu X. Advance directives and end-of-life decision making survey of critical care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Critical Care Nurse. 2006;26(4):30-40. 

  17. Park MO, Yun HJ. Nurse's experience dealing with ethical dilemma in intensive care uni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8):81-93. https://doi.org/10.14257/AJMAHS.2016.08.36 

  18. Park YO, Chang BH, Yoo MS, Cho YS, Kim HS. Nurses' perception ove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Education. 2004;7(2):198-216. 

  19. Adams JA, Bailey Jr. DE, Anderson RA, Docherty SL. Nursing roles and strategies in end-of-life decision making in acute car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1;2011:1-15. https://doi.org/10.1155/2011/527834 

  20. Silen M, Svantesson M, Ahlstrom G. Nurses' conceptions of decision making concerning life-sustaining treatment. Nursing Ethics. 2008;15(2):160-73. 

  21. Lee SH, Kim JS, Hwang MJ, Hwang BD, Park YJ. Ethical dilemma associated with DNR: The Attitude of clinical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998;4(1):147-62. 

  22. Byun EK, Choi HR, Choi AL, Hong KH, Kim NM, Kim HS.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on terminating life support.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3;9(1):112-24. 

  23. Lee HK, Kang HS. Attitudes and awareness toward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es, physicians, and familie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85-98. 

  24. Kwon YO, Ahn SH. The Attitude and perception on withdrawal of futile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patient self determination right among home care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2013;14(2):53-66. 

  25. Park GS. The study of consciousness of euthanasia among health professionals: Q-methodological approach [master's thesis]. Seoul: Dankook University; 2000. 

  26. Kim AK, Park GS. The study of meaning in euthanasia and hospice nursing among nurse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0;7(3):379-90. 

  27. Yi MS, Oh SE, Choi EO, Kwon IG, Kwon SB, Cho KM, et al.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298-309. https://doi.org/10.4040/jkan.2008.38.2.298 

  28. Ha MO. Nurses' awareness and attitudes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life sustaining medical care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29. Kim SJ. Experienced stress and adaptation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0 

  30. Han SS, Kim OS, Joo YS, Choi ED, Han JW. Effects of nurses' mentoring on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role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605-12. https://doi.org/10.4040/jkan.2013.43.5.6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