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 간의 수면, 피로도 및 신경인지기능 차이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2, 2017년, pp.190 - 199  

정유진 (삼성서울병원 간호사) ,  강승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A total of 100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50 were shift nurses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회상 편견이 나타날 수 있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 중심이기 때문에[7,8] 제한점이 있으며 신경인지기능검사로 직접 인지 기능을 파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많은 간호사들이 교대 근무를 하고 있는 현실에서 근무 형태에 따른 수면,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특히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과 피로의 수준을 조사하고 간호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수면의 질, 피로도, 신경인지기능에 대한 근무 형태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을 비교하여 근무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사의 건강관리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근무 형태에 따른 수면,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교대 근무 간호사가 비교대 근무 간호사보다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피로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비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하여 교대 근무 간호사가 교대 근무로 인해 일주기 리듬이 교란되어 수면의 질이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고 근무 형태에 따라 피로와 신경인지기능의 차이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간호 직무 수행 및 건강관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의 주요 항목들을 과학적으로 측정하여 기억력, 반응 시간, 전두엽의 억제 기능, 처리 속도 등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정상적인 수면-각성의 생리적 리듬을 훼손시키는 반복적 교대 근무가 신속하고 정확한 간호 처치를 생명으로 하는 간호사들의 인지기능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가설의 성격 상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야간 근무를 시킬 수 없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 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 간의 수면의 질,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의 차이를 비교하고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연구 진행의 협조를 구하기 위하여 각 부서 파트장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에 대해 알렸다. 교대 근무 간호사는 내과계와 외과계 및 소아계 부서에서 일하는 간호사를, 비교대 근무 간호사는 검사실, 외래, 사무실, 회복실 및 투석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 교대 근무와 오류, 직무 몰입도, 작업 능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선행연구들이 있지만[8,16] 대부분 자가 보고식의 설문조사였으며 회상 편견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의 주요 항목들을 과학적으로 측정하여 기억력, 반응 시간, 전두엽의 억제 기능, 처리 속도 등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정상적인 수면-각성의 생리적 리듬을 훼손시키는 반복적 교대 근무가 신속하고 정확한 간호 처치를 생명으로 하는 간호사들의 인지기능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표시한 대상자의 근무를 확인하여 만날 날짜를 정하였다. 약속한 날짜에 연구자가 대상자의 근무 부서를 방문하여 연구자가 직접 연구목적에 대해 1:1로 대면 설명하고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은 후 자료수집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에게 24시간 교대 근무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 신속한 대처를 하며 환자를 돌보아주기 위해 24시간 교대 근무를 필요로 한다.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보통 3개조로 근로자를 나누어 1일 근무를 2개 이상 시간대로 분할하여 교대로 작업하는 형태이다.
간호사의 수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의 수면은 개인의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환자 안전 및 간호 업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교대 근무 간호사는 수면 부족과 낮은 수면의 질로 인해 판단 잘못과 투약 오류가 증가되고[7] 근무 중 졸림으로 인해 인지한 오류 경험이 증가한다[8].
간호사의 교대 근무가 수면패턴에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교대 근무는 보통 3개조로 근로자를 나누어 1일 근무를 2개 이상 시간대로 분할하여 교대로 작업하는 형태이다. 교대 근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는 비교대 근무 간호사에 비해 정해진 시간에 잠을 자지 못하고 연속해서 잠을 자거나 깊을 잠을 자지 못하는 수면 패턴을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dell-Gustafsson UM, Kritz EI, Bogren IK. Self 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02;16(2):179-87. https://doi.org/10.1046/j.1471-6712.2002.00078.x 

  2. Han KS, Park EY, Park YH, Lim HS, Lee EM, Kim L, et al.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2):121-31.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2.121 

  3. Harris A, Waage S, Ursin H, Hansen AM, Bjorvatn B, Eriksen HR. Cortisol, reaction time test and health among offshore shift workers. Psychoneuroendocrinology. 2010;35(9):1339-47. https://doi.org/10.1016/j.psyneuen.2010.03.006 

  4. Kunert K, King ML, Kolkhorst FW. Fatigue and sleep quality in nurse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007;45(8):30-7. 

  5. Moon IO, Lee YJ. Factors influencing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negative affectivity in shift-working nurses. Womens' Studies Forum. 2015;25(3):45-68. 

  6. Lee KS, Kwon IS, Cho YC.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job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8):3523-31. https://doi.org/10.5762/KAIS.2011.12.8.3523 

  7. Yi YH, Choi SJ. Association of sleep characteristics with medication errors for shift work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03-12.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403 

  8. Kim MS, Kim JR, Park KS, Kang YS, Choe MSP.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3;38(4):229-42. https://doi.org/10.5393/jamch.2013.38.4.229 

  9. Rouch I, Wild P, Ansiau D, Marquie JC. Shiftwork experience, age and cognitive performance. Ergonomics. 2005;48(10):1282-93. https://doi.org/10.1080/00140130500241670 

  10.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3):223-30. 

  11. Suzuki K, Ohida T, Kaneita Y, Yokoyama E, Miyake T, Harano S, et al.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04;46(6):448-54. https://doi.org/10.1539/joh.46.448 

  12.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icine Reviews. 2006;10(5):323-37. https://doi.org/10.1016/j.smrv.2005.11.001 

  13. Akerstedt T, Wright KP. Sleep loss and fatigue in shift work and shift work disorder. Sleep Medicine Clinics. 2009;4(2):257-71. https://doi.org/10.1016/j.jsmc.2009.03.001 

  14. Shin SW, Kim SH.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2):123-30.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23 

  15. Lin SH, Liao WC, Chen MY, Fan JY. The impact of shift work on nurses' job stress, sleep quality and self perceived health statu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5):604-12. https://doi.org/10.1111/jonm.12020 

  16. Dorrian J, Tolley C, Lamond N, van den Heuvel C, Pincombe J, Rogers AE, et al. Sleep and errors in a group of Australian hospital nurses at work and during the commute. Applied Ergonomics. 2008;39(5):605-13. https://doi.org/10.1016/j.apergo.2008.01.012 

  17. Machi MS, Staum M, Callaway CW, Moore C, Jeong K, Suyama J,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sleep, and cognition in career emergency physicia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12;19(1):85-91. https://doi.org/10.1111/j.1553-2712.2011.01254.x 

  18. Rollinson DC, Rathlev NK, Moss M, Killiany R, Sassower KC, Auerbach S, et al. The effects of consecutive night shifts on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of inter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pilot study.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3;41(3):400-6. https://doi.org/10.1067/mem.2003.77 

  19. Kim HJ, Lee JH, Choi KG, Park KD, Chung EJ, Kim EJ, et al.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in medical residents and interns.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2006;3(2):85-92. https://doi.org/10.13078/jksrs.06015 

  20. Ozdemir PG, Selvi Y, Ozkol H, Aydin A, Tuluce Y, Boysan M, et al. The influence of shift work on cognitive functions and oxidative stress. Psychiatry Research. 2013;210(3):1219-25.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3.09.022 

  21. San Chang Y, Wu YH, Hsu CY, Tang SH, Yang LL, Su SF. Impairment of perceptual and motor abilities at the end of a night shift is greater in nurses working fast rotating shifts. Sleep Medicine. 2011;12(9):866-9. https://doi.org/10.1016/j.sleep.2011.03.018 

  22.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https://doi.org/10.1016/0165-1781(89)90047-4 

  23. Krupp LB, LaRocca NG, Muir Nash J, Steinberg AD.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chives of Neurology. 1989;46(10):1121-3. https://doi.org/10.1001/archneur.1989.00520460115022 

  24. Gualtieri CT, Johnson L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 battery, CNS Vital Sign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06;21(7):623-43. https://doi.org/10.1016/j.acn.2006.05.007 

  25. Akerstedt T. Shift work and disturbed sleep/wakefulness. Occupational Medicine. 2003;53(2):89-94. https://doi.org/10.1093/occmed/kqg046 

  26. Garde AH, Hansen AM, Hansen J. Sleep length and quality, sleepiness and urinary melatonin among healthy Danish nurses with shift work during work and leisure time.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09;82(10):1219-28. https://doi.org/10.1007/s00420-009-0419-4 

  27. Hong EJ, Choi Kwon S. Effects of sleep and fatigue on soldiers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ar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1):106-15. https://doi.org/10.7475/kjan.2016.28.1.106 

  28. Kleinman L, Zodet MW, Hakim Z, Aledort J, Barker C, Chan K, et 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fatigue severity scale for use in chronic hepatitis C. Quality of Life Research. 2000;9(5):499-508. https://doi.org/10.1023/A:1008960710415 

  29. Kazemi R, Haidarimoghadam R, Motamedzadeh M, Golmohammadi R, Soltanian A, Zoghipayar MR. Effects of shift work on cognitive performance, sleep quality, and sleepiness among petrochemical control room operators. Journal of Circadian Rhythms. 2016;14(1):1-8. https://doi.org/10.5334/jcr.134 

  30. Durmer JS, Dinges DF. Neurocognitive consequences of sleep deprivation. Semin Neurol. 2005;25(1):117-29. https://doi.org/10.1055/s-2005-8670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