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조성이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성동구 서울숲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Urban Park Development on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s - Focused on Gentrification around Seoul Forestry Park in Seongdong-gu -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2, 2017년, pp.76 - 88  

문승운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  구진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의 도시공원은 도시자연경관 보호, 도시민의 건강 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 등의 본원적 역할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도시의 공간구조를 재조정하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역할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도시공원의 역할이 이론뿐만 아니라, 과연 현실에서 실증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으로 인해 야기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도시공원이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이라 여기고, 젠트리피케이션 지수를 통해 도시공원 조성과 도시공간구조 변화와의 관계를 실증적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대상은 '서울숲'이 위치한 성동구이다. 서울숲은 서울을 대표하는 초대형 도시공원으로, 2005년 개장 이후 주변 지역에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성동구의 도시공간구조가 변화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방법으로는 젠트리피케이션 지수 및 도시공원 접급성 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도시공원 조성 전과 후의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의 변화,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와 도시공원 접근성 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서울숲이 위치한 성동구 지역의 491개 집계구의 2000년, 2005년, 2010년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이중차분법과 선형확률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숲의 조성으로 인해 성동구의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의 분포양상 및 방향성이 역전되었으며, 도시공원과의 접근성이 향상될수록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공원은 젠트리피케이션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도시공원으로 인한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는 동인이자 결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은 도시시스템의 일부로써 도시의 공간구조 및 형태를 만드는데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프라스트럭처로써의 도시공원, 또는 도시의 시스템 등 이론적으로 거론되던 도시공원의 역할들을 실제 사례와 자료를 가지고 실증적 계량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rban park plays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the urban landscape and improving citizens' health, recreation, and the emotional life. Above and beyond these roles, the urban park is expected to rearrange urban spatial structures as a kind of urban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의 역할로 기대되는 것은? 오늘날의 도시공원은 도시자연경관 보호, 도시민의 건강 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 등의 본원적 역할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는 도시의 공간구조를 재조정하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역할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도시시스템으로써의 도시공원의 역할이 이론뿐만 아니라, 과연 현실에서 실증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시공원과 도시공간구조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택한 대상지는 어디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도시공간구조를 변화시키는 동인으로 여기고, ‘도시공원 조성 →도시공간구조 변화’의 논리적 관계를 실증적․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선택한 대상지는 ‘서울숲’이 위치한 성동구이다. 서울숲은 서울을 대표하는 초대형 도시공원으로, 2005년 개장이후 주변 지역에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사회적 현안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다. 특히, 성동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으로 인한 기존 임차인들의 퇴거를 염려하여 최근 국내 최초로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지역이다.
도시공원이 담당하는 도시의 순기능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에 따르면 도시공원은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밖에도 도시공원은 도시 내의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고, 재해발생시 피난장소로도 이용되는 등 도시 내에서 다양한 순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건강, 환경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도시공원의 역할은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tkinson, R.(2000) Measuring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in grater London. Urban Studies 37: 149-165. 

  2. Bae, J. H.(2004) Theoretical terrains and design strategies of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 (1): 69-79. 

  3. Brown, K. and E. Wulu(2001) A new gentrification? A case study of the russification of Brighton Beach, New York. Geographical Bulletin Gamma Theta Upsilon 42: 94-105. 

  4. Bunster, O.(2001) Landscape urbanism. Urban Land July 1: 1-8. 

  5. Byeon, P. S.(2003) A discussion of the explanations of gentrification -Focusing on Ley's and Smith's works in the 1980.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6(2): 471-486. 

  6. Choi, B. H.(2012) Genrtrification Effect of Redeveloped Inner City Apartment Housing in Seoul. Ph. D. Dissertation, Gwangwoon University. Seoul. 

  7. Clark, E.(2005) The order and simplicity of gentrification: A political challenge, in: R. Atkinson and G. Bridge(Eds) Gentrification in a Global Context: The New Urban Colonialism. pp. 256-264. London: Routledge. Google Scholar. 

  8. Clay, P.(1979) The Mature Revitalized Neighborhood: Emerging Issues in Gentrification. New York: The Gentrification Reader. 

  9. Figueroa, R. A.(1995) A housing-based delineation of gentrification: A small area analysis of regina, Canada. Geoforum 26: 225-236. 

  10. Freeman, L. and F. Braconi(2004)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New York in the 1990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1): 39-52. 

  11. Glass, R.(1964) Introduction to London: Aspects of Change. London: MacGibbon and Kee. 

  12. Greene, R. P. and J. B. Pick(2006) Exploring the Urban Communuty: A GIS Approach. Shin, J. Y., Lee, G. H., Kim, G. Y., Jeon, Y. W., Lee, S. I., Jo, D. H., Choi, E. Y., Kim, H. M., and Hong, I. Y. (역), 도시의 탐색.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1. 

  13. Hwang, H. Y., G. Y. Bak and B. S. Byen(2002) Urban Ecology and Urban Spatial Structure. Seoul: Boseongkag. 황희연, 백기영, 변병설(2002) 도시생태학과도시공간구조. 서울: 보성각. 

  14. Im, B. Y. and W. S. Seo(2014) Impact of time-periodic changes in development environments of large urban Park on apartment prices: Focused 1 on Seoripul Park.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0(3): 53-70. 

  15. Jung, H. J.(2005) Theories and issues of gentrification: Contextual analysi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49: 321-335. 

  16. Kang, C. H., J. M. Lee, S. B. Lee and S. W. Kim(2013) Tourism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 Method. Research Report to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7. Kim, J. H.(2013) Gentrifier of Seoul, Korea Urban Policy Association, Presentations of Fall Conference. 

  18. Kim, K. and Y. W. Nam(1998) Gentrification: Research trends end argument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3(5): 83-97. 

  19. Kim, K.(2007) The causes and factors generating gentrificatio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0(1): 37-49. 

  20. Kim, K.(2008) A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gentr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1(1): 75-84. 

  21. Kim, S. H. and H. N. Lee(2016) A case study on the gentrification process and caracteristics of Seongsu-dong. The Journal of Culture Contents 7: 81-105. 

  22. Kim, W. J. and Y. H. Son(2015)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urban form in neighborhood area by the creation of Seoul Forest Park and related town development plan. Seoul Studies 16(3): 1-12. 

  23. Kim, Y. M.(2014) Urban design concepts and strategies in landscape Urbanism.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4): 203-221. 

  24. Kim, Y. M.(2015) Criticism of landscape urbanism: Focused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discour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2): 87-104. 

  25. Kim, Y. M., and W. J. Jeong(2014) Development of landscape urbanism in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1-17. 

  26. Lee, C. H., W. H. Lee, S. H. Hwang, K. H. Lee and Kim, S. W. (2015) Social Science Data Analysis using STATA. Seoul: PnC Media 

  27. Lee, C. H. and J. H. Lee(2006)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urban accessibility during 1996-2005.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2(1): 113-133. 

  28. Lee, H. Y. and J. H. Shim(2009) The residential mobility pattern and its determinant factors of gentrifier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2(3): 15-26. 

  29. Lee, J. E.(2012) A Study on the Model of Park-based Mixed-use District around Urban Large Parks.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0. Lee, G. Y.(1992) Regional Transport. Seoul: Ilchokak. 이건영(1992) 지역교통론. 서울: 일조각. 

  31. Lee, J. H.(2006) Planing and policy. The Korea Spatial Planing Review 298: 17-25. 

  32. Lees(2010) A reappraisal of gentrification: Towards a geography of gentrification.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 389-408. 

  33. Lee, S. H., C. S. Kim, B. D. Jeong and G. C. Shin(2013) Sapce and Living. Daegu: Keimyung Univ. Press. 

  34. Ley, D.(1986) Alternative explanation for inner-city gentrification: A Canadian assessment.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6(1): 521-535. 

  35. Lim, H. J., J. Y. Kim, Cuz Potte and W. K. Bae(2013) Urban regeneration and gentrification: Land use impacts of the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on the Seoul's central business district. Habitat International 39: 192-200. 

  36. Nam, Y. W.(2015) Spatial Structure of the City. Gyung-gi: Bobmunsa. 남영우(2015) 도시공간 구조론(2판). 경기: 법문사. 

  37. Newman and Wyly(2006) The Right to Stay Put, Revisited: Gentrification and Resistance to Displacement in New York City: Urban Studies. 

  38. Noh, J. M. and I. S. Lee(2012) Differences due to the distance in the economic valuation of urban parks and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valuation.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3(1): 143-154. 

  39. Park, Burgess and McKenzie(1925) The C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Rubin, Donald B.(1974) Estimating causal effects of treatments in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6(5): 688-701. 

  41. Shin, S. Y., M. H. Kim and J. H. Mok(2006) The effects of Seoul forest project on neighborhood housing prices. Seoul Studies 7(4): 1-17. 

  42. Shin, J. Y. and K. Y. Kim(2014) Critical review of gentrification i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exploration of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3(1): 67-87. 

  43. Smith, N.(1987) Gentrification and the rent gap.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77(3): 462-465. 

  44. Wilson, D. and T. Mueller(2004) Representing 'neighborhood' growth coalitions, newspaper reporting and gentrification in St. Louis. The Professional Geographer 56: 282-294. 

  45. Woo, S. J.(2013) STATA for Economic Analysis. Seoul: Jiphil Media. 우석진(2013) 경제분석을 위한 STATA. 서울: 지필미디어. 

  46. Yoon, H. Y.(2010)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ejec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1): 84-97. 

  47. Yoon, H. Y.(2013) Is a high-quality park worth the cost? : Hedonic analysis of housing market near the high line, New York City.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13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