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고추장과 개량 고추장의 품질특성
Analysi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Red Pepper Pastes (Gochu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2, 2017년, pp.137 - 147  

박선영 (한국식품연구원) ,  김슬기 (한국식품연구원) ,  홍상필 (한국식품연구원) ,  임상동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red pepper pastes (Gochujang)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red pepper pastes. Methods: Proximate compositions, amino acid nitrogen contents, salt contents, color, viable bacteria, and inorganic substance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 고추장을 한국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에서 국제적인 식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전통 고추장과 시판 개량 고추장의 안전성과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전통 고추장의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료의 대표성 확보를 위해 전국 각 지역별로 수집한 전통 고추장과 시판 개량 고추장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성 질소, 염도, 색도, 미생물,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은 어떤 식품인가? 고추장은 고춧가루, 찹쌀, 밀, 메주, 소금 등을 섞어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간장, 된장과 더불어 우리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한 조미식품 중 하나이다.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정미성분, 고추의 매운맛과 당류에서 오는 단맛, 고추장 제조에 사용된 곡물류의 단백질이 효소작용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생성된 아미노산과 핵산에서 오는 구수한 맛, 식염에 의한 짠맛 그리고 미생물의 대사 및 발효작용으로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신맛이 잘 조화를 이루어 고추장 고유의 풍미를 지니고 있다(Kim YS 등 1993, Kim YS 등 1994a, Kim MS 등 1998, Kim DH & Kwon YM 2001).
전통 고추장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에 있어서 개량고추장과 다른 점은? 01 g/100 g으로 시료간의 일반성분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지방, 단백질 함유량은 전통 고추장이 개량 고추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탄수화물은 전통 고추장에 비해 개량 고추장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p<0.05).
고추장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추장의 품질은 원료의 종류와 배합비율, 고추장용 메주 제조 방법, 담금 방법과 시기, 지역의 기후 및 풍토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나타내며, 특히 전통 고추장은 국균에 의해 제조되는 개량식과는 달리 메주를 띄우는 과정에서부터 많은 종류의 곰팡이와 세균류가 증식하며, 숙성과정에서 이들이 분비하는 효소작용에 의해 전분질과 단백질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되고 내염성 효모와 젖산균등이 발효작용을 하여 고추장 고유의 풍미를 낸다(Cho HO 등 1981, Shin DH 1995b). 그러나 이 같은 제조 특성상, 제조 장소와 제조시기 및 제조자에 따라 고추장의 맛과 향기, 색 등 성분의 차이가 심하여 품질의 표준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Shin DH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e SK, Kang GS, Ma SJ, Bang KY, Oh MH, Oh SH. 2000. Pyojun sikpumbunseokak [Standard food analytic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60-463. 

  2. Chang MI, Kim JY, Kim SJ, Baek SH. 2011. Effect of sword bean Chunggukjang addition on quality of Kochu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9):1292-1299. 

  3. Cho HO, Park SA, Kim JG. 1981. Effect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koji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3(4): 319-327. 

  4. Cho YS, Jung EY, Lee MK, Yang CY, Shin DB. 2008. Surviv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Sunshik. J Food Hyg Saf 23(4):343-347. 

  5. Choo JJ. 2000. Anti-obesity effects of Kochujang in rats fed on a high-fat diet. Korean J Nutr 33(33):787-793. 

  6.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 HJ, Chung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2):214-218. 

  7. Hwang SH. 1998.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common salts in Korea. Korean J Environ Health Sci 14(1):73-86. 

  8. Jeong DY, Song MR, Shin DH. 2001.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Cult 16(3):260-267. 

  9. Kim DH, Kwon YM.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5):589-595. 

  10. Kim DH, Yoon HS, Youn KC, Sohn CB, Byun MW. 2001. Changed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72-77. 

  11. Kim DH. 2001. Effect of condiments on the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264-270. 

  12. Kim MS, Kim IW, Oh JA, Shin DH. 1998.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924-933. 

  13. Kim YS, Cha J, Jung SW, Park EJ, Kim JO. 1994a.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ices for industry-produced koji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4):453-458. 

  14. Kim YS, Kwon DJ, Koo MS, Oh HI, Kang TS. 1993.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5):502-509. 

  15. Kim YS, Shin DB, Koo MS, Oh HI. 1994b.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4):389-392. 

  16. Kong CS, Bak SS, Jung KO, Kil JH, Lim SY, Park KY.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 J Korean Fish Soc 38(5):281-285. 

  17.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4):588-594. 

  18. Lee S, Yoo SM, Park BR, Han HM, Kim HY. 2014. Analysis of quality state for Gochujang produced by regional rural famil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7):1088-1094. 

  19. Lee SM, Lim IJ, Yoo BS. 2003. Effect of mixing ratio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44-51.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67. 

  21.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3. Traditional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Seoul, Korea. pp 92-97. 

  22. Oh JY, Kim YS, Shin DH. 200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natural preservativ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835-841. 

  23. Park KY, Kong KR, Jung KO, Rhee SH. 2001. Inhibitory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in the tumor formation and lung metastasis in mice. J Food Sci Nutr 6(3):187-191. 

  24.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7.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fermented with Maesil (Prunus mume) powder or concentrate. Korean J Food Preserv 14(4):378-384. 

  25. Shin DH, Ahn EY, Kim YS, Oh JY.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containing horseradish or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1350-1357. 

  26. Shin DH, Kim DH, Choi U, Kim MS, A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901-906. 

  27.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a.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152-156. 

  28. Shin DH, Kim DH, Choi U, Lim EK, Lim MS. 1996b. Studies on the physicoc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157-161. 

  29. Shin DH. 1995a. Manufacturing proces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ochujang. Bull Food Technol 8(4):54-78. 

  30. Shin DH. 1995b.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of traditional home made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Korean J Diet Cult 10(5):427-434. 

  31. Son SH, Hong YJ, Han GJ, Yu SM, Yoo SS. 2013. Analysis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from Gochujang produced from Korean small farms. Korean J Food Cook Sci 29(5): 543-552. 

  32. Yoon SJ. 2003. Hangugui jeojang balhyoeumsik [Korean storaged and fermented food]. Shinkwang Publisher Co., Seoul, Korea. pp 43-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