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류 과일 껍질을 활용하는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최근 연구 동향
Recent Trends in New Functional Foods using Pomegranate Fruit Pe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2, 2017년, pp.181 - 190  

김성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프로그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 foods are of great significance since our society is accelerating into aging. An aging society has many physiological metabol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eart disease, cancer, dementia and geriatric diseases. Fundamental treatments for the elderly are almost impossibl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uneja 등(2016)은 천연 식물에 기반을 둔 항균제에 관한 연구에서 ellagic acid는 식품 매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했다. 갈은 닭고기에서 Escherichia coli O104:H4의 내열성에 대한 석류의 높은 ellagic acid의 산업적인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석류 분말 사용과 사용하지 않는 실험 사이에서 E.
  •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은 수요가 많은 합성 식품첨가물의 귀중한 대안으로 또는 식품보존제와 같은 식품의 안전성에 관계되는 물질로 식품 가공과정에 필요한 농축 충전제 및 식품증량제, 품질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 보조물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여러 식품 건강증진분야의 기능성 식품산업에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식품영양학계는 물론이고, 그 식품관련 산업계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 석류껍질 분말을 첨가할 경우에는 대장 세균에 의한 발효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및 부티르산을 생성했다. 석류껍질 분말의 항산화 활성의 증가와 단쇄 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생산은, 석류껍질 분말이 건강상의 이익을 증진하는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잠재적 성분으로 식품산업에 기여하는 것이다.
  • 천연물질 중에서 종양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을 찾는다는 것은 간암치료를 위해 특히 중요하다. 석류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사람의 간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성의 효과를 확인한 것에 대해 주목하게 된다.
  •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활용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기능과 생리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많은 만성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식물화학 물질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어, 이를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이용하는 것이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기능적 그리고 항감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식품첨가물로서, 기능적 식품 성분으로서, 또는 영양 보조 제제의 생물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그에 대한 기능성 활용과 관련한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기능과 생리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많은 만성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식물화학 물질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어, 이를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이용하는 것이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기능적 그리고 항감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식품첨가물로서, 기능적 식품 성분으로서, 또는 영양 보조 제제의 생물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그에 대한 기능성 활용과 관련한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은 수요가 많은 합성 식품첨가물의 귀중한 대안으로 또는 식품보존제와 같은 식품의 안전성에 관계되는 물질로 식품 가공과정에 필요한 농축 충전제 및 식품증량제, 품질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 보조물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특성이 있다.
  • 항산화 능력은 페놀 함량에 직접 관계하고 있는 것을 증명했고 반면, 항증식성 활성은 주로 ellaginic acid에 기인했다. 육류제품 생산에서 천연 항산화제는 합성 항산화제와 같이 안전성이 있다고 보아, 육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성, 기호성, 안전성 및 육류 제품의 품질수명을 위해 응용 가능성을 관찰했다. 사료 중에 석류 씨앗 펄프로 보리와 옥수수를 대체할 경우, 염소고기의 색과 지방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기능적 그리고 항감염의 특성에 관한 내용을 리뷰하고 있다. 식품첨가물로서, 기능적 식품 성분으로서 또는 영양보조 제제의 생물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그들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이 연구는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영양생리학적 및 식품학적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주로 Science Direct에 수록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검색의 key word; ‘pomegranate’ 이고, 연도의 refine filters; ‘2016’ 이며, 잡지의 refine filters; ‘Food Chemistry,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Food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Functional Foods, Innovative Food Science & Emerging Technologies, The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Nutrition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Phytochemistry,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에서 일차 검색하고, 미진한 부분은 2015년도 부분도 활용했다.
  • 앞으로 식품 과학 및 영양학 분야에서 과학적 연구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열 것이다. 이 연구는 여러 식품에서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 성분을 식품보존료, 안정제, 첨가제, prebiotics와 품질 강화와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실제 이용 가능한지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다만, 경제적인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 또, 이상 지방 혈증 환자의 일부 심혈관 위험인자에 석류껍질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했다. 이 연구에서 석류껍질 추출물이 고지혈증과 비만 여성에서 심혈관 위험인자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에 함유된 영양 기능 물질, 식품의 기호기능 물질, 생체조절기능 물질 및 식품 가공에 관련된 물질들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 개발하는 데 필요한 최신 연구 동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 Kazemi 등(2016)은 동남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재배되는 석류 품종 마라스 석류의 껍질에서 페놀추출을 위한 펄서 초음파 보조추출(pulse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PUAE)기술의 최적화를 연구했다. 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punicalagin 및 hydroxybenzoic acid의 최고의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얻을 수 있도록 PUAE 기술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10분간의 짧은 추출 적용은 생산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산 석류의 열매껍질에 있는 폴리페놀 함량 특징은? 특이한 것은 국내산 석류 과일의 부위별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껍질에서 과즙보다는 약 100배 정도 높았고, 수입산과 비교하여 열매껍질에서 2배 이상 많았다.
석류껍질이 석류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생리활성물질 함유 특성은? 석류는 중국의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에 사용하고 있는 식물의 일종이다(Li 등 2015). 석류 과일 무게의 약 50%의 달하는 과일 껍질에는 폴리페놀 화합물 등이 존재한다. 석류 과일을 가공하고 폐기되는 과일 껍질에는 강력한 항암성, 항산화성 및 항균성의 특성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상당한 양이 존재하는 특징이 있다.(Orgil 등 2014) 일반과일, 채소, 와인 및 차와 같은 식품과 음료에도 어느 정도 양의 페놀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상의 혜택을 주지만, 석류껍질에는 페놀화합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에는 어떤 기능이 있는가? 따라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활용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의 기능과 생리 기능 저하로 발생하는 많은 만성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식물화학 물질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어, 이를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이용하는 것이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기능적 그리고 항감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식품첨가물로서, 기능적 식품 성분으로서, 또는 영양 보조 제제의 생물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그에 대한 기능성 활용과 관련한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mad SR, Gokulakrishnan P, Giriprasad R, Yatoo MA. 2013. Fruit based natural antioxidants in meat and meat products: A review.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ttp://dx.doi.org/10.1080/10408398 

  2. Ahmed ST, Mun HMd, Manirul I, Ko S, Yang C. 2016. Effects of dietary natural and fermented herb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er-finisher pigs. Meat Science 122:7-15 

  3. Al-Muammar MN, Khan F. 2012. Obesity: The preventive role of the pomegranate (Punica granatum). Nutrition 28:595-604 

  4. Bartnick DD, Mohler CM, Houlihan M. 2006. Phenolic compounds can be extracted from plant materials by using different solvents such as methanol, acetone, water and ethanol water. U.S. Patent No. 20,060,088,627 

  5. Behnaz B, Javad A, Hossein T. 2015. Effect of pomegranate juice dipping and chitosan coating enriched with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on the shelf-life of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Innovative Food Sci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29:280-287 

  6. Borochov-Neori H, Judeinstein S, Tripler E, Harar M, Greenberg A, Shome I. 2009. Seasonal and cultivar variations in antioxidant and sensory qualit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ruit.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2: 189-195 

  7. Elsherbiny AE, Basma HA, Zakaria AB. 2016. Efficiency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s extract as a high potential natural tool towards Fusarium dry rot on potato tuber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111:256-263 

  8. Emami A, Fathi-Nasri MH, Ganjkhanlou M, Rashidi L, Zali A. 2016. Effect of pomegranate seed oil as a source of conjugated linolenic acid on performance and milk fatty acid profile of dairy goats. Livestock Science. 193:1-7 

  9. Esmaillzadeh A, Tahbaz F, Gaieni IH, Alavi-Majd LA. 2006.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concentrated pomegranate juice consumption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Int J Vitam Nutr Res 76:147-151 

  10. Galanakis CM. 2012 Recovery of high added-value components from food wastes: Conventional, emerging technologies and commercialized applications.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6:68-87 

  11. Gullon B, Manuela EP, Juana F, Jose AP, Manuel V. 2015.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of pomegranate peel (Punica granatum) flour obtained from coproducts: Changes in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bioactive compounds stability. Journal of Functional Foods 19:617-628 

  12. Gullon B, Manuela EP, Jose AP, Manuel. 2016. Assessment of polyphenolic profile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omegranate peel (Punica granatum) flour obtained from coproduct of juice extraction. Food Control 59:94-98 

  13. Haghighian MK, Maryam R, Abdolvahab M, Bahram P. 2016.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hydro alcoholic extract ameliorate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women with dyslipidemia: A double blind,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pilot stud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8: 123-129 

  14. Hashemi M, Kelishadi R, Hashemipour M, Zakerameli A, Poursafa P. 2010. Acute and long-term effects of grape and pomegranate juice consumption on vascular reactivity in paediatric metabolic syndrome. Cardiol Young 20:73-77 

  15. Iqbal S, Haleem S, Akhta M, Zia-ul-Haq M, Akbar J. 2008. Efficiency of pomegranate peel extracts in stabilization of sunflower oil under accelerated condition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1:194-200 

  16. Jee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40:1063-1072 

  17. Juneja VK, Vasco C, Ursula G, Sudarsan M, Mendel F. 2016. "Effect of pomegranate powder on the heat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04:H4 in ground chicken. Food Control 7:123-129 

  18. Kazemi M, Roselina KHM, Azizah AH. 2016. Optimization of pulsed ultrasound-assisted technique for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pomegranate peel of malas variety: Punicalagin and hydroxybenzoic acids. Food Chemistry 206:156-166 

  19. Kim MS, Yoon SH, Na HS, Lee JH. 2013. Chemic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imported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342-347 

  20. Koh JH, Hwang MH, Mun JS, Hwang SY,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1:171-179 

  21. Kumudavally KV, Tabassum A, Radhakrishna K, Bawa AS. 2009. Hydrolysable tannins of pomegranate peel have the capacity of efficiently inhibiting lipid oxidation in foods. Indian Pat IN 2007DE01607A 

  22. Li X, Humaira W, Linwei L, Tian Y, Ahmad I. 2015.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polypheno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omegranate juices from 10 Chinese cultiva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alysis. Food Chemistry 175:575-584 

  23. Masci A, Andrea C, Eugenio L, Luciana M, Patrizia P, Stefania C. 2016. Evaluati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rom pomegranate whole fruit or peels and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polyphenolic fraction. Food Chemistry 202:59-69 

  24. Mosele JI, Alba M, Mari-Paz R, Maria-Jose M, Laura R. 2015. Application of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and colonic fermentation models to pomegranate products (juice, pulp and peel extract) to study the stability and catabolism of phenolic compounds. Journal of Functional Foods 14:529-540 

  25. Nallely N, Paulina N, Sandra M, Francisca H, Angel AC, Aneta W. 2015.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jor derivatives of ellagic aci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inning and ripe Spanish pomegranates. Journal of Functional Foods 12:354-364 

  26. Nicosia MGL, Sonia P, Ginat FVR, Maria CS, Paolo R, Samir D, Leonardo A. 2016. Control of postharvest fungal rots on citrus fruit and sweet cherries using a pomegranate peel extract.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114:54-61 

  27. Orgil, O, Schwartz E, Baruch L, Matityahu, Mahajna J, Amir R. 2014.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potential of non-edible organs of the pomegranate fruit and tree.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58:571-577 

  28. Orgil O, Limor S, Doron H, Jamal M, Rachel A. 2016. The antiproliferative and anti-androgenic activity of different pomegranate accessions. Journal of Functional Foods 26:517-528 

  29. Pagliarulo C, Valentina DV, Gianluca P, Roberta C, Gabiria P, Paola S, Maria GV. 2016. Inhibitory effect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olyphenol extracts on the bacterial growth and survival of clinical isolates of pathogenic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Food Chemistry 190: 824-831 

  30. Palomba L, Sestili P, Cantoni O. 1999. The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induces apoptosis in human U937 cells: The role of hydrogen peroxide and altered redox state. Free Radical Research 931:93-101 

  31. Saeed A, Ismail T, Daniele F, Piero S. 2015. Pomegranate peel and peel extracts: Chemistry and food features. Food Chemistry 174:417-425 

  32. Sahebkar A, Simental-Mendia LE, Giorgini P, Claudio F. 2016. Lipid profile changes after pomegranate consump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hytomedicine 23:1103-1112 

  33. Seeram NP, Heber D. 2011. Purification of pomegranate ellagitannins and their uses. US patents: No. US 7919636 B2 

  34. Sestili P, Diamantin, G, Bedini A, Tarzia G. 2002. Plant-derived phenolic compounds prevent the DNA single-strand breakage and cytotoxicity induced by tert-butylhydroperoxide via an iron-chelating mechanism. Biochemical Journal 364:121-128 

  35. Shaban NZ, El-Kersh MAL, El-Rashidy FH, Habashy NH. 2013. Protective role of Punica granatum (pomegranate) peel and seed oil extracts on diethylnitrosamine and phenobarbitalinduced hepatic injury in male rats. Food Chemistry 141: 1587-1596 

  36. Song B, Li J, Li J. 2016. Pomegranate peel extract polyphenols induced apoptosis in human hepatoma cells by mitochondrial pathway.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93:158-166 

  37. Tarrega MA, Varela P, Fromentin E, Feuillere N, Issaly N, Roller M. 2013. Specific phenolic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a new dealcoholized red wine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extract.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20:421-429 

  38. Turgut SS, Ayla S, Fatma I. 2016. Effect of pomegranate peel extract on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beef meatball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Meat Science 116:126-132 

  39. Viuda-Martos M, Perez-Alvarez JA, Sendr E, Fernandez-Lopez J. 2013.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peel powder extract obtained as coproduct in the juice extraction process. Journal of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37:772-776 

  40. Wu XM, Tian W. 2013. Pomegranate husk extract, punicalagin and ellagic acid inhibit fatty acid synthase and adipogenesis of 3T3-L1 adipocyte. J Functional Foods 5:633-641 

  41. Zhao W, Li JK, He XY, Cheng YJ, Liu R. 2014. In vitro steatosis hepatic cell model to compare the lipid-lowering effects of pomegranate peel polyphenols with several other plant polyphenols as well as its related cholesterol efflux mechanisms. Toxicol. Rep 1:945-9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