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조건을 달리한 봄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숙성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 in Kimchi made of Spring Kimchi Cabbage during Fermentatio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2, 2017년, pp.378 - 387  

방혜열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조순덕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김병삼 (한국식품연구원 스마트유통시스템연구단)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의 주요 부식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의 연중 수급 안정화를 목적으로 봄배추 저장기간 연장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장조건 및 기간별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 중 변화를 연구한 실험 결과, 정선손실률은 저장 12주차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저장 6주와 12주 배추 모두 플라즈마+역방향+예건+HDPE film 처리구의 손실률이 가장 낮았다. 저장 12주 배추의 절임수율과 김치수율은 저장방법에 있어 정방향 처리구에 비하여 역방향+예건+HDPE film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수율이 저장 6주와 비교할 때 급격히 저하되어 상업적 가치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도는 제조직후에 비하여 숙성 1개월부터는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미미하였으나, 이 중 저장 6주 배추는 숙성 1개월부터 광촉매+정방향 처리구가, 저장 12주 배추는 저온저장+정방향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숙성 2개월째에 저장 6주의 광촉매+정방향 처리구와 12주의 플라즈마와 저온저장의 정방향 처리구가 염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H와 산도는 역방향+예건+HDPE film 처리구의 변화가 적어 정방향 처리구보다 숙성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적입 및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 정방향 처리구에 비해 역방향+예건+HDPE film 처리구가 우수한 점수를 얻었으며, 저장방법에 있어서는 저장 6주와 12주 배추 모두 플라즈마와 광촉매 저장기술을 이용한 처리구의 평가가 저온저장고($0.5^{\circ}C$)에서 저장한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김치의 적숙기로 볼 수 있는 숙성 1개월째에는 플라즈마, 광촉매, 저온저장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하여 플라즈마 및 광촉매 등 고도화 기술의 이용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만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질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냄새,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 저온저장($0.5^{\circ}C$) 처리구의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장기 숙성을 요하는 묵은지 제조 등에는 저온저장($0.5^{\circ}C$)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tabilize the supply of kimchi by extending the storage period of spring kimchi cabbage, this study manufactured kimchi from spring kimchi cabbage under varying storage conditions and periods, and analyzed their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maturing period. Trimming loss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해 저장기간 연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전처리 방법 중 역방향적입과 예건(Eum 등 2013) 및 저온저장(Chung DS 1997),HDPE 필름포장(Han ES 1998)과 살균 및 노화억제로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저장조건으로 알려진 플라즈마 큐어링(Oh 등 2015), 광촉매처리(Choi YJ 2007)를 병용하는 등 다양한 저장방법으로 기간의 차이를 두고 저장한 봄배추로 김치 제조 후 숙성 중 품질특성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봄배추 저장에 적합한 조건 및 기간을 확립하고, 김치 적성 향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영양소적 특징은 무엇인가? 김치는 한국인이 쌀과 우유 다음으로 많이 먹는 주요 부식이며, 밥상에 빠져서는 안 될 찬류로 세계에 우리나라를 알리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이다. 또한 김치는 식이섬유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높고, 각종 비타민 성분과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 정장 및 항염증효과, 항노화 등 다양한 기능성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Kim 등 2002; Bong 등 2013; Park 등 2013; Park 등 2014).김치의 주재료인 배추(Brassica rapa L.
배추의 특징은? ssp. pekinensis)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잎줄기채소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어 봄, 여름, 가을에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 소비량이 가장 많은 채소 중의 하나이다(Park 등 2013;Kim 등 2014). 김장철에 특히 수요가 급증하여 매해 가격 변동 및 수급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으로(Kim 등 2012; Kim 등 2014), 이를 해소하고자 전통적으로 배추를 주재료로 하지 않고, 지역산물과 계절작물 등 다양한 채소를 이용한 김치가 개발 전수되어 왔으나, 김치 자체뿐 아니라, 찌개, 국, 볶음, 찜 등 요리의 주․부재료로 폭넓게 이용되는 배추김치의 수요는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Kim 등 2012).
최근 김치관련연구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김치관련연구는 재료부터 품질, 가공, 발효, 식품화학, 영양 및 기능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으며(Kim& Lee 2014),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 욕구 증가에 따라 미더덕, 녹차, 키토산, 뽕잎추출액 등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기능성을 높인 김치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Lee &Rho 2014).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김장을 할 때 절임배추의사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절임시간과 염도에 관한 연구(Ryu 등 2014) 및 절임배추의 제조 시 살균기술(Lee KH2008), 절임기술(Lee 등 2009), 계절별 절임배추의 품질특성(Ku 등 2014) 등 신선식품인 배추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배추 자체의 품질변화속도를 억제하고,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연구로는 CA저장(Park 등 1999), polyethylene film 포장 및 저온저장(Chung DS1997), 예건 및 저온저장(Lee 등 2001), 예냉 등 저장 및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대부분 월동배추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SJ, Eum HL, Kim BS, Yoon JR, Hong SJ. 2015.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highland-grown kimchi cabbage 'Choon Gwang' during cold storage after pretreatments. Korean J Hort Sci Technol 33:233-241 

  2.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717-1726 

  3. Cho SD, Bang HY, Lee EJ, Kim GH.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napa cabbage kimchi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J Korean Soc Food Cult 31:188-193 

  4. Choi YJ. 2007. Effects of TiO2/UV photcatalytic reaction on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of i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Grauate School. Dep of Biotechnology, Yonsei Univ 

  5. Chung DS. 1997. Low temperature storage of Chinese cabbage. The Monthly Horticulture, Sept 135-137 

  6. Eum HL, Bae SJ, Kim BS, Yoon JR, Kim JK, Hong SJ. 2013. Postharvest quality changes of kimchi cabbage 'Choongwang' cultivar as influenced by postharvest treatments. Korean J Hort Sci Technol 31:429-436 

  7. Jeo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75-479 

  8. Kang M, Jung H, Seo HY. 2015.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on the quality of kimchi paste. Korean J Food Cook Sci 31:725-732 

  9. Kim BS, Kim MJ, Kim OW, Kim GH. 2001. Quality changes of winter Chinese cabbage by different packing and loading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30-36 

  10. Kim JH, Ryu JD, Lee HG, Park JH, Moon GS, Cheigh HS, Song YO. 2002. The effect of kimchi o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of S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117-123 

  11. Kim KJ, Lee K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th-East Asian fish sau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862-874 

  12. Kim MJ, Kim SD.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major spring Chinese cabbage cultivar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343-348 

  13. Kim SS, Seong GU, Hwang KY, Jeong MC, Chung SK. 2014. The Short-term storage characteristics of cut kimchi cabbages treated with $Ca^{2+}$ . Korean J Food Preserv. 21:157-162 

  14. Kim YW, Han SY, Choi HS, Han GJ, Park HY. 2012. Effect of pre-fermentation con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packaged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Cook Sci 28:391-397 

  15. Ku KH, Choi EJ, Jeong MC. 2014.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seasonal cultivar of salted-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Korean J Food Preserv 21:512-519 

  16. Lee IK, Hong SJ, Yeoung YR, Park SW, Ku OS. 2001. Effects of postharvest predrying on starabiliyt of 'Norang' Chinese cabbage. Kor J Hort Sci Technol 19:521-525 

  17. Lee KH. 2008.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0-96 

  18. Lee SW, Cho SR, Han SH, Rhee C. 2009.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w salt solu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Nutr 22:377-386 

  19. Lee YS, Rho JO. 2014.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mulberry leaves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827-836 

  20. Oh BY, Jo GS, Lee YS, Kang JH, Jang MH, Hwangbo IS. 2015. Quality change of mini sweet pompkins (suppress cultivation, fall planting) during storage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22:779-787 

  21. Park KB, Kim SG, Oh CH, Jeon JI, Oh SH. 2014. Gastric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and storage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 27:692-698 

  22. Park MK. 2002.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cad Ind Soc 3:27-31 

  23. Park SE, Bong YJ, Kim HY, Park K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Korean and Japanese spring Baechu cabbages and the kimchi prepared with such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20:854-862 

  24. Park SJ, Lim BS, Hong SS. 1999. Effect of CA storage on postharvest quality of Chinese cabbage grown in summer. Kor J Hort Sci Technol 17:647-647 

  25. Ryu JP, Yang JH, Chung YB, Lee SI, Han E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salted at high salt concentration for a short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913-1919 

  26. Shin JH, Kim RJ, Kang MJ, Kim GM, Sung NJ. 2012. Qua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arlic-added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9:539-546 

  27. Yun JY, Jeong JK, Moon SH, Park KY. 2014. Effects of brined Baechu cabbage and seasoning on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081-1087 

  28. Han ES, Seok MS, Park JH. 1998.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07-13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