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중, 여고생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reast-Self Examina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47 - 157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  이정민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  민혜영 (동국대학교 간호학부) ,  민혜영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ward breast self-examination (BS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412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증진행위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지식과 태도는 건강증진 행위의 실천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어왔으며[21,22] 향상지식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영향을 주어 실천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22]. 따라서 본 연구는 여중, 여고생을 대상으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를 기반으로 여중, 여고생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여중, 여고생들의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중고등학생들에게 적합한 유방자가검진 교육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유방암 발병연령이 낮아지고 초경연령이 빨라지면서 10대 유방암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18] 이차성징이 발생하는 10대부터 유방암 자가검진을 조기에 시작할 것을 국외에서도 권유되고 있다[19].
  • 본 연구는 여중, 여고생을 대상으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정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중,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유방자가검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여중, 여고생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및 실천 정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여중, 여고생 대상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올바른 지식과 실천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여중, 여고생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중, 여고생을 대상으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 추후 이를 기반으로 여중, 여고생을 대상으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자가검진의 장점은 무엇인가? 유방은 여성의 성적 상징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미혼이나 젊은 여성들은 특별한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검진을 받는 것을 다소 부담스러워하거나 꺼리는 경향이 있다[9]. 그러나 유방자가검진은 가장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규칙적으로 자가검진을 해봄으로써 자신의 유방 형태 등에 익숙해져 새로 생긴 몸의 작은 변화도 쉽게 알 수 있다[6]. 다른 검사에 비해 비용이 들지 않으므로 부담이 적은 경제적인 방법이며 매월 유방자가검진을 하는 경우에는 유방암 1기에서 진단받을 확률이 유방자가검진을 안하는 여성보다 3배 이상 높았다[6,7].
국내 유방암 자가검진 시작연령은 무엇인가? 또한 14세 이전 초경을 시작한 여성은 15세 이후 초경을 한 경우보다 유방암 발생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11]. 그러나 국내 유방암 자가검진 시작연령은 30세로 권고되고 있어[8], 미국암 학회에서 20세를 시작연령으로 권장한 것보다 늦은 시기이다[6]. 중고등학교 보건교육에서 유방자가검진을 포함한 조기 암 발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국내 선행 연구에 의하면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 유방자가검진의 지식과 실천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8,12].
청소년기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중, 고등학생에 해당되는 청소년기는 성인초기의 전 단계로, 이 시기의 건강증진행위는 성인기의 건강습관 및 건강에 영향을 주게 되어 [13,14] 성인기 이후의 건강증진을 위한 올바른 건강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이다[15]. 그러므로 유방암의 조기발견을 위해서는 청소년기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건강습관 형성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Internet]. Seje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citied 2016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15687&page1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6 [cited 2017 January 4].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 sub02/sub04.html.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s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by age [Internet].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citied 2016 December 18]. Available from: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7_N018&dbUserNSI_IN_350# 

  4. Breast cancer org. Thirteen year old daughter has a lump [Internet]. Pennsylvania: Breast cancer org; 2013 [citied 2017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community.breastcancer.org/forum/83/topic/672981 

  5. Min YK, Kim NR, Cho SJ, Kim AR, Bae JW, Koo BH.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prognosis of Korean young age or 35 year old onset breast cancer. Journal of Breast Cancer. 2001;4(1):74-79. https://doi.org/10.4048/jkbcs.2001.4.1.74 

  6. Harmer V. Breast cancer nursing care and management. 2nd ed. John Wiley & Sons; 2011. p.309-320. 

  7. Przezdziecki A, Sherman KA, Baillie A, Taylor A, Foley E, Stalgis-Bilinski K. My changed body: breast cancer, body image, distress and self compassion. Psycho-Oncology. 2013;22(8):1872-1879. https://dx.doi.org/10.1002/pon.3230 

  8. Chung BY, Lee SH, Seong JH, Chun YM. Influences on practical inten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high school girl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2):79-87. https://dx.doi.org/10.14367/kjhep.2014.31.2.79 

  9. Lee YH. A study for the health educa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4):717-726. 

  10. Chun HR. Korean women’s reproductive health indicator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6;235:34-36. 

  11. Yoo KY, Kang D, Park SK, Kim SU, Shin A. Yoon H, et al. Epidemiology of breast cancer in Korea: occurrence, high risk groups, and preventio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2;17(1):1-6. http://dx.doi.org/10.3346/jkms.2002.17.1.1 

  12. Kim YS.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6):350-360.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6.350 

  13. Kim YS. The relationships of knowledge, attitudes about cancer and health behavior for cancer prevention in high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2):102-111. https://dx.doi.org/10.4094/jkachn.2010.16.2.102 

  14. Koo HY.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cell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17(2):91-99. https://dx.doi.org/10.4094/jkachn.2011.17.2.91 

  15. Kang. KA, Kim SJ, Song MK. Relationship of self-esteem, meaning in life, and spiritual well-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4):343-349. https://dx.doi.org/10.4094/jkachn.2009.15.4.343 

  16. Yang YH. The effect of BSE education with practice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middle-aged women.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2):189-197. 

  17. Cho HS.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risk of breast cancer, knowledge and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Gyeonggi: Dankook University; 2004. p.1-39. 

  18. Ranasinghe HM, Ranasinghe N, Rodrigo C, Seneviratne RD. Rajapakse S. Awareness of breast cancer among adolescent girls in Colombo, Sri Lanka: a school based study. BMC Public Health. 2013; 13(1):1-7. https://dx.doi.org/10.1186/1471-2458-13-1209 

  19. Herman H, Novriani H, Putri YE.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for student's knowledge at the first senior high school of Enam Lingkung Padang Pariam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edical Sciences. 2015;3(10):2589-2593. https://dx.doi.org/10.18203/2320-6012.ijrms20150796 

  20. Tuna A, Avdal EU, Yucel SC, Dal NA, Dicle A, Ozkan A, et al.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 in teaching breast self-examination.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4;15(7):3227-3231. http://dx.doi.org/10.7314/APJCP.2014.15.7.3227. 

  21. Sharma M. A new theory for health behavior change: implications for alcohol and drug education. Journal of Alcohol & Drug Education. 2016;60(1):5. 

  22. Gochman DS.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II: provider determinants. New York: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4. p.52. 

  23.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4.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5. Karayurt O, Ozmen D, Cetinkaya AC. Awareness of breast cancer risk factors and practice of breast self examin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urkey. BMC Public Health,2008;8(1):359. http://dx.doi.org/10.1186/1471-2458-8-359 

  26. Harirchi I, Azary S, Montazeri A, Mousavi SM, Sedighi Z, Keshtmand G, et al. Literacy and breast cancer prevention: a population-based study from Iran.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2;13(8): 3927-3930. https://dx.doi.org/10.7314/apjcp.2012.13.8.3927 

  27. Seok HA, Yeom GY, Yoon JE, Lee SH, Lee JA, Lee HS. A study of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Ewha Nursing Science. 2008; 48:2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