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봉 전후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영화 매출간의 상관관계
A Study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crease / Decrease Rate of Tweets Before and After Opening and a Box Office Gros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9 no.4, 2017년, pp.169 - 182  

박지윤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유인혁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강성우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dicting a box office gross in the film industry is an important goal. Many works have analyzed the elements of a film making.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several methods for predicting box office such as a model for distinguishing people's reactions by using a sentiment analysis, a study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매출과 개봉 전후의 트윗 개수증감률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영화 매출에 SNS에서 나타난 사람들의 반응이 영향이 있음을 파악하고 그 증감률이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영화 흥행 성과의 대부분이 개봉 후 3주 이내에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Kwon, 2014) 사람들의 반응 변화 비율이 이를 따르는 지를 파악하였다.
  • 이때, 개봉일을 기준으로 개봉 전과 개봉 3주 후까지의 증감률, 개봉 전부터 폐막까지의 증감률을 따로 계산한다. 그 후, 각각의 증감률과 영화 매출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한다.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영화 개봉 전 사람들의 반응에 비해 개봉 후 사람들의 반응 변화의 비율이 매출과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화 흥행 성과의 대부분이 개봉 후 3주 이내에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Kwon, 2014) 사람들의 반응 변화 비율이 이를 따르는지를 파악한다. 단순한 변화가 아닌 변화 비율을 파악하면,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미국 내 흥행 수입과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을 통해 특정 영화와 관련된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매출과의 상관관계를 탐색한다. 언급한 연구 문제1과 2를 확인해보고, 이를 확장해 전체적인 반응만이 아닌 각 개인의 감정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판별하여 이런 반응들의 변화가 영화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3을 진행한다.
  • 본 논문은 소셜 미디어에서 eWOM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특히, 트위터의 실제 사용자가 만든 엄청난 문자 데이터(eWOM 등)를 다루며, 약 10억 개의 트윗으로부터 42,590개의 트윗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 본 연구는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영화 매출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사전 기반 감성 분석 (lexicon based sentiment analysis)을 사용하여 트윗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판별한 후, 긍정적인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부정적인 트윗 개수의 증감률 각각이 영화 매출과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 본 연구에서는 SNS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순한 반응이 아닌 개봉 전후의 반응 변화를 나타내는 증감률과 영화 매출과의 상관성을 확인한다. 그 중,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SNS 중 하나인 ‘트위터’를 이용하여 특정 영화와 관련된 사람들의 의견이 그 영화 흥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화의 매출과 개봉 전후의 트윗 개수증감률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영화 매출에 SNS에서 나타난 사람들의 반응이 영향이 있음을 파악하고 그 증감률이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영화 개봉 전 사람들의 반응에 비해 개봉 후 사람들의 반응 변화의 비율이 매출과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영화 흥행 성과의 대부분이 개봉 후 3주 이내에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Kwon, 2014) 사람들의 반응 변화 비율이 이를 따르는지를 파악한다.
  • 사전 연구에서 밝힌 영화 흥행에 개봉 후 3주까지가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다는 연구를 고려하여 (Kwon, 2014) 개봉 전과 개봉 후 3주까지의 트윗 개수의 증감률이 총 매출 과의 상관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때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 분야에서는 기존의 박스 오피스를 예측하는 모델과 감성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박스 오피스 매출을 예측하는 최근 연구들, SNS 구전 효과가 영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에 관한 연구들을 다루고자 한다.
  • 언급한 연구 문제1과 2를 확인해보고, 이를 확장해 전체적인 반응만이 아닌 각 개인의 감정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판별하여 이런 반응들의 변화가 영화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3을 진행한다. 이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2012년 8월 사이에 수집된 북미 지역 트윗을 수집하여 그 중 무작위로 선정된 10편의 영화와 관련된 트윗을 추출해 개봉 전후의 증감률과 매출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의 의미를 파악한다.
  • 상관계수는 –1~1 사이의 값을 갖게 되는데, 상관계수의 절댓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선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영화를 언급한 개봉 전후의 트윗 개수 증감률이 영화의 총 매출과 어느 정도의 선형적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상관 분석을 하였다.
  • 최근 많은 분야에서 SNS를 통한 의견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기 위해 연구한다. Litman 외 1인은 개봉 전에는 전문가의 비평이 더 중요하나, 개봉 이후에는 일반인들의 구전 효과가 영화를 선택할 때에 있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Litman & Kohl, 1989).

가설 설정

  • - H0 : 총 매출/ 개봉 전후 총 트윗의 증감률은 정규분포를 따른다
  • - H0 : 개봉 전후의 긍정적인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총 매출은 특정한 선형관계가 없다.
  • - H0 : 개봉 전후의 부정적인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총 매출은 특정한 선형관계가 없다.
  • - H0: 개봉 전과 개봉 후 3주까지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총 매출은 특정한 선형관계가 없다. (r=0)
  • - H1 : 개봉 전후의 부정적인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총 매출은 특정한 선형관계가 있다. (r≠0)
  • - H1: 개봉 전과 개봉 후 3주까지 트윗 개수의 증감률과 총 매출은 특정한 선형관계가 있다. (r≠0)
  • - H1: 총 매출/ 개봉 전후 총 트윗의 증감률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 분석이란 무엇인가? 최근 많은 분야에서 SNS를 통한 의견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은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혹은 ‘감성 분류(Sentiment classification)’로도 불리며, 텍스트에 나타난 사람들의 태도, 의견, 성향과 같은 주관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다 (Chen & Zimbra, 2010, B Liu, 2012; Wiebe, 1994). 감성 분석의 주된 목적은 주어진 문서에서 의견, 표현을 분석하여 감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T;un Thura Thet, Na, & Khoo, 2010).
영화 산업의 영향요소로는 무엇이 있는가? 영화 산업에서 대부분 제작회사, 투자회사뿐만 아니라 배급사의 같은 목표는 영화 흥행이며, 그 영향 요소로 내적 요인으로는 감독, 배우, 관람 등급이, 외적 요인으로는 스크린 수, 배급사 파워, 소셜미디어 등이 영화 관객을 유인하는 요인이다 (Kim & Hong, 2011). 신상품과 같이, 과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화는 매출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영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매출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의 이유는 무엇인가? 영화 산업에서 대부분 제작회사, 투자회사뿐만 아니라 배급사의 같은 목표는 영화 흥행이며, 그 영향 요소로 내적 요인으로는 감독, 배우, 관람 등급이, 외적 요인으로는 스크린 수, 배급사 파워, 소셜미디어 등이 영화 관객을 유인하는 요인이다 (Kim & Hong, 2011). 신상품과 같이, 과거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영화는 매출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렇기에 많은 연구에서 영화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흥행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un Ju Kwon. (2014). Factors influencing Cinema Success: using News and Online Rates.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Economics, 17(1), 35-56 

  2. Byung-Do Kim, & Tae-Young Pyo. (2002). Forecasting Model for Box-Office Revenue of Motion Pictures. The joural of management, 36(1), 1-23. 

  3. Byoung-Sun Kim. (2007). Comparison of Factors Predicting Theatrical Movie Success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by the Release Type and the Length of Run .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53(1), 257-287. 

  4. Yon Hyong Kim, & Jeong Han Hong. (2011).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tion Picture Box-office Prediction Model.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18(6), 859-869. 

  5. O-Joun Lee, Seung-Bo Park, Daul Chung, & Eun-Soon You. (2014). Movie Box-office Analysis using Social Big Data,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10), 527-538. 

  6. Ho-young Lee, Hee-yeon Kim, Bu-yeon Jung, Duk-Jin Chang, & Ki-hoon Kim (2011). Growth of Social Media and Evolution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7. Seung Yeon Cho, Hyun-Koo Kim, Beom-soo Kim, & Hee-Woong Kim (2014). Predicting Movie Revenue by Online Review Mining: Using the Opening Week Online Review,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6(3), 113-134 

  8. Jae Yeob Jeong, & Hyeon-Cheol Kim. (2016), How does twitter message affect the movie audience?: Focused on type of message source, type of message, and time of movie adoption, 27(6), 179-208. 

  9. Min-hoe Heo, Sung-hoon Park, & Sung-jun Jo (2012), Decision Analysis for the Number of Screens of Opening Movies via Audience Evaluation , Korea Business Intelligence Data mining Society. 

  10. Austin, B. (1989). Immediate seating: A look at movie audiences. Wadsworth Pub Co. 

  11. Asur, S. and Huberman, B.(2010), Predicting the Future with Social Media, Proceedings - 2010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WI 2010. 

  12. Bayus, B. L. (1985). Word of Mouth: The Indirect Effects of Marketing Effor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3), 31. 

  13. Chen, H., & Zimbra, D. (2010). AI and opinion mining. IEEE Intelligent Systems, 25(4), 72-79. 

  14. Dellarocas, C. (2003)., The digitization of word of mouth: promise and challenges of online feedback me- chanisms, Management Science, 49(10), 2003, 1407-1424. 

  15. De Vany, A., & Walls, W. D. (1999). Uncertainty in the Movie Industry : Does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of the Box Office ?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3(4), 285-318. 

  16. De Vany, A., & Walls, D. (1999). Uncertainty in the ovies: Can star power reduce the terror of the box offic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3, 285-318. 

  17. Elberse, A., Eliashberg, J., & Leenders, M. A. A. M. (2006). The Motion Picture Industry: Critical Issues in Practice, Current Research, and New Research Directions. Marketing Science, 25(6), 638-661. 

  18. Eliashberg, J., & Shugan, S. M. (1997). Film Critics: Influencers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61(2), 68-78. 

  19. Faber, R. J., & O'Guinn, T. C. (1984). Effect of Media Advertising and other Sources on Movie Selection.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61(2), 371-377. 

  20. Ghiassi, M., Lio, D., & Moon, B. (2015). Pre-production forecasting of movie revenues with a dynamic artificial neural network.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42(6), 3176-3193. 

  21. Gilbert, T. F. (2007), Human competence: Engineeering worthy performance (Tribute ed.), SanFrancisco: Jossey-Bass/Pfeiffer. 

  22. Hennig-Thurau, T., Houston, M. B., & Walsh, G. (2007). Determinants of motion picture box office and profitability: an interrelationship approach. Review of Managerial Science, 1(1), 65-92. 

  23. Katz, E., & Lazarsfeld, P. F. (1955). Personal Influence. New York, 792. 

  24. Lica, L., & Tuta. M. (2011), Predicting Product Performance with Social Media, nformatics in education, 15(2), 46-56. 

  25. Litman, B. and Kohl, L. (1989).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s: The '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Fall, 35-50. 

  26. Liu, Y. (2006).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70(3), 74-89. 

  27. Mishne, G. and Glance, N.(2006), Predicting Movie Sales from Blogger Sentiment, AAAI 2006 Spring Symposium on Computational Approaches to Analysing Weblogs. 

  28. Pokomy, M., & Sedgwick, J. (1999). Movie stars and the distribution of financially successful film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3, 319-323. 

  29. Prag, J., & Casavant, J. (1994).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18, 217-235. 

  30. Ravi, K., & Ravi, V. (2015). A survey on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Tasks, approaches and applications. Knowledge-Based Systems, 89, 14-46. 

  31. Sawhney, M. and Eliashberg, J. (1996). A Parsimonious Model for Forecasting Gross Box- Office Revenues of Motion Pictures. Marketing Science, 15 (2), 113-131. 

  32. Shannon, C. E. (2001).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Retrieved from http://lanethames.com/dataStore/ECE/InfoTheory/shannon.pdf 

  33. Taboada, M., Brooke, J., Tofiloski, M., Voll, K., & Stede, M. (2011). Lexicon-Based Methods for Sentiment Analysis. Computational Linguistics, 37(2), 267-307. 

  34. Tun Thura Thet, Na, J.-C., & Khoo, C. S. G. (2010).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of movie reviews on discussion board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823-848. 

  35. Wiebe, J. (1994). Tracking point of view in narrative. Computational Linguistics, 20(2), 233-287. Retrieved from http://scholar.google.com/scholar?qintitle:Tracking+Point+of+View+in+Narrative#0 

  36. Zhang, W., & Skiena, S. (2009). Improving movie gross prediction through news analysis. Proceedings - 2009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WI 2009, 1, 30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