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치료 받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재발여부에 따른 지질프로필 비율의 비교

Comparison of Lipid Profile Ratios in Patients with High-grade Brain Canc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ecurrence during Cancer-related Therap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2, 2017년, pp.107 - 112  

김상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ipid profile ratios as factors affecting disease progress in patients with high-grade primary brain cancers undergo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and adjuvant chemotherapy. Methods: The levels of lipid profile ratios were evalua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예후 영향요인으로 지질과산화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를 재발군과 비재발군으로 분류하여 지질프로필 비율을 비교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질과산화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를 재발군과 비재발군으로 분류하여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과 보조항암화학요법의 종료시점인 7개월째에 지질프로필 비율을 비교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재발여부에 따라 기존에 알려진 종양관련요인들과 함께 지질프로필 비율을 예후영향요인으로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악성 뇌종양재발군은 지질과 산화상태의 대상자수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악성 뇌종양 재발의 위험요인으로 TC/HDL-c, LDL-c/HDL-c, TG/HDL-c 비율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항암치료를 받는 악성 뇌종양 환자의 재발여부에 따른 지질프로필 비율을 확인하고 이를 종양관련 요인과 비교하여 예후의 영향요인으로써 지질프로필 비율의 유용성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항암치료기간 동안 암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과산화를 악성 뇌종양 환자에서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악성 뇌종양 환자의 재발여부에 따른 지질프로필 비율의 관계를 확인하여  항암치료기간 동안 지질과산화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성 뇌종양의 치료법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악성 뇌종양의 치료법은 진단 후 종양제거술로 최대한 종양을 제거하고  temozolomide의 경구용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환자의 기대여명을 연장하거나 증상 또는 국소적 기능장애의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3].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은 경구용 항암제와 방사선 요법을 동시에 시행하는것으로 다른 치료법에 비해 기대여명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란 무엇인가? 악성 뇌종양의 치료법은 진단 후 종양제거술로 최대한 종양을 제거하고  temozolomide의 경구용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환자의 기대여명을 연장하거나 증상 또는 국소적 기능장애의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3].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은 경구용 항암제와 방사선 요법을 동시에 시행하는것으로 다른 치료법에 비해 기대여명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성 뇌종양 환자는 6주동안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서(5일/주) 경구용 항암제 temozolomide 75 mg/m2를 매일 42-49일동안 복용하고 이후 항암제를 증량하여 6 cycle의 보조항암화학요법을 받게 된다[4].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5-2년 미만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자의 예후와 관련된 요인으로 수술 전 종양의 크기와 위치, 악성도, 종양적출정도, 다발성 여부, 신체적 기능상태가 제시되었다[5,6]. 수술 전 뇌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 조직학적분화도에 따른 악성도가 높고, 수술 후 잔여종양이 많을수록, 혈관이 많은 뇌조직으로 침투될수록, 뇌경막으로의 침범에 따른 다발성일 때, 진단 초기 환자의 신체적 기능상태가 낮을 때 환자의 예후는 좋지 않은 것으로알려져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he Korean Brain Tumor Society. Brain Cancers Epidemiology Page[Internet]. [cited 2015 March 13]. Available from: http://www.braintumor.or.kr/public/infor/sub2_1.php. 

  2. Louis DN, Perry A, Reifenberger G, von Deimling A, Figarella-Branger D, Cavenee WK et al. The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 summary. Acta Neuropathologica. 2016; 131(6): 803-820. http://dx.doi.org/10.1007/s00401-016-1545-1 

  3.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The Types of Brain Cancers Page [Internet]. [cited 2016 May 2]. Available from: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4301&menuSeq4302&viewTypeall&idcancer_020118000000. 

  4. Kim BS, Seol HJ, Nam DH, Park CK, Kim IH, Kim TM, Kim JH et al.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with Temozolomide Followed by Adjuvant Temozolomide for Newly Diagnosed Glioblastoma Patient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Observation Study in Korea.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7;49(1):193-203. http://dx.doi.org/10.4143/crt.2015.473 

  5. Sarica FB, Cekinmez M, Tufan K, Sen O, Onal HC, Mertsoylu H et al. Five-year follow-up results for patients diagnosed with anaplastic astrocytoma and effectiveness of concomitant therapy with temozolomide for recurrent anaplastic astrocytoma. Asian Journal of Neurosurgery. 2012; 7(4): 181-190. http://dx.doi.org/10.4103/1793-5482.106650 

  6. Kumar N, Kumar P, Angurana SL, Khosla D, Mukherjee KK, Aggarwal R et al. Evaluation of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of glioblastoma multiforme: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Journal of Neurosciences in Rural Practice. 2013;4(5):46-55. http://dx.doi.org/10.4103/0976-3147.116455 

  7. Marina O, Suh JH, Reddy CA, Barnett GH, Vogelbaum MA, Peereboom DM et al. Treatment outcomes for patients with glioblastoma multiforme and a low Karnofsky Performance Scale score on presentation to a tertiary care institution. Clinical article. Journal of Neurosurgery. 2011;115(2):220-229. http://dx.doi.org/10.3171/2011.3.JNS10495 

  8. Roy S, Lahiri D, Maji T, Biswas J. Recurrent Glioblastoma: Where we stand. South Asian Journal of Cancer. 2015;4(4):163-173. http://dx.doi.org/10.4103/2278-330X.175953 

  9. Millan J, Pinto X, Munoz A, Zuniga M, Rubies-Prat J, Pallardo LF et al. Lipoprotein ratios: Physiological significance and clinical usefulness in cardiovascular prevention. Vascular Health and Risk Management. 2009; 5:757-765. https://doi.org/10.2147/VHRM.S6269 

  10. Bielecka-Dabrowa A, Hannam S, Rysz J, Banach M. Malignancy-associated dyslipidemia. Open Cardiovascular Medicine Journal.2011;5:35-40. https://do i.org/10.2174/1874192401105010035 

  11. Conklin KA. Chemotherapy-associated oxidative stress: impact on chemotherapeutic effectiveness. Integrative Cancer Therapies.2004;3(4):294-300. https://doi.org/10.1177/1534735404270335 

  12. Nelson RH. Hyperlipidemia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im Care. 2013;40(1):195-211. https://doi.org/10.1016/j.pop.2012.11.003 

  13. Upadhyay RK. Emerging Risk Biomarkers in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sorders. Journal of Lipids. 2015;8:971453. https://doi.org/10.1155/2015/971453 

  14. Ghahremanfard F, Mirmohammadkhani M, Shahnazari B, Gholami G, Mehdizadeh J. The Valuable Role of Measuring Serum Lipid Profile in Cancer Progression. Oman Med J. 2015;3(5):353-357. https://doi.org/10.5001/omj.2015.71 

  15. Allott EH, Howard LE, Cooperberg MR, Kane CJ, Aronson WJ, Terris MK et al. Serum lipid profile and risk of prostate cancer recurrence: results from the SEARCH database.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4;23(11):2349-2356. https://doi.org/10.1158/1055-9965.EPI-14-0458 

  16. Gupta RK, Patel AK, Kumari R, Chugh S, Shrivastav C, Mehra S et al. Interactions between oxidative stress, lipid profile and antioxidants in breast cancer: a case control study.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2;13(12): 6295-6298. https://doi.org/10.7314/APJCP.2012.13.12.6295 

  17. McGrowder D, Riley C, Morrison EY, Gordon L. The Role of High-Density Lipoproteins in Reducing the Risk of Vascular Diseases, Neurogenerative Disorders, and Cancer. Cholesterol. 2011:1-9. https://doi.org/10.1155/2011/496925 

  18. Mallick S, Benson R, Hakim A, Rath GK. Management of glioblastoma after recurrence: A changing paradigm. Journal of the Egyptian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6;28(4):199-210. http://dx.doi.org/10.1016/j.jnci.2016.07.001 

  19. Yao X, Tian Z. Dyslipidemia and colorectal cancer risk: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Cancer Causes & Control. 2015;26(2):257-268. https://doi.org/10.1007/s10552-014-0507-y 

  20. Givens DJ, Karnell LH, Gupta AK, Clamon GH, Pagedar NA, Chang KE et al.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9; 135(12): 1209-1217. https://doi.org/10.1001/archoto.2009.174 

  21. Li J, Wu MF, Lu HW, Zhang BZ, Wang LJ, Lin ZQ. Impact of Hyperglycemia on Outcomes among Patients Receiving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ulky Early Stage Cervical Cancer. PLoS One. 2016;11(11):1-15.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66612 

  22. Huang C, Freter C. Lipid Metabolism, Apoptosis and Cancer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5;16(1):924-949. https://doi.org/10.3390/ijms16010924. 

  23. Wang Y, Wang ZQ, Wang FH, Lei XF, Yan SM, Wang DS et al. Predictive value of chemotherapy-relate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elevation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an exploratory analysis of 851 cases. Oncotarget.2016;7(35):57290-57300. https://doi.org/10.18632/oncotarget.10145 

  24. Dai D, Chen B, Wang B, Tang H, Li X, Zhao Z et al. Pretreatment TG/HDL-C Ratio Is Superior to Triacylglycerol Level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the Survival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Cancer.2016;7(12):1747-1754. https://doi.org/ 10.7150/jca.157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