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수관로 건전도와 도로함몰 발생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Sewer Integrity and Ground Subsidence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8 no.6, 2017년, pp.31 - 37  

김진영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강재모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최창호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박두희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심지에서 도로함몰 발생의 증가추세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로함몰의 주된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노후 하수관의 경우 단순히 매설연도에 의존하여 하수관 교체 및 보수보강 등의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도로함몰 발생의 위험성예측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하수관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신뢰성 있는 도로함몰 위험도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향인자 도출을 위해 도로함몰이 가장 많이 발생한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로함몰 발생지점 인근의 하수관로의 정보를 추출하고, 도로함몰과 하수관로의 건전도 및 관로 주변 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AHP 분석을 통해 영향인자 간 중요도를 평가하여 인자 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시범지역에 실제 도로함몰 발생 데이터와 위험도 분석결과를 비교해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상관성 검토결과로부터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도로 함몰 위험지역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increasing trend of ground subsidence in major cities has caused social problems. Aged sewer pipeline as a main attribute for the subsidence is simply replaced and maintained according to a survey result with related to its buried period. However, other attributes and risk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토부에서는 도로함몰로 인한 도심지형 재난 피해를 예방하고 종합적인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일환으로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을 공포하고, 2018년부터 시행할 계획에 있으며, 이와 연계한 지하안전정보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지하 공간 통합지도와 지하 공간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부에서 통합관리하고 있는 시설물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함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하수관에 대한 도로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공간 통합 지도를 통해 GIS 정보를 토대로 관리되는 관로 ID, 설치연도, 관종, 관경, 길이, 매설깊이, 탐사결과, 배수방식, 관리기관 등의 정보들을 대상으로 도로함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위험도 평가에 활용 가능한 영향 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영향 인자들에 대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해 도로함몰 위험도 예측을 위한 상태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간 통합 지도 구축을 위해 수집되는 하수관과 관련한 한정적인 정보들을 이용하여 도로함몰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보다 많은 시설물 정보를 토대로 한 건전도 평가나 도로함몰 예측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나, 국토 전 구간에 대한 광역적인 예측이 가능하고 실제 가용한 정보들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현실적인 접근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함몰 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로함몰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면서 지하공간에 다양하게 분포된 시설물과 매설관의 관리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도심지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도로함몰 현상은 도시 유입 인구가 늘어나면서 지하철, 지하도 등의 교통사업 관련 시설과 국민 생활의 기반이 되는 상・하수도, 통신, 전력 등과 같은 유틸리티 관들이 체계적인 계획 없이 건설되면서 발생 위험을 높였으며,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시설물들의 노후화가 가속되면서 도로함몰의 위험도와 발생 빈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공간에 다양하게 분포된 시설물과 매설관의 관리에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로함몰 현상이 빈번히 일어나면서 지하공간에 다양하게 분포된 시설물과 매설관의 관리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도심지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도로함몰 현상은 도시 유입 인구가 늘어나면서 지하철, 지하도 등의 교통사업 관련 시설과 국민 생활의 기반이 되는 상・하수도, 통신, 전력 등과 같은 유틸리티 관들이 체계적인 계획 없이 건설되면서 발생 위험을 높였으며,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시설물들의 노후화가 가속되면서 도로함몰의 위험도와 발생 빈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에서 발생한 도로함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된 것은? 서울시를 중심으로 조사된 도로함몰 발생 원인을 보면, 약 80% 이상이 하수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JoongAng-Ilbo, 2015), 일본의 경우도 1999 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발생한 도로함몰의 30~50%가하수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수관의 부설연수가 30년을 넘으면 도로함몰의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Kim,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oongAng-Ilbo (2015), Songpa, Guro-Sand Ground, Jongno-Old Sewerage, A danger zone of ground subsidence, JoongAng-Ilbo, Seoul, pp. 10 (in Korean). 

  2. Kim, Y. R. (2014), Subsidence occurrence and countermeasure by sewer, Water Journal, Vol. 11. 

  3. Kim, Y. S., Park, J. I., Lee, D. J. and Jeon, M. G. (2007), Evaluation of risk factors and decision making for rehabilitation of water supply network using AHP, KFIS Spring Conference 2007, Vol. 17, No. 1. 

  4. Lee, H. H., Lee, E. J. and Hyoun, C. K. (2015), Analysis of risk factors on water and sewage pipeline causing the ground por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pp. 711-712 (in Korean). 

  5. Lee, Y. J., Park, G. A. and Kim, S. J. (2006),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KSCE, Vol. 26, No. 5. 

  6.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Sewer pipe inspection manual. 

  7. Park, J. S., Moon, B. S., Kim, K. S. and Lee, K. H. (2012), Determine of assessment criteria for priority on river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AHP, KSCE Conference 2012, Vol. 2012, No. 10. 

  8. Saaty, T. L. (1983),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EM 30, No. 3, pp. 140-155. 

  9. Saaty, T. L. (1986), Axiomatic found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Vol. 32, No. 7, pp. 843-857. 

  10. Saaty, T. L. (1994), Highlights and critical points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74, pp. 426-447. 

  11. Vargas, L. G. (1990), An overview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its ap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48, pp. 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