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개인 및 조직의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silience and Perceiv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5, 2017년, pp.293 - 303  

진승희 (제주한국병원, 감염관리팀)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개인적 및 조직적지지, 조직몰입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일 지역 6개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15일부터 4월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조직몰입도는 지방의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조직몰입도와 유사한 수준이었던 반면에 수도권 대형 종합병원 간호사들 보다는 낮았다. 대상자의 조직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회복탄력성, 팀 간호방법과 팀-기능 간호방법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F=17.31, p<.001, Adjusted $R^2=.53$). 따라서 조직수준의 지지 강화와 회복탄력성 향상을 통하여 간호사의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간호사들의 조직적 지지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팀 간호방법을 확대 적용하는 등 간호업무방법 개선 정책 등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s of resilience and perceiv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Korean clinical n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195 nurses who had worked in 6 hospitals in a province from March 15 to April 27, 2016.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개인적 및 조직적 지지와 조직몰입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조직몰입 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과 간호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지각된 개인적 지지와 조직몰입도가 높았으며, 지각된 개인적 지지와 지각된 조직적 지지가 높을수록 조직몰입도 또한 높았다.
  •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개인적 및 조직적 지지와 조직몰입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개인적 지지 및 조직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조직몰입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하여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개인적 및 조직적 지지와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조직몰입도 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 마련을 위하여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몰입이란 무엇인가? 복잡하고 급변한 최근의 환경에서는 관리자가 조직구성원들을 일일이 관리하기보다는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조직에 헌신하고 몰입하는 것을 강조하며 조직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데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7]. 조직몰입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과 동일시하며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수용하고 조직에 헌신하고자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5]. 조직몰입이 높은 간호사는 이직의도가 낮고 갈등이나 이직 등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된다[8,9].
간호사의 이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간호사의 이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나 소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저하 등이 있다[4,5]. 이중 조직몰입은 조직의 유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직무만족 보다 조직의 성과와 이직에 대한 예측력이 높다고 보고된다[6].
간호사에게 조직몰입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중 조직몰입은 조직의 유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직무만족 보다 조직의 성과와 이직에 대한 예측력이 높다고 보고된다[6]. 간호사의 환자에 대한 몰입을 높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뿐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갈등이나 소진, 이직 등을 낮춰 직무성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4,5]. 복잡하고 급변한 최근의 환경에서는 관리자가 조직구성원들을 일일이 관리하기보다는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조직에 헌신하고 몰입하는 것을 강조하며 조직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데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 S. Kang & J. H. Ki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3, No. 3, pp. 123-133, 2014. 

  2. A. S. Lee, C. Yoon, & J. K. Park,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1, No. 3, pp. 283-289, 2012. 

  3. J. Kim,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 practitioner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331-342, 2016. 

  4. M. Y. Lee & K. H. Kim,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2, pp. 166-175, 2012. 

  5. R. T. Mowday, R. M. Steers, & L. W. Porter,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4, No. 2, pp. 224-247, 1979. 

  6. J. A. Han & M. J. Kim, “The convergence study of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on anger,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87-98, 2016. 

  7. Y. S. Baek, “The effetcs of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a focus on members of KORAIL,” Ordo Economics Journal, Vol. 18, No. 4, pp. 129-146, 2015. 

  8. M. A. Lee, “Effect of nurses’ perception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 434-443, 2012. 

  9. S. Lee, J. Park, K. Lee, E. Shin, J. Park, H. Nam, et al., “The convergence effects of commitment of organiz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e on burnou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pp. 335-345, 2016. 

  10. H. Noh & K. Han, “Effects of the call center counsel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123-133, 2013. 

  11. I. O. Moon, S. K. Park, & J. M. Jung,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4, pp. 525-535, 2013. 

  12. K. Tusaie & J. Dyer,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 18, No. 1, pp. 3-10, 2004. 

  13. J. Lee, S. Cho, & H. Min, “The influence of the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socai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0, No. 3, pp. 59-67, 2012. 

  14. S. S. Luthar, D. Cicchetti, & B. Becker, “The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Vol. 71, No. 3, pp. 543-562, 2000. 

  15. D. Jackson, A. Firtko, & M. Edenborough,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0, No. 1, pp. 1-9, 2007. 

  16. S. N. Kim and M. S. Yoo, “Relationships between ICU nurses’ resilienc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Vol. 21, No. 1, pp. 36-43, 2015. 

  17. H. O. Song,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employee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4. 

  18. M. Mealer, J. Jones, J. Newman, K. K. McFann, B. Rothbaum, & M. Moss, “The presence of resilience is associated with a healthier psychological profile i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9, No. 3, pp. 292-299, 2012. 

  19. S. B. Fine, "Resilience and human adaptability: Who rises above adversity? 1990 Eleanor Clarke Slagle Lectu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5, No. 6, pp. 493-503, 2091. 

  20. H. Kim & J. Kim,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3, pp. 308-318, 2011. 

  21. S. Park, "The effects of self-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dormitory high scholl students adaptation in convergence 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307-293, 2016. 

  22. M. You & Y. Son, “The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 married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6, No. 4, pp. 515-523, 2009. 

  23. K. S. Yo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131-141, 2016. 

  24. K. Reivich &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NY: Broadway Books, 2003. 

  25. S. H. Kwon & S. Y. Lee,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7, No. 2, pp. 137-157, 2010. 

  26. K. J. Lee & M. Kim,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 26, No. 1, pp. 46-57, 2014. 

  27. J. Ko & Y. Yom,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2, pp. 265-274, 2003. 

  28. S. J. Kang, K. H. Kang, & Y. H. Han,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1, pp. 13-22, 2012. 

  29. S. N. Kim & M. S. Yoo,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ome Care Nursing, Vol. 21, No. 1, pp. 36-43, 2014. 

  30. M. H. Son,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small & medium-sized hospital,"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11. 

  31. K. S. Seo, M. Y. Kim & J. H. Park,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1, pp. 48-58, 2014. 

  32. S. B. Im, M. Y. Lee, & S. Y. Kim, “Nurs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1, pp. 1-9, 2015. 

  33. J. Lee, S. Cho, & H. Min, “The influence of the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30, No. 3, pp. 59-67, 2012. 

  34. J. Kim & M. Kim,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Vol. 67, No. 1, pp. 117-148, 2011. 

  35. M. S. Seong,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organiz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silience of health professionals as a mediator,"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4. 

  36. B. S. Lee, M. S. Jeong, E. J. Lee, E. J. Cho, S. R. Kang, H. K. Ahn, et al. "Nursing Management (2nd ed.). Seoul: Jeong Dam Media," 2012. 

  37. S. S. Kim, G. S. Chae, K. N. Kim, K. O. Park, & S. M. Moon, “Survey on nursing care delivery systems of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 1, pp. 167-17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