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한 DNR 환자의 임종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of Death of Patients with DNR Order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0 no.2, 2017년, pp.122 - 130  

이지윤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용미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장재인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 임종을 경험하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미와 그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8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DNR 환자 임종경험은 '정답이 없는 죽음의 양면성, 죽음과 일의 경계에서 경험하는 딜레마', '가족이 안고 있는 죽음의 무게 감당하기', 상실로 얻은 삶에 대한 성찰',의 4가지 주제모음으로 나타났다. 결론: DNR에 대한 판단기준과 DNR 결정 절차에 대한 상세한 규정, DNR 환자 간호윤리 지침 및 교육이 필요하고, DNR 환자 가족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subjective experiences of intensive care nurses with death of patients with do-not-resuscitate (DNR) or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eight intensive care nurses at general hospitals using i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들은 DNR 결정 환자의 임종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보면서 앞으로 닥쳐올 나와 내 가족의 죽음과 상황을 대입해 보고 어떤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아보려는 노력을 하였다.
  • 인터뷰 일정과 장소는 1∼ 2주전에 사전 협의하여 정하였고, 면담장소는 소회의실 등과 같은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을 이용하였다. 또한, 인터뷰 전 연구 주제와 목적에 대해 미리 설명하여 참여자가 DNR 환자 죽음경험에 대해 미리 생각할 시간을 주어 깊이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 임종을 경험하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미와 그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DNR 환자의 임종을 경험한 간호사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의 임종을 겪으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 의미와 그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DNR 환자 임종에 대한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의 임종을 겪으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의미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간호사들은 환자의 죽음에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바라보았고, 죽음 상황에서도 감정을 억제하면서 업무를 진행해야 하는 딜레마를 겪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DNR 환자의 임종을 지켜본 간호사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의 임종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하여 DNR 환자의 존엄한 죽음이 실현되고, 생애말기 간호과정에서의 체계적인 간호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또한 중증 환자를 우선적으로 돌보는 중환자실 환경에서 DNR 환자에 대한 개별적이고도 전인적 간호를 통한 죽음의 과정이 될 수 있도록 생애말기 환자에 적합한 환경조성과 인력관리 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환자실에서의 DNR 환자 임종 경험을 통해 간호사들이 갖게 되는 복합적인 시선과 감정적 부담, 죽음에 대한 성찰에 대해 구체적인 경험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또한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 교수 1인의 주도하에 연구의 전 과정을 표준적인 절차를 철저하게 지키도록 노력하였다. 연구의 확인가능성을 위해 연구자들의 가정과 해석을 명확히 하고 자료 분석 시 연구자의 주관과 편견을 배제하며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NR이란 무엇인가? DNR이란 환자상태에 대한 의학적 판단에 따라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지하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4).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개별적인 한 인간으로서,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돌보는 간호사로서 윤리적 갈등과 실무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DNR 환자 임종과 관련된 경험이 일반적인 환자의 죽음과 다른 부분 3가지는 무엇인가?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DNR 환자 임종과 관련된 경험 중 적극적 치료를 유지하는 일반적인 환자의 죽음과 다른 부분은 다음의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간호사들은 DNR 환자의 죽음에 대해 복합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는 DNR 환자의 죽음에 대해 간호사로서의 미안한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세 번째는 간호사들이 DNR을 결정한 가족들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죄책감을 자신에게 투사하는 것을 감당하거나 가족의 슬픔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타난, DNR 환자 치료 시 나타나는 혼란에 대한 통계 결과는 어떠한가? 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개별적인 한 인간으로서,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돌보는 간호사로서 윤리적 갈등과 실무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일개 연구에 따르면 DNR에 대한 결정이 환자를 중심으로 하는 명확한 기준에 따르기보다 의료진에 의한 경우가 96%, 가족이 제기하는 경우가 4%로 나타나면서 환자 자신의 결정은 배제되어 있고, DNR 환자에 대한 치료도 49%에서 항생제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고(5),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유지 장치를 소극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51.3%가 찬성하는 등에 대한 치료의 혼란을 경험하였다(6). 또한 Kim의 연구에서도 치료에 최선 을 다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오는 죄의식과 의사결정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겪게 되고(7), 5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Fact sheet: Evaluation results of ICU suitability 2014 [Internet]. Wonju: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May 16 [cited 2016 Dec 11].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 ms/inform/02/1347418_27116.html&subject. 

  2. Kim KK. Withdrawal of a life-sustaining therapy 'law of well-dying' passed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Internet]. Busan: The Kookje Daily News; 2011 Jan 8 [cited 2016 Jan 9]. Available from: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100&key20160109.22004193653. 

  3. Zimmermann C. Acceptance of dying: a discourse analysis of palliative care literature. Soc Sci Med 2012;75:217-24. 

  4. Kang HI, Yom YH. Awareness and experience of nurses and physicians on DNR. J Korean Acad Nurs Adm 2003;9:447-58. 

  5. Lee K, Jang HJ, Hong SB, Lim CM, Koh Y. Do-not-resuscitate orders in patients, who were deceas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f an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Korean J Crit Care Med 2008;23:84-9. 

  6. Yu EY, Yang YJ. ICU nurses' ethical attitudes about DNR.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6:16:2691-703. 

  7. Kim HA, Kim KB. The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J East-West Nurs Res 2011;17:136-48. 

  8. Kim HJ. Changes of nursing activities after DNR (Do-Not-Resuscitate) decision at intensive care units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 2014. Korean. 

  9. Cho Y. Frequancy and importance changes in nursing activities after DNR (Do-Not-Resuscitate) decision-making at Intensive Care Unit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 2016. Korean. 

  10. Mun J, Kim S. Nurses' emotional responses and ethical attitudes towards elderly patients' DNR decision.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216-22. 

  11. Han SS, Chung SA, Ko GH, Han MH, Moon MS. Nurse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DNR. J Korean Acad Nurs Adm 2001;7:403-14. 

  12. Attia AK, Abd-Elaziz WW, Kandeel NA.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of barrier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 care. Am J Hosp Palliat Care 2013;30:297-304. 

  13. Chung SY. A study on terminal care stress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ICU nurs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13. Korean. 

  14. Lee MH. Experiences that nurses working at ICU experience on the death of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9. Korean. 

  15. Choi WJ, Choi HK, Park SH, Jung HS, Moon MH, Kwak EY, et al. The experience of nurse caring for dying patient. J Korean Clin Nurs Res 1999;4:37-59. 

  16. Han SS, Kim JH, Koo IH, Hong SY, Lee KS.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to Do Not Resuscitate (DNR) and ethical review. Korean J Med Ethics 2005;8:116-30. 

  17. Woo MG, Kim M. Nurses' Experiences of Do-Not-Resuscitate (DNR) by the narrative inquiry. Korean J Adult Nurs 2013;25:322-31. 

  18. Yoo KO, Jung GW, Kim YS, Kim HB.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ParkYoungSa;2012. p. 77-88. 

  19. Guba EG, Lincoln YS.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Denzin NK, Lincoln YS, eds.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Sage Publications;1994. p. 105-17. 

  20. Soun EJ. The essential structure of caring for DNR patients [dissertation]. Chuncheon: Kangwon Univ.; 2016. Korean. 

  21. Kim HA. An ethnography on joys and sorrows of nurses' caring for DNR patients' in ICU [dissertation]. Seoul: Kyunghee Univ.; 2013. Korean. 

  22. Lee MS, Oh SE, Choi EO, Kwon IG, Kwon SB, Cho KM, et al.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08;38:298-309. 

  23. King PA, Thomas SP. Phenomenological study of ICU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dying patients. Western J Nurs Res 2013:35:1292-308. 

  24. Ro YJ, Han SS, Ahn SH, Kim CG. Hospice & death. 2nd ed. Seoul:Hyunmoonsa;1997. p. 85-101. 

  25.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 553-61. 

  26. Lee MH, Jang KS, Kim IS, Hong YM, Kang ES, Kong BH, et al. Nursing profession and nursing ethics. Seoul:Hyunmoonsa; 2003. p. 175-91. 

  27. Park HJ. Ethical dilemma of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09;15:128-35. 

  28. Kubler-Ross E, Kessler D. On grief and grieving: finding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five stages of loss. New York: Scribner;2014. p. 19-65. 

  29. Donnelly SM. Psirides A. Relatives' and staff's experience of patients dying in ICU. QJM 2015;108:935-42. 

  30. Park CR, Kim HY, Park JY, Lee HJ, Jung HJ, Hwa YJ, et al. A study on the nurses experience of patients death. Ehwa Nurs Sci 1999;32:31-49. 

  31. Lee KS. A study on the near death experience.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1;10:368-73. 

  32. Song T, Kim K, Koh Y. Factors determining the establishment of DNR orders in oncologic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Korean J Med 2008;74:403-10. 

  33. Koh Y, Heo DS, Yun YH, Moon JL, Park HW, Choung JT, et al. Charactersitics and issues of guideline to withdrawal of a life-sustaining therapy. J Korean Med Assoc 2011; 54:747-57. 

  34. Devich L, Field BE, Carlson RE. Supportive care for the hopelessly ill. Nurs Outlook 1990;38:1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