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료적 운동에 기능적 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 결합이 뇌졸중 환자의 근긴장도 및 뻣뻣함,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Muscle Tone, Stiffness of Calf Muscle,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2, 2017년, pp.43 - 52  

박신준 (강동대학교 물리치료과) ,  조균희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물리치료학전공) ,  조용훈 (아벤스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mpact of exercise with tha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muscle tone, calf muscle stiffness,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되는 기능적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은 경직 개선과 신체기능 증진에 효과적인 물리적 인자치료 방법이다(Cho 등, 2013; Kumar와 Kulkarni, 2014; Park 등, 2014; Sabut 등, 2011). 기능적전 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은 운동기능이 저하된 뇌졸중 환자에게 감각입력을 통해 가소성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로 각 전기치료 중재와 일반적 운동치료를 결합적용 한 것이 단독 적용보다 효과적이었다는 연구결과만 이루어지고 전기치료 간 비교한 연구도 침점과 운동점에 부착하여 비교한 연구만 있는 실정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임상에서 흔히 적용되는 과제-지향 운동치료를 기능적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에 결합하여 근긴장도 및 뻣뻣함,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능적 전기자극군과 경피신경전기자극군은 중재 전·후 전반적으로 다리 근긴장도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비측 안쪽 장딴지근 긴장도와 뻣뻣함과 BBS 점수에선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비록 Kumar와 Kulkarni (2014)의 전기자극치료와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를 비교한 연구가 있지만 이 연구의 초점은 운동점과 침점에 적용했을 때 경직감소와 보행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연구였고 경직에 관한 측정도 객관적인 방법보다는 치료 사의 느낌에 의존하고 작은 변화를 감지하기 어려운 MAS만을 사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치료와 동시에 실시한 기능적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자극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근긴장도, 뻣뻣함에 미치는 영향을 근긴장도 검사기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뇌졸중 후 재활에서 더 효율적인 물리적 인자치료를 제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경직이 있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치료적 운동에 기능적 전기자극과 경피신경전기 자극을 결합 적용하여 안쪽·가쪽 긴장도 및 뻣뻣함, 균형능력(BB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긴장에 기여하는 기전에는 무엇이 있나? 경직은 근육이 정적 신장 반사에 항진된 반응과 빠른 수동 신장에 저항하는 증가된 근긴장 상태를 뜻한다(Sheean과 McGuire, 2009). 근긴장에 기여하는 기전에는 항진된 반사, 근육힘줄 단위의 점탄성 성질, 수축 성분의 내재성 성질이 포함된다(De Vlugt 등, 2010; Mirbagheri 등, 2007; Sheean과 McGuire, 2009). 이러한 경직이 발목에 발생하게 되면 발바닥 처짐, 구축, 뒤침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자세흔들림이 증가하는 균형장애와 빠른 보행 시 뻣뻣함이 증가되는 비정상적 보행패턴을 야기한다(Lin 등, 2006; Niam 등, 1999; Park 등, 2010; Vattanasilp 등, 2000).
과긴장증 및 경직이란 무엇인가? 과긴장증 및 경직은 조직의 뻣뻣함과 점탄성이 증가된 현상으로 뇌졸중 환자가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이다(De Vlugt 등, 2010; Sheean과 McGuire, 2009). 경직은 근육이 정적 신장 반사에 항진된 반응과 빠른 수동 신장에 저항하는 증가된 근긴장 상태를 뜻한다(Sheean과 McGuire, 2009).
TENS의 적용이 힘든 환자군은 무엇인가? 장딴지근 근피로가 균형능력 감소 및 근력감소를 야기하는데, TENS의 적용은 이러한 근피로, 근력, 균형 능력 개선에 효과를 보인다(Cho 등, 2011). 반면 뇌졸중 환자는 발바닥 부위에 피부감각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여(Jeon, 2014), 심각한 감각결손이 있는 자라면 TENS의 자극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전기자극을 느낄 수 있는 뇌졸중 환자라면, 발등굽힘의 약화가 주된 문제로 균형능력 감소가 나타난 환자의 경우에는 기능적전기자극을 선택할 수 있지만, 퇴원 후 가정에서 치료를 할 경우, 경피신경전 기자극기는 금기사항이 적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이므로(Sluka와 Walsh, 2003),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대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SH, Lee JI, Kim KY. Usefulness of myotonometer for measurement of tissue compliance on medialis gastrocnemius in patients with stroke. JKAIS. 2012;13(3):1129-37. 

  2. Berg K, Wood-Dauphin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 Can. 1989;41(6):304-11. 

  3. Chen SC, Chen YL, Chen CJ, et al. Effects of surface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uscle-tendon junction of spastic gastrocnemius in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5;27(3):105-10. 

  4. Cho HY, In TS, Cho KH, et al. A single tria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improves spasticity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ohoku J Exp Med. 2013;229(3):187-93. 

  5. Cho HY, In TS, Lee SH, et al. Immediate effects of high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the lower limb spasticity and the balance in the stroke Patient. J Korean Soc Phys Med. 2010;5(3):487-98. 

  6. Cho HY, Lee SH, In TS, et al.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changes in postural balance and muscle contraction following muscle fatigue. J Phys ther Sci. 2011;23(6):899-903. 

  7. Cho MS. The Effect on ankle Joint movement by FES application on tibialis anterior muscl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1;6(3):277-86. 

  8. Chuang LL, Wu CY, Lin KC.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myotonometric measurement of muscle tone, elasticity, and stiffness in patien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2;93(3):532-40. 

  9. De Vlugt E, de Groot JH, Schenkeveld KE, et al. The relation between neuromechanical parameters and Ashworth score in stroke patients. J Neuroeng Rehabil. 2010;7:35. 

  10. Do AH, Wang PT, King CE,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 controll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for ankle movement. J Neuroeng Rehabil. 2011;8:49. 

  11. Go JH. Effects of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and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in hemiplegic patients. Maste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5. 

  12. Jeon HJ. A study of the sensory threshold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Master's Degree. Yong-in University. 2014. 

  13. Kang MK, Nam BR, Lee YS, et al.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cation of TENS to the lower limbs and balance of healthy subjects. J Phys ther Sci. 2103;25(9):1079-81. 

  14. Kang YW, Na DL, Hahn SH,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J Korean J Korean Neurol Assoc. 1997;15(2):300-8. 

  15. Kumar C, Kulkarni CM. Comparison between electrical stimulation over motor point and TENS over acupuncture point in reducing spasticity and improving function after stroke: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 J Phys Med Rehabil. 2014;2:237. 

  16. Kwon OS, Lee SW, Seo DK, et al. The effects of exerciseinduced fatigue on knee joint position sense in the young, elderly adults and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3;8(4):619-25. 

  17. Laufer Y, Elboim-Gabyzon M. Does sensory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 motor recovery following a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25(9):799-809. 

  18. Lee KR, Jang SH. The effects of TENS applied to affected lower extremities on balance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4;9(3):255-62. 

  19. Levin MF, Hui-Chan CW. Conventional and acupuncture-lik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excite similar afferent fibers. Arch Phys Med Rehabil. 1993;74(1):54-60. 

  20. Lin PY, Yang YR, Cheng SJ,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kle impairments and gait velocity and symmetr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62-8. 

  21. Liston RA, Brouwer B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1996;77(5):425-30. 

  22. Maeda Y, Lisi TL, Vance CG, et al. Release of GABA and activation of GABA A in the spinal cord mediates the effects of TENS in rats. Brain Res. 2007;1136:43-50. 

  23. Meesen RL, Cuypers K, Rothwell JC, et al. The effect of long term TENS on persistent neuroplastic changes in the human cerebral cortex. Hum Brain Mapp. 2011;32(6):872-82. 

  24. Mirbagheri MM, Settle K, Harvey R, et al. Neuromuscular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spasticity of upper extremity muscles in hemiparetic stroke. J Neurophysiol. 2007;98(2):629-37. 

  25. Nather A, Neo SH, Chionh SB, et al. Assessment of sensory 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diabetic foot problems. J Diabetes Complications. 2008;22(2):126-31. 

  26. Ng SS, Hui-Chan CW.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combined with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lower limb functions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Stroke. 2007;38(11):2953-9. 

  27. Niam S, Cheung W, Sullivan PE, et al. Balance and physical impairm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0):1227-33. 

  28. Park JH, Seo DK, Choi WJ, et al. The effects of exercise with TENS on spasticity,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 Sci Monit. 2014;10(20):1890-6. 

  29. Park JW, An JK, Park YB, et al. The Comparison of sonographic features of ankle ligament and tendon in affected side with non-affected side ambulatory of hemiplegic patients. Phys Ther Kor. 2010;17(2):60-6. 

  30. Potisk KP, Gregoric M, Vodovnik L.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spasticity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cand J Rehabil Med. 1995;27(3):169-74. 

  31. Robbins SM, Houghton PE, Woodbury MG, et al. The therapeutic effect of functional and transcutaneous electric stimulation on improving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a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2006;87(6):853-9. 

  32. Sabut SK, Sikdar C, Kumar R, et a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f dorsiflexor muscle: effects on dorsiflexor strength, plantarflexor spasticity, and 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2011;29(4):393-400. 

  33. Sheean G, McGuire JR. Spastic hypertonia and movement disorders: pathophys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quantification. PM R. 2009;1(9):827-33. 

  34. Sluka KA, Walsh 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basic science mechanisms and clinical effectiveness. J Pain. 2003;4(3):109-21. 

  35. Thompson AK, Stein RB. Short-term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motor-evoked potentials in ankle flexor and extensor muscles. Exp Brain Res. 2004;159(4):491-500. 

  36. Tu Y, Zhang Z, Gu X, et al. Surface electromyography based muscle fatigue analysis for stroke patients at different Brunnstrom stages.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2016;3781-4. 

  37. van der Salm A, Veltink PH, IJzerman MJ, et al. Comparison of electric stimulation methods for reduction of triceps surae spasticity in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6;87(2):222-8. 

  38. Vattanasilp W, Ada L, Crosbie J. Contribution of thixotropy, spasticity, and contracture to ankle stiffness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69(1):34-9. 

  39. Wang JS, Lee SB, Moon SH. The immediate effect of PNF pattern on muscle tone and muscle stiffness in chronic stroke patient J Phys Ther Sci. 2016;28(3):967-70. 

  40. Wang JS, Um GM, Choi JH. Immediate effects of kinematic taping on lower extremity muscle tone and stiffness in flexible flat feet. J Phys Ther Sci. 2016; 28(4):1339-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