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Craft Activity on improvement cognitive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acute patients with strok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355 - 365  

장태용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보라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양영애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인지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추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중재방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A종합병원, B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두 그룹을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는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을 4주 동안 주 2회, 30분간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치료 전 후에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한 평가도구는 Box & Block Tes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Trail-Making Test이다. 결론적으로 중재 전 후 비교에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군의 손 기능 평가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인지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파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니며, 향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whether occupational therapeutic craft activity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with the hope of providing clinically useful results for further studies. From March 2016 to November 2016, thirty acute patients with stroke at A ge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활치료를 통해서, 환자들의 떨어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한된 일상생활을 하는 환자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다양한 재활 치료 방법들이 있으나, 본 연구는 수공예 그룹 치료프로그램을 급성기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인지기능과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 인지기능과 손 기능의 연관성 및 효과적인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부합하는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전에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자료 비밀보장과 익명성 등 연구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9월부터 10월까지이고 연구 대상자들에게 치료적 중재를 적용하기 전에 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05), 변화량의 평균을 보면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군이 대조군보다 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지운동치료와 손 근력에 미치는 효과 및 손 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인지운동치료의 효과를 단순히 알아보는 것보다 한발 더 나아가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이 손 기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45].
  •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이 대조군의 손 기능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향상에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이 대조군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또한, 선행연구 중 수공예 활동을 치료에 적용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16년 3월까지 조사된 논문에서 4편만이 20명이상의 대상자에게 연구를 진행하였다고 하였다[50]. 이와 같이 선행 논문의 수가 매우 적은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수공예 그룹치료 프로그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인지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에 대한 향후 발전 및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의 근본적인 원칙은? 수공예활동은 표현주체의 강력한 자아표현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자신을 본능을 실현하는 기회로 자아존중감을 키울 수 있다고 하였다[26]. 또한 수예와 공작활동은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 내며 창조적인 측면에서도 조형성이 매우 강한 활동이라고 하였고[27], 수예와 공작은 목적 있는 활동으로써 치료적인 가치가 있으며 동기와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28]. 이는 작업치료의 근본적인 원칙이기 때문에 수예공작은 치료적으로 중요한 도구이다[29].
인지장애란? 인지장애는 개인이 사고하고 행동하기 위해 외부에서 오는 다양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고 이용하는 과정에 문제를 가지고 오는 것을 말하며[6], 이러한 인지적 문제가 단순히 인지장애뿐만 아니라 신체적 운동기능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운동기능 중 상지 손 기능에 많은 저하가 나타나며 쥐기나 조작 등의 복잡한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에 기능적인 저하가 많이 보이며, 이로 인해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게 된다[7].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재활치료의 종류는? 인지재활치료는 재활을 목표로 설정한 인지기능에 체계적으로 개입하여 정보처리를 방해하는 인지장애를 호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19].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재활치료로는 약물치료와 함께 음악치료와 회상치료를 포함한 심리적 접근법, 전통적인 인지재활,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재활이 있다[20,21]. 이렇게 다양한 작업치료적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접근에는 경도 인지손상을 가진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강제운동치료방법 접근[22],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프로그램 접근[23],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회상을 하는 인지접근[24],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가상현실재활시스템 접근 방법 등이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Y. Y. You, C. S. Ahn,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 - 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7, no. 2, pp. 1-16, 2009. 

  2. P. W. Duncan, R. D. Horner, D. M. Reker, "Adherence to Postacute Rehabilitation Guideline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Stroke, vol. 33, no. 1, pp. 167-244, 2002. DOI: https://doi.org/10.1161/hs0102.101014 

  3. S. G. Roh, J. H. Kim, "Acute Cerebrovascular Accid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3, no. 4, pp. 23-28, 2012. 

  4. P. Appelros, A. G. Andersson, "Changes i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after stroke: Lacunar infarction predicts cognitive decline",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vol. 13, pp. 491-495, 2006. DOI: https://doi.org/10.1111/j.1468-1331.2006.01299.x 

  5. T. L. Han, J. H. Kim, D. H. Sung, M. H. Jun, "The Correl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and Functional Outcome in the Stroke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16, no. 2, pp. 118-122, 1992. 

  6. Pendleton HM, Schultz-krohn W.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sixth edition. Mosby Publishers, 2006. 

  7. H. M. Feys, W. J. De Weerdt, B. E. Selz, G. A. Cox Steck, R. Spichiger, L. E. Vereeck, K. D. Putman, G. A. Van Hoydonck,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a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vol. 29, no. 4, pp. 785-792, 1998. DOI: https://doi.org/10.1161/01.STR.29.4.785 

  8. G. Kwakkel, B. Kollen, J. Twisk, "Impact of time on improvement of outcome after stroke", Stroke, vol. 37, no. 9, pp. 2348-2353, 2006. DOI: https://doi.org/10.1161/01.STR.0000238594.91938.1e 

  9. B. H. Dobkin, "Clinical practi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2, no. 16, pp. 1677-1684, 2005. DOI: https://doi.org/10.1056/NEJMcp043511 

  10. D. H. Bang, T. W. Knag, D. W. Oh, "Comparison of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9, pp. 409-416, 2012. 

  11. K. U. Kim, T. S. Kim, H. W. Oh, "The effect of convergency : Using Digital Contents Action Observation Educations and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7, pp. 445-452,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7.445 

  12. K. H. Lee, K. C. Hwang,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Using Computer-human Interface for Recovery of Upper Extremity Us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285-290, 2016. DOI: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85 

  13. Y. H. Uhm, "The Feedback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Effect of Muscle Activity and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 205-212,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6.205 

  14. I. J. Yoon, J. I. Jung, D. R Kim, M. J. Park,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vol. 3, no. 1, pp. 5-23, 2014. 

  15. M. S. Kim, "Effect of Robot Assisted Rehabilitation Based on Visual Feedback in Post Stroke Pusher Syndrom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0, pp. 562-568,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562 

  16. Y. M. Jin, "The Effects of Upper Extremities Exercises Using Moving Surface in Sitting o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132-5412,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132 

  17. J. H. Kim, "Effects of Robot assisted Therapy on Lower Limb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7, pp. 459-466,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7.459 

  18. J. H. Kim, "Effects of Robot assisted Therapy on Lower Limb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7, pp. 459-466, 2016. 

  19. Y. J. Park, T. Yoon, M. S. Kim, "The effect of computerized attention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in schizophren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4 no. 4, pp. 721-737, 2005. 

  20. S. H. Shin, M. H. Ko, Y. H. Kim,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Brain Injur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26, no. 1, pp. 1-8, 2002. 

  21. J. S. Kwon, "Effects of Computer 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on Clinical Rehabilit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7, pp. 293-304, 201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5.13.7.293 

  22. H. J. Kim, J. I. Shin, K. Y. Kam. "The Effect of Constrain-Induced movement Therapy(CIMT) With Cognitive-Perceptual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2, pp. 5684-5691,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12.5684 

  23. E. Y. Kang, B. H. Chong, "The effect of a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on and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798-4804,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98 

  24. Y. J. Cha, "A Study on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OR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in Local Commun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8, pp. 605-614,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8.605 

  25. Y. G. Kim, "The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n Activit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on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476-5484,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476 

  26. G, S. Han, "Proposal for Craf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showing Lack adaptability to the school environment",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rt, vol. 8, no. 4, pp. 743-752, 2007. 

  27. Y. K. An, C. I. Kim. Decorate and Making. Mijinsa, 1990. 

  28. Hong JR, Kim HR, Yang YA, Yang KH, Chae SK, Choi HS. Crafts for occcupational therapy. Gyechuk Munwhasa Publishers, 2012. 

  29. M. V. Randomski, "There is more to life than putting on your pant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49, no. 6, pp. 487-490, 1995. DOI: https://doi.org/10.5014/ajot.49.6.487 

  30. I. J. Kong.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vol. 6, no. 2, pp. 45-51, 2014. 

  31. Y. S, Bang, Kim, H. Y, Y. S. Park,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at institution according to craft activity program",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4, no. 2, pp. 1-9, 2010. 

  32. B. H. Chong, J. J. Park, S. M. Chung, " Effect of Craft Program of Occupational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community", Journalof Neurotherapy. vol. 20, no. 2, pp. 47-52, 2016. 

  33. D. H. Noh, S. H. Han, E. J. Jo, S. H. Ahn, K. Y. Kam, "Effect of task-orienta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2, pp. 1153-1163,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2.1153 

  34. D. J. Kim, S. M. Cha, Y. Y. Yang, "A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tudies Students on The Craft Activities as a Dementia Preventive Program",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6, no. 1, pp. 19-26, 2012. 

  35. I. J. Kong, "The Effects of Art and Craf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Day-care Center Elderly person",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6, no. 2, pp. 45-54, 2014. 

  36. H. Y. Kim, "The Effects of Hand Function Program on hand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2, no. 2, pp. 1-12, 2008. 

  37. V. Mathiowetz, G. Volland, N. Kashman, K. Weber. "Adults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39 no. 2, pp. 389-391, 1985. DOI: https://doi.org/10.5014/ajot.39.6.386 

  38. Trombly CA, Randomski MV.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5th ed.). Baltimor: Lippincott Williams Wilkins. 2001. 

  39. Cromwell FS. Occupational Therapist's manual for basic skill assessment: Primary prevocational evaluation. Altadena, CA: Fair Oaks. 1976. 

  40. R. H. Jebsen, H. Taylor, R. B. Trieschmann, M. J. Trotter, L. A. Howard,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50, no. 3, pp. 311-319, 1969. 

  41. S. G. Kim, J. G. Oh, E. J. Lee, "Study for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 for the Subjects upper age of 40 cognition patients",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0, pp. 150-159, 1997. 

  42. I. J. Kong, H. Y. Hwang, S. Y. Slim, H. S. Jeon, H. J. Sim, D. H. Jung, H. H. Jin, G. O. Kim, H. J. Kim,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on Attention Span and Memory Function for Mild Dementia People", Journal of Koren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vol. 6, no. 2, pp. 25-34, 2014. 

  43. K. D. Cierone, D. Dahlberg, K. Kalmar, D. M. Langenbahn, J. F. Malec, T. F. Bergquist, et al.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ive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1, no. 1, pp. 1596-1615, 2000. DOI: https://doi.org/10.1053/apmr.2000.19240 

  44. S. Y. Bae, G. U. Jeong, J. Y. Baek, "The Group occupational therapy for clonic stroke patients Impact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5, pp. 153-159, 2015. 

  45. J. H. Hwang, M. Y. Kim, S. S. Lee, E. M. Jeon, B. H. Chong. "Effect of Cognitive Therapeutic Exercise on Hand Muscular Strength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Therapeutic Excercise, vol. 3 no. 1, pp. 55-63, 2011. 

  46. J. G. Broeks, G. J. Lankhorst, K. Rumping, A. J. Prevo, "The long-term outcome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Results of a follow-up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21, no. 8, pp. 357-364, 1999. DOI: https://doi.org/10.1080/096382899297459 

  47. H. Nakayama, H. S. Jorgensen, H. O. Raaschou, T. S. Olse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75, no. 4, pp. 394-398, 1994. DOI: https://doi.org/10.1016/0003-9993(94)90161-9 

  48. S. H. Park, S. J. Park, J. I. Shin, Y. A. Young, "The Effects of Craft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 Person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3, no. 1, pp. 55-61, 2009. 

  49. K. S. Woo, S. N. Ahn, "The Effectiveness of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on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Therapeutic Excercise, vol. 8, no. 1, pp. 17-23, 2016. 

  50. H. J. Lim, D. H. Lee, Y. Y. Yang, "Systematic review research that applies treatment of domestic crafts activities", Journal of th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10, no. 1, pp. 1-6, 2016. 

  51. J. K. Park, "Convergence factors among their physical state, function and activities influencing on the cognition of elderly resid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53-162, 2015.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5.6.6.153 

  52. N. S. Kim, "Effect of recreational exercise on cognition, depression, dynamic balance and leg strength in elderly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3, pp. 373-380, 2010. DOI: https://doi.org/10.5392/JKCA.2010.10.3.373 

  53. Y. S. Yong,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unctional Fitness and Muscle Protein Synthesis Related Hormone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185-193, 2016.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6.7.3.185 

  54. S. H. Jang, H. S. Bang, B. O. Jung, "The Effects of Home Bas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Recovery in a Post-Stroke Popul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 pp. 297-304, 2014. DOI: https://doi.org/10.14400/JDC.2014.12.7.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