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암환자 삶의 질 영향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2014)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2014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382 - 390  

박진아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홍지연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6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 측면에서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 삶의 질을 이용하였으며 SAS 9.3 ver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성별, 경제활동 여부, 소득사분위수(개인),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활동제한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증상 경험률에서 삶의 질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별, 소득사분위수(개인),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여부, 우울증상 경험률로 이들 변인은 삶의 질을 39.1%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암환자 삶의 질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정신건강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확인하였다는 점과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었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암 진단부터 치료, 회복 후 사회로 복귀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삶의 질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및 안위 증진, 암의 조기검진과 암예방 교육, 우울증상 관리, 사회적지지를 포함한 장기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using the results of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research tool us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전국 규모로 시행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연구는 제6기 2차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 건강상태, 정신건강 측면에서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연령, 성별, 경제활동 여부, 개인 소득사분위수,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활동제한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증상 경험률에서 삶의 질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이 연구는 제6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암환자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연구의 결과가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의 상태 및 진행정도에 따른 암환자의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질병의 상태 및 진행정도에 따라 암환자들은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후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불안, 우울, 고립감, 절망감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8]. 또한 이러한 문제를 경험하는 상황은 생애에 있어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는 것으로 암환자의 삶의 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8].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암환자들은 만성적이고 생명을 위협하는 암의 치료와 회복에 있어서 생존과 더불어 장기적 치료에 따르는 정서적 고통과 치료비용 및 직업상실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가족과의 역할 갈등 등으로 심리사회적 적응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9]. 이 때문에, 암의 치료와 회복과정에서 암환자의 생존만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환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안녕 상태인 삶의 질 향상이 가장 중요 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10].
암환자들은 암 진단과 각종 치료로 인해 어떤 증상을 겪는가? 암환자들은 암 진단으로 인한 심한 정서적 혼란과 함께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 등으로 치료를 받으면서 피곤함, 허약감, 탈진, 무기력, 오심, 구토 등의 신체적 부작용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치료가 종료된 이후에도 암 재발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와 여러 증상조절로 인해 의료기관의 주변을 벗어나기 어려운 상태로 정상적인 사회생활 재개에 상당한 제한을 가지고 있다[5]. 통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손발 저림 등과 같은 암 치료와 관련된 신체적 고통들은 자신의 삶과 하나가 되어 함께 지고가야 할 무거운 짐[6]이 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치료로 인한 신체적 불쾌감과 불편감, 가족들에 대한 정신적 부담감과 직업 및 경제적인 문제[7]를 포함하여 암환자를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Facts & Figures 2016,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7. 

  2. N. Howlader, AM. Noone, M. Krapcho, J. Garshell, D. Miller, SF. Altekruse, CL. Kosary, M. Yu, J. Ruhl, Z. Tatalovich, A. Mariotto, DR. Lewis, HS. Chen, EJ. Feuer, KA. Cronin. (eds).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5-2012, 2015. 

  3. Canadian Cancer Society, Statistics Canada and Provincial/Territorial Cancer Registry. Canadian Cancer Statistics 2015. 

  4. Center for Cancer Control and Information Services, National Cancer Center, Monitoring of Cancer Incidence in Japan -Survival 2003-2005 report 2013. 

  5. P. J. Oh. "Predicting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Vol. 27, pp. 901-11, 1997. DOI: https://doi.org/10.4040/jnas.1997.27.4.901 

  6. M. S. Park, K. S. Kim. "Cancer survivors' life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8, no. 3, pp. 93-104, 2008. 

  7. B. R. Kim, Y. H. Kim, J. S. Kim, I. S. Jeong, J. S. Kim. "A study to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3, pp. 321-330, 2003. DOI: https://doi.org/10.4040/jkan.2003.33.3.321 

  8. B. Ferrell, CA. Cullinane, K. Ervine, C. Melancon, GC. Uman, G. Juarez. "Perspectives on the impact of ovarian cancer: women's views of quality of life", Oncology Nursing Forum. Vol. 32, no. 11, pp. 1143-1149, 2005. DOI: http://doi.org/10.1188/04.ONF.1143-1149 

  9. K. H. Kim, B. Y. Chung, K. D. Kim, H. S. Byu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9, no. 1, pp. 52-59, 2009. 

  10. H. K. Hur, D. R. Kim, D. H. Kim. "The relationships of treatment side effect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1, pp. 71-78, 2003. 

  11. I. J. Lee. "The effects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3, pp. 522-557, 2012.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2.32.3.522 

  12. H. Kim, H. J. Yoo, Y. J. Kim, O. S. Han, K. H. Lee, J. H. Lee, C. W. Suh, W. K. Kim, J. C. Kim, S. H. Ahn, H. Y. Chu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2, no. 1, pp. 215-229, 2003. 

  13. B. Zebrack. "Cancer survivors and quality of lif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cology Nursing Forum. Vol. 27, no. 9, pp. 1395-1401, 2000. 

  14. J. W. Lim, I. Y. Han.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for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0, no. 1, pp. 5-27, 2008. DOI: https://doi.org/10.20970/kasw.2008.60.1.001 

  15. A. Montazeri.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 bibliographic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74 to 2007",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Vol. 27, no. 1, pp. 32, 2008. DOI: http://doi.org/10.1186/1756-9966-27-32 

  16. Y. S. Tae, S. J. Youn. "Effects of a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hope and quality of life in woma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ol. 6, no. 2, pp. 111-120, 2006. 

  17. J. G. Kim, L. S. Kwon.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ith cancer using EQ-5D index-Focused on the Korea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8, pp. 281-291, 2013. 

  18. S. H. Mo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physical activity among cancer survivors; Using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Degre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12. 

  19. C. Y. Park, H. S. Choi.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tial on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complex samp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5, no. 4, pp. 829-846, 2014. DOI: http://dx.doi.org/10.7465/jkdi.2014.25.4.829 

  20. J. A. Park. The experience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4. 

  21. M. Stephens. "The lived experience post-autologous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HSCT): a phenomenological stud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 9, no. 3, pp. 204-215, 2005. DOI: http://dx.doi.org/10.1016/j.ejon.2004.08.002 

  22. S. Chiodi, S. Spinell, G. Ravera, A. R. Petti, M. T. van Lint, T. Lamparell, F. Gualandi, D. Occhini, N. Mordini, G. Gerisso, S. Bregante, F. Frassoni, A. Bacigalupo. "Quality of life in 244 recipients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ritish Journal of Hematology. Vol. 110, no. 3, pp. 614-619, 2000. DOI: https://doi.org/10.1046/j.1365-2141.2000.02053.x 

  23. H. Heinonen, L. Volin, A. Untela, M. Zevon, C. Barrick, T. Ruutu. "Quality of life and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nals Hematology. Vol. 80, no. 3, pp. 137-143, 2001. DOI: https://doi.org/10.1007/s002770000249 

  24. M. Hensel, G. Egerer, A. Schneeweiss, H. Goldschmidt, A. D. Ho. "Quality of life and rehabilitation in social and professional life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nnals Oncology. Vol. 13, no. 2, pp. 209-217, 2002. DOI: https://doi.org/10.1093/annonc/mdf031 

  25. S. S. Han, I. S. Shin, Y. J. Kim.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Vol. 9, no. 1, pp. 33-40, 2009. 

  26. B. Y. Lee, H. S. Jo, M. S. Kwon. "Survey on quality of life, ment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24, no. 1, pp. 49-60, 2010. 

  27. J. S. Park, Y. J. Oh.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4, no. 1, pp. 52-63, 2012. DOI: https://doi.org/10.7475/kjan.2012.24.1.52 

  28. Y. L. Park.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korean older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Degree, Chong-Ang University, Seoul. 2015. 

  29. N. L. Keating. M. Norredam, M. B. Landrum, H. A. Huskamp, E. Meara.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f older long-term cancer survivor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Vol. 53, no. 12, pp. 2145-2152, 2005. DOI: http://doi.org/10.1111/j.1532-5415.2005.00507.x 

  30. J. I. Gold, M. K. Douglas, M. L. Thomas, J. E. Elliott, S. M. Rao, C. Miaskowski.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ood States, Func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Oncology Out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Epub ahead of print, 2012. DOI: http://doi.org/10.1016/j.jpainsymman.2011.10.014 

  31. K. Y. Kim, S. H. Lee, J. H. Kim, P. J. Oh. "Disturbance in ADL from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5, pp. 661-670, 2015.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5.45.5.661 

  32. A. Mehnert, U. Koch. "Psychological comorbid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awareness, utilization, and need for psychosocial support in a cancer register-based sample of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64, no. 4, pp. 383-391, 2008. DOI: http://doi.org/10.1016/j.jpsychores.2007.12.005 

  33. Y. Baek, M. Yi.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during chemo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4, pp. 604-612, 2015.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5.45.5.661 

  34. D. Spiegel, J. Giese-Davis. "Depression and cancer: Mechanisms and disease progression", Biology Psychiatry. Vol. 54, pp. 269-282, 2003. DOI: https://doi.org/10.1016/S0006-3223(03)0056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