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닥슬래브를 고려한 용접철골모멘트접합부의 내진보강
Seismic Retrofit of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Composite Floor Slab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9 no.1, 2017년, pp.25 - 36  

이철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성용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주로 보 하부 플랜지에서 발생하였다. 특히 국내 기존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과다한 전단스터드 배치에 따른 의도치 않은 합성작용로 인해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효과로 인한 접합부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량전단탭/수평헌치/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 및 RBS가 도입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상 기존 접합부 상부 플랜지의 수정이 불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 하부 플랜지에만 수평/삼각헌치를 보강하거나 RBS를 도입하여 이 때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물대 실험 결과 수평/삼각헌치 혹은 중량전단탭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합성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특수모멘트접합부가 요구하는 수준 이상의 소성회전각 5%이상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RC 기둥에 RBS를 도입할 경우 접합부에 소요되는 변형의 대부분을 RBS측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함으로써 SRC기둥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중 중량전단탭 보강에 따른 접합부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가의 수치해석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제시한 각각의 보강안에 대한 권장상세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1994 Northridge earthquake, connection damage initiated from the beam bottom flange was prevalent. The presence of a concrete slab and resulting composite action was speculated as one of the critical causes of the prevalent bottom flange fracture. In this study, four seismic retrofit schem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에서는 실물대 실험을 통해 국내 설계 및 시공관행을 통해 제작된 접합부 원형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합성도가 92%로 거의 완전한 합성거동을 보이는 합성슬래브 실험체의 경우, 중립축이 보 웨브 정중앙부에 위치하는 순철골 실험체와는 달리, 중립축이 50mm가량 상승하였으며 보 하부 플랜지 용접 열영향부의 파단으로 인해순철골 접합부의 성능에 다다르지 못하고 파단되었다.
  • PN500C-SRC/RBS 실험체의 하부 플랜지 RBS 저사이클 피로 파단을 보완하기 위한 후속 실험도 진행되었다. PN500CSRC/RBS 실험체의 보 강재는 SS400으로, CVN 인성값에 대한 규정이 없어서 상대적으로 피로저항 성능이 열등한 것으로 여겨진다.
  • 5a, b 참고). PN500과는 달리 하부플랜지의 용접 열영향부에서 피로파단이 발생한 PN500C의 실험결과는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 특히 용접부 부근의 보 플랜지는 열영향 및 3축응력 구속으로 인해 취성화된 영역 임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중량전단탭으로 보강하여 보 웨브의 소성단면계수를 증대시켜서 보 플랜지의 인장응력을 줄이고, 소성힌지의 발생힌지는 보 내부로 밀어내어 열영향과 3축응력 구속이 없는 영역에서 비탄성 변형을 발휘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본 상세를 포함시켰다. 본 실험체는 앞서 소개한 PN500C를 기본 골격으로 하여 폭 250mm, 높이 370mm, 보 웨브와 유사한 두께 9mm의 중량 전단탭을 용접하였으며, 여기서 중량전단탭 상세에 있어 응력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둥면의 반대편 양쪽 모서리 부분을 50mm씩 잘라내었다(Fig.
  • 본 연구에서는 철골모멘트 용접접합부의 성능저하를 야기하는 슬래브의 합성효과로 인한 중립축 위치상승과 그에 따른 하부 플랜지 응력 집중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중량 전단탭 보강, 수평/삼각헌치 보강 및 RBS도입을 통한 접합부 개선안을 제시하고 각 보강안의 실효성을 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각 안에 대한 권장상세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중량전단탭 보강은 플랜지를 손대지 않고 이 부분의 과응력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Fig.
  • 05rad으로 순철골 실험체인 PN500에 비해 열등한 에너지소산능력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 설계 시 의도한 슬래브 합성효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이에 대한 고찰은 이후에 본격적으로 다루도록 한다. Fig.
  • 기존의 내진보강상세나 내진성능향상 방안은 국내의 상세에 대해 검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설계 및 시공관행을 통해 제작된 접합부 원형을 토대로 실물대 실험을 통해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한편, 각각의 보강에 따른 내진성능 향상 유무를 입증하였다.
  • 중량전단탭을 통한 전략은 여타 보강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비용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보 하부에 별도의 보강을 위한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내진보강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전단탭 보강의 실효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수치해석적 보완연구를 수행하였다.
  • . 이하에서는 중량전단탭 보강 접합부의 응력전달기제를 수치해석적으로 살펴본다.
  • 헌치보강안과는 별개로 본 연구에서는 기둥 인접면의 보웨브에 중량전단탭(heavy shear tab)을 용접하는 새로운 보강법을 제시하였다. Goel 등[10]은 해석 연구를 통해 기둥 근방 보 웨브 중립축 근처에는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보에 전달되는 전단력은 트러스와 유사하게 보 플랜지를 통해 전달됨을 주장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량전단탭/수평헌치/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 및 RBS가 도입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의 결과는 무엇인가? 통상 기존 접합부 상부 플랜지의 수정이 불가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 하부 플랜지에만 수평/삼각헌치를 보강하거나 RBS를 도입하여 이 때의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실물대 실험 결과 수평/삼각헌치 혹은 중량전단탭으로 보강한 실험체는 모두 합성작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고 특수모멘트접합부가 요구하는 수준 이상의 소성회전각 5%이상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RC 기둥에 RBS를 도입할 경우 접합부에 소요되는 변형의 대부분을 RBS측에서 일어나도록 유도함으로써 SRC기둥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중 중량전단탭 보강에 따른 접합부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가의 수치해석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제시한 각각의 보강안에 대한 권장상세를 제시하였다.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가 많이 발생한 위치는 어디인가?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주로 보 하부 플랜지에서 발생하였다. 특히 국내 기존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과다한 전단스터드 배치에 따른 의도치 않은 합성작용로 인해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에서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4년 노스리지 지진 당시 발생한 용접모멘트 접합부의 취성파괴는 주로 보 하부 플랜지에서 발생하였다. 특히 국내 기존 용접철골모멘트 접합부의 경우 과다한 전단스터드 배치에 따른 의도치 않은 합성작용로 인해 지진 내습 시 보 하부 플랜지의 취성파단이 더욱 우려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효과로 인한 접합부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량전단탭/수평헌치/삼각헌치로 보강된 접합부 및 RBS가 도입된 접합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uneau M, Uang C. M., and Whittaker A. (2011) Ductile Design of Steel Structures (Secon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NY, USA. 

  2. 이철호, 정종현, 김정재(2014) 철골모멘트 용접접합부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합성슬래브의 영향,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2014, 제26권, 제5호, pp.385- 396. Lee, C.H., Jung, J.H., and Kim, J.J. (2014) Effects of Composite Floor Slab on Seismic Performance of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6, No.5, pp.385-396 (in Korean). 

  3. Lee, C.H., Jung, J.H., Kim, S.Y., and Kim, J.J. (2016) Investigation of Composite Slab Effect on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Moment Connection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117, pp.91-100. 

  4. Lee, C.H. and Uang, C.M. (1997) Analytical Modeling of Dual Panel Zone in Haunch Repaired Steel MRF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123, No.1, pp.20-29. 

  5. Uang, C.M., Bondad, D., and Lee, C.H. (1998) Cyclic Performance of Haunch Repaired Steel Moment Connections: Experimental Testing and Analytical Modeling, Engineering Structures, ELSEVIER, Vol.20, No.4-6, pp.552-561. 

  6. Yu, Q.S., Uang, C.M., and Gross, J. (2000) Seismic Rehabilitation Design of Steel Moment Connection with Welded Haunch,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126, No.1, pp.69-78. 

  7. Lee, C.H. and Uang, C. M. (2001) Analytical Modeling and Seismic Design of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Welded Straight Haunch,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127, No.9, pp.1028-1035. 

  8. Lee, C.H., Jung, J.H., Oh, M.H., and Koo, E.S. (2003) Cyclic Seismic Testing of Steel Moment Connections Reinforced with Welded Straight Haunch, Engineering Structures, ELSEVIER, Vol.25, pp.1743-1753. 

  9. Gross, J.L., Engelhardt, M.D., Uang, C.M., Kasai, K., and Iwankiw, N.R. (1999) Modification of Existing Welded Steel Moment Frame Connections for Seismic Resistance (Vol.12),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SC). 

  10. Goel, S.C., Stojadinovic, B., and Lee, K.H. (1997) Truss Analogy for Steel Moment Connections, Engineering Journal, AISC, Vol.34, pp.43-53. 

  11. Lee, C.H. (2007) Review of Force Transfer Mechanism of Welded Steel Moment Connection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62, No.7, pp.695-705. 

  12. Lee, C.H. and Kim, J.H. (2007) Seismic Design of Reduced Beam Section Steel Moment Connections with Bolted Web Attachment,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63, pp.522-531. 

  13. AISC/ANSI,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ISC, 2010. 

  14. 대한건축학회(2016)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대한건축학회. AIK (2016) Korean Buliding Code and Commentary- Structura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15. ABAQUS (2010) ABAQUS Analysis User's Manual, SIMULI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