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음 수준에 따른 굴거리나무의 용기 내 생장 및 생리적 반응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ontainer of Daphniphyllum macropodum by Shading Level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1, 2017년, pp.33 - 39  

송기선 (한국임업진흥원 임업지식서비스단) ,  김종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음성이 있는 수종으로 알려진 난대 상록활엽수인 굴거리나무 용기묘를 대상으로, 피음 수준에 따른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음은 전광과 전광의 35%, 55%, 75% 수준으로 조절하여 처리하였다. 피음 수준에 따른 1년생 용기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 조사 결과, 간장은 35% 피음에서 13.2 cm로 가장 컸으며, 근원경은 전광에서 4.99 mm로 가장 굵었다. 잎, 줄기, 뿌리 및 전체 건물생산량은 모두 35% 피음에서 각각 1.38 g, 0.47 g, 0.87 g, 2.72 g으로 높았다. 엽록소 a, b 및 총 엽록소 함량은 상대적으로 피음 수준이 가장 높은 75% 피음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록소 a/b율은 35% 피음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수분이용효율은 35% 피음에서 각각 $12.3{\mu}molCO_2{\cdot}m^{-2}{\cdot}s^{-1}$, $0.27molH_2O{\cdot}m^{-2}{\cdot}s^{-1}$, $3.53{\mu}molCO_2{\cdot}mmol^{-1}H_2O$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내음성이 있는 굴거리나무는 35% 피음 수준이 생육에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 growth and the physiological response by shading levels of a container seedling of Daphniphyllum macropodum which is known as the species of having shade tolerance in a warm temperature evergreen broad-leaved tree. The shading treatment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묘목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난대 상록활엽수인 굴거리나무를 대상으로 이를 보다 안전한 시설 내에서 묘목을 생산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피음 수준에 따른 굴거리나무의 생장 및 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피음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난대 상록활엽수인 굴거리나무의 적정 생육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피음 수준에 따른 1년생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굴거리나무 1년생 용기묘를 피음 처리한 결과, 간장, 건물생산량(잎, 줄기, 뿌리, 전체), 엽록소 a/b율, 광합성 반응(광합성 속도,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은 모두 35% 피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대 상록활엽수종이란? 난대 상록활엽수종은 산림기후대 분류에 따른 난대지역 (warm temperate zone)에 분포하고 있는 수종을 말하며, 한국의 난대 상록활엽수종은 위도로 보면 내륙에서 북위 35°, 해안에서 35°30′이남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주로 남해안과 남해 도서지역, 서해안과 동해안 일부 남쪽해안, 그리고 제주도는 해발고도 500 m 이하, 울릉도는 600 m 이하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Lee, 1999).
국내 난대수종의 종류는? 현재 한국의 난대수종은 250여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녹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돈나무, 감탕나무, 구실잣밤나무, 굴거리나무 등의 상록활엽수종이다. 난대 상록활엽수종은 난대림의 복원 및 기후 온난화에 따른 조림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남부지방인 부산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에서 도시주변의 경관식재용, 가로수, 공원수, 정원수 용도 등으로 그 묘목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Kim, 2010).
굴거리나무 잎의 채취 시기는? 우리나라에서는 굴거리나무와 좀굴거리나무가 자라고, 잎은 약용으로 사용한다. 일년 내내 때를 가리지 않고 잎을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한 잎은 햇볕에 말려 사용하기도 한다(Lee, 1999). 또한, 굴거리나무는 환경오염에 강하여 도시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하는 환경정화수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어 도시경관 및 녹화용으로 활용가치를 인정받아 묘목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non, D.I. 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lant Physiology 24: 1-15. 

  2. Ashton, P.M.S. and Berlyn, G.P. 1992. Leaf adaptations of some Shorea species to sun and shade. New Phytologist 121: 587-596. 

  3. Cho, M.S., Kwon, K.W., Kim, G.N. and Woo, S.Y. 2008.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149-157. 

  4. Choi, J.I., Seon, J.H., Pack, K.Y. and Kim, T.J. 1998.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of eight foliage plant specie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and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9: 197-202. 

  5. Choi, S.M., Shin, H.C., Lee, K.S., Bae, E.G., Choi, K.O. and Huh, K.Y. 2012. Effects of shading r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sis in four broad-leaved evergreen tr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 99-106. 

  6. Faria, T., Garcia-Plazaola, J.I., Abadia, A., Cerasoli, S., Pereira, J.S. and Chaves, M.M. 1996. Diurnal changes in photoprotective mechanism in leaves of cork oak(Quercus suber) during summer. Tree Physiology 16: 115-123. 

  7. Haase, D. 2007. Understanding forest seedling quality :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 Tree Planter's Notes 52: 24-30. 

  8. Han, J.G., Son, S.G., Kim, S.H., Kim, C.S., Hwang, S.I. and Byun, K.O. 2008. Photosynthesis, chlorophyll contents and leaf characteristics of Ilex rotunda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 299-303. 

  9. Hong, S.G., Kim, J.J. and Im, H.T. 2000. Studies on the shade tolerance of th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 585-590. 

  10. Jeong, J.Y. 2009. Eco-physiological analysis of seedling depending on light environment in a group of Daphniphyllum macropodum in Naejang National Park.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 35. 

  11. Kim, G.N., Cho, M.S. and Lee, S.W. 2010a.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 regim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 36-48. 

  12. Kim, J.J. 2010. Production plan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by container seedling. Journal of the Forest Nurseryman Association of Korea 38: 27-38. 

  13. Kim, J.J., Kwon, K.W., Kim, P.G., Yoon, T.S., Lee, K.J., Y.S. Chung, and Song, K.S. 2010b.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n nursery industry.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 42-53. 

  14. Kim, P.G. and Lee, E.J. 2001.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2: Adaptation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to chang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 171-176. 

  15. Kim, P.G., Kwon, K.W., Yoon, T.S., Lee, K.J., Chung, Y.S., Song, K.S., Cha, Y.G. and Kim, J.J. 2010c. Damages of seedlings by meteorological disasters in nursery.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 148-161. 

  16. Kim, P.G., Yi, Y.S., Chung, D.J., Woo, S.Y., Sung, J.H. and Lee, E.J. 2001.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tic activity of shade tolerant and intolerant tree spec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 476-487. 

  17. Kim, S.H., Saung, J.H., Kim, Y.K. and Kim, P.G. 2008.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our oak species to changes in light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141-148. 

  18. Kwon, K.W., Choi, J.H., Song, H.K. and Kang, B.S. 2003. Studies 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oak tree seedlings under different light environment in forest.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2: 20-28. 

  19. Lee, T.B. 1999. Dendrology. Hyangmoon Press. Seoul, Korea. pp. 331. 

  20. Lim, J.H., Woo, S.Y., Kwon, M.J., Chun, J.H. and Shin, J.H.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 705-710. 

  21. Park, N.B., Jo, J.H., Jin, S.G., Park, K.H. and Choi, B.J. 1992. Basic studies on the seed propagation and pot plant cultivation of wild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0: 188-189. 

  22. Song, K.S., Jeon, K.S., Choi, K.S., Choi, J.Y., Sung, H.I. and Kim, J.J. 2014. Growth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seedlings of warm-temperate landscape tree by shading and fertilization treatment: Research on seedling production of D. macropodum by container nursery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9: 65-76. 

  23. Song, K.S., Sung, H.I., Cha, Y.G. and Kim, J.J. 2011.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1-year-old containerized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treatment.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 373-381. 

  24. Sung, H.I., Song, K.S., Cha, Y.G. and Kim, J.J. 2011.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 598-608. 

  25. Yoo, Y.K. and Kim, K.S. 1997.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in Hibiscus syriacus 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8: 520-5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