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및 과체중 여성에 대한 한의 비만치료의 효과 및 계절별 치료기간 설정을 위한 후향적 분석
The Retrospective Analysis on Obese and Overweight Female Patients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Its Effectiveness for Clinical Setting of Seasonal Treatment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7 no.1, 2017년, pp.10 - 19  

신원용 (자연과한의원 건대점) ,  서기성 (오슬견한의원) ,  송주현 (자연과한의원 대전점) ,  백철현 (자연과한의원 부산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obesity and to define which seasonal factor could be utilized to make an obesity treatment program more effective. Methods: Three hundred and forty-four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ata were analyzed for weight, body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치료시작 월을 기준으로 3, 4, 5월은 봄군, 6, 7, 8월은 여름군, 9, 10, 11월은 가을군, 12, 1, 2월은 겨울군으로 분류함으로써 치료시작 시점이 치료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이를 기반으로, 계절군 간 체중, 체지방량, 근육량, BMI 및 체지방률 등의 변화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 및 저주파치료만을 보조요법으로 단일 한약물 처방을 투여함으로써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등의 다양한 지역, 다양한 연령의 비만 및 과체중 여성들의 비만 치료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고방 혹은 기성 처방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얻었고, 이 과정에서 비만치료의 시작시기가 치료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유의한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통계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344명의 환자 중 임상적으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21명의 환자 데이터를 제외하고 1 kg 이상 체중을 감소시킨 환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각 환자 체중의 10%의 체중 감량을 가상의 목표로 설정하여 치료시작 계절별 추정 치료기간을 산출, 비교하고자 하였다.
  • 즉 어떤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환자군이 어느 계절에 치료를 결심하는지, 그 결과 치료의 기간과 효율은 어떻게 예상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 치료의 과정에서 어떤 계절이 치료의 적기인지만을 판단하고자 한다면 월별 감량의 정도를 산출하여 비교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의료경영의 관점에서 환자들의 치료시작에 대한 결심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어떤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환자군이 어느 계절에 치료를 결심하는지, 그 결과 치료의 기간과 효율은 어떻게 예상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에 대한 대처법은? 비만에 대한 대처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 식이, 약물, 수술요법 및 심리요법 등 다양한 방식의 요법들이 주목받고 있다7,8). 또한 한방의료기관에서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위의 요법과 결합하여 한약, 침, 침전기자극 및 약침요법 등의 방법을 시행하고 있다9-11).
국내 비만의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현대에 이르러 전 세계적으로 비만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비만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17). 국내에서도 2013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자는 1998년 25.1%에서 2013년에는 37.6%로, 여자는 1998년 26.2%에서 2012년 28.0%로 꾸준하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18).
비만의 특징은? 비만은 기본적으로 지방 조직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압, 당뇨병 등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도 관련도가 높으며2,3),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신경학적 기능저하 및 종양 발현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보고되었다4). 게다가 삶의 질과 직결되는 우울증과 비만의 유병률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고5), 이는 여성에서 더욱 현저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Geneva : WHO. 2000 : 5-37.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nd vol. Seoul : Euiseongdang publisher. 2012 : 295-6. 

  3.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67(5):968-9. 

  4. Salmon AB. Beyond diabetes: does obesity-induced oxidative stress drive the aging process? Antioxidants. 2016 ; 5(3) : 24. 

  5. Kim JY, Oh DJ, Yoon TY, Choi JM, Choe BK. The impacts of obes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 cross-sectional study about depressive mood and quality of life.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 ; 40(2) : 191-5. 

  6. Son YJ, Kim GY.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of adult women in Korea. Korean J Obes. 2012 ; 21(2) : 89-98. 

  7. Cho SH, Lee JS, Thabane L, Lee J.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Obes. 2009 ; 33(2) : 183-96. 

  8. Jung SK, Kim DE, Yu DS, Yeom SR, Song YS, Kwon YD. The retrospective study on modified fasting therapy in inpatients. J Orient Rehab Med. 2008 ; 18(4) : 171-87. 

  9. Hwang DS, Ahn SJ, Kim JS, Shin HT, Kim YS, Lee KS.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regional fat by measuring thigh circumstance. J Korean Orient Assoc Stud Obes. 2005 ; 5(1) : 1-8. 

  10. Choi S, Lee YJ, Choi HS. Comparative prospective short-term study on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thigh circumference. J Korean Orient Assoc Stud Obes. 2003 ; 3(1) : 61-7. 

  11. Jang YJ, Cho JH, Song BJ. Effect of Taeyeumjowee-tang and electroacupuncture combined-therapy on obesity. J Korean Orient Assoc Stud Obes. 2001 ; 1(1) : 77-83. 

  12. Ding GA. Jiaweijingguizhugan-tang for obesity induced by psychoactive drugs. Chin J Clinl Rehab. 2006 ; 10(43) : 46-8. 

  13. Song MY, Park JH, Lee JH, Kim HJ, Lee MJ. The efficacy and safety of Ephedra and green tea mesotherapy on localized fat. J Korean Med Obes Res. 2007 : 7(1) : 71-85. 

  14. Shi J, Hu YY, Wang QH, Mao SZ. Fufangcangzhu-tang for treatment of senile obesity or overweight complicated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a clinical observation in 32 cases. J Tradit Chin Med. 2006 ; 26(1) : 33-5. 

  15. Wang C. Improvements of Pingganyishenditan-yin in blood pressure, body weigh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besity hypertension. Chin J Clin Rehab. 2006 ;10(43) : 24-6. 

  16. Hwang DS, Lee YJ, Lee CH, Kim YS, Jang JB, Lee KS. The efficacy of low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therapy for weight loss in obese Korean women. J Korean Obstet Gynecol. 2009 ; 22(2) : 140-50. 

  17. Nguyen DM, El-Serag HB.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0 ; 39(1) : 1-7.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nutrition survey. Seoul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19. Choi H, Seo KS, Shin WY.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obesity and overweight female patients with clinical treatment including herbal medicine. J Korean Obstet Gynecol. 2016 ; 29(3) : 35-46. 

  20. Na HJ, Kim MJ, Kim YN. Change of recommended energy intake for Korea. J Korean Assoc Pract Arts Educ. 2011 ; 23(3) : 121-38. 

  21. Lee YJ, Hwang DS, Cho JH, Lee JM, Lee CH, Jang JB, et al. The difference of weight loss as age exercise in women after oriental obesity treatment in short term. J Korean Obstet Gynecol. 2009 ; 22(3) : 197-204. 

  22. Turner JB, Kumar A, Koch CA. The effects of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on metabolic rate and adipose tissue - the Mississippi perspective on the obesity epidemic. Rev Endocr Metab Disord. 2016 ; 17(1) : 61-71. 

  23. Hippel PT, Workman J. From 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U.S. Children's obesity prevalence grows only during summer vacations. Obesity. 2016; 24(11) : 2296-300. 

  24. Mahoney JL. Adolescent summer care arrangements and risk for obesity the following school year. J Adolesc. 2011 ; 34(4) : 737-49. 

  25. Cizza G, Requena M, Galli G, de Jonge L. Chronic sleep deprivation and seasonality: implications for the obesity epidemic. J Endocrinol Invest. 2011 ; 34(10) : 793-800. 

  26. Choi EM, Ryu EK. Effects of Bangpungtongseoung-San on obese patients. J Korean Med Obes Res. 2001 ; 1(1) : 1-11. 

  27. Bae JH, Chung SH, Lee JS, Kim SS, Shin HD.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Yanghae^{(R)}$ (Bangpung tongseoung-san)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 Orient Rehab Med. 2003 ; 13(1) : 37-46. 

  28. Park JK, Kim DI. A study about change of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during early puerperium. J Korean Obstet Gynecol. 2010 ; 23(4) : 95-108. 

  29. Lim JH. A study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postpartum body composition, change of BMI and body fat. J Korean Obstet Gynecol. 2002 ; 15(1) : 17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