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Burnout of Medical Librarians in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1, 2017년, pp.245 - 269  

장혜란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정아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의학정보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 현황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회 산하 138개 회원기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배경과 직력, 조직적 특성, 소진 수준, 극복 활동에 대한 이메일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소진측정 도구로는 MBI-GS가 사용되었다. 2016년 12월 2주간 수행된 조사에 158명이 응답하였으며(응답률 65.6%), 데이터는 기술적 통계, t-검증, 분산분석,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MBI-GS 규준에 따르면,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소진 상태는 정서적 탈진과 직업효능감은 중간 단계에 속하나, 냉소는 매우 높은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들의 소진은 나이, 의학사서자격, 근무경력, 관종, 업무의 수, 극복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업무량, 역할갈등, 의사결정 및 성과평가의 합리성, 조직내 의견교환, IT환경, 계속교육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소진완화를 위한 개인적, 조직적, 그리고 전문직 단체의 관리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and understand the level of job burnout among the medical librarians and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t, email survey, consisting of questions regarding personal backgrou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degree of burnout, and coping activities, was administered for two weeks in Decemb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도서관과 차별되는 의학도서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의학도서관이 다른 도서관과 차별되는 특징은 응용과학 중에서도 노화 속도가 빠른 정보원을 다룬다는 것과 병원에 속한 도서관들은 극히 소수의 직원이 다양한 업무를 전담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정보원의 전자화 범위 확대로 의학도서관의 자료보존 기능이 축소되면서 상대적으로 의학연구자들의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정보서비스의 비중이 증가되어, 사서들에게는 보다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소진이란 무엇인가? 의학도서관의 이러한 환경은 사서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는데, 스트레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점차 원상회복이 어려운 상태인 소진(burnout)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소진은 감정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지나치게 고갈되어 마음의 에너지가 방전된 상태로 소진증후군(burnoutsyndrom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진은 스트레스의 특수한 유형으로, 직무에 대한 만성적 스트레스 누적으로 극도의 피로를 느끼고 직무에 대한 이상과 열정이 상실되는 부정적인 심리경험이다.
소진완화를 위한 소진극복 프로그램의 참여가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소진극복 활동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소진완화에 도움이 되는 개인적인 활동은 수행하고 있었으나, 직장에서 제공하는 소진극복 프로그램이 없거나, 있더라도 참여하고 있지 않은 응답자들이 많았고, 계속교육에 대한 참여도 또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육참여 저해요인으로는 기관의 지원 부족, 적정프로그램의 부족 및 업무과중 등의 이유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극복프로그램의 참여경험에 따라 정서적 탈진 정도에 차이가 있고, 계속교육참여횟수는 냉소 및 직업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박문영. 2014. 대학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업무환경 지각이 업무스트레스와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병원경영학과.(Park, Moon-Young. 2014. The Effect of Perceived Professional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Korea.) 

  2. 박희현, 김광웅. 2005.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burnout)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39-56.(Park, Hui Hyun and Kim, Kwang Woong. 2005.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Burnout about Child Counselor."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39-56.) 

  3. 이은희, 김경호. 2008.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2(2): 167-193.(Lee, Eun-Hee and Kim, Kyung Ho. 2008.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Social Workers." Social Research, 2(2): 167-193.) 

  4. 장지숙. 1994. 전문도서관 사서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Jang, Ji-Sug. 1994. A Study on the Burnout of Librarians in Special Libraries. M.A.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5. 진정희. 2012. 입법지원조직 구성원의 소진(burnout) 실태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Jin, Jung Hee. 2012. A Study on Realiti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Burn-out of Legislative Supporting Staffs: Focusing Staffs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M.A. thesis,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Yeonsei University, Korea.) 

  6. 최명민. 2007. 질적-양적 연구방법론의 혼합에 의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탄력성 및 소진위험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9(4): 245-272.(Choi, Myung Min. 2007. "Creating and Validating Scale of Resilience to Burnout and Scale of Burnout Risk with Mixed Method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4): 245-272.) 

  7. 황상희. 2012.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4): 1728-1738.(Hwang, Sang-Hui.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4): 1728-1738.) 

  8. Affleck, M. A. 1996. "Burnout among Bibliographic Instruction Libraria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2): 165-183. 

  9. Birch, N., Marchant, M. and Smith, N. 1986. "Perceive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eference Librarian Burnout in Public Librari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8(1): 53-65. 

  10. Bunge, C. A. 1989. "Stress in the Library Workplace." Library Trends, 38(1): 92-102. 

  11. Blazek, R. and Parrish, D. A. 1992. "Burnout and Public Services: The Periodical Literature of Librarianship in the Eighties." RQ, 32(1): 48-59. 

  12. Caputo, J. S. 1991. Stress and Burnout in Library Service. Phoenix, AZ: Oryx Press. 

  13. Cordes, C. L. and Dougherty, T. W. 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4): 621-656. 

  14. DelGuidice, M. 2011. "Avoiding School Librarian Burnout: Simple Steps to Ensure your Personal Best." Library Media Connection, 29(4): 22-23. 

  15. Densten, I. L. 2001. "Re-thinking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8): 833-847. 

  16. Farber, B. A. 1983.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 Professions. New York, NY: Pergamon Press. 

  17. Ferriero, D. S. and Powers, K. A. 1982. "Burnout at the Reference Desk." RQ, 21(3): 274-279. 

  18.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19. Halbesleben, R. B. and Demerouti, E. 2005. "The Construct Validity of an Alternative Measure of Burnout: Investigating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Work and Stress, 19(3): 208-220. 

  20. Harwell, K. 2013. "Burnout and Job Engagement among Business Librarians." Library Leadership & Management, 27(1/2): 1-19. 

  21. Lee, S. M. et al.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Measurement & Evaluation in Counseling & Development, 40(3): 142-154. 

  22. Maslach, C. and Jackson, S. E. 1981a.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2: 99-113. 

  23. Maslach, C. and Jackson, S. E. 1981b.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4. Maslach, C., Jackson, S. E. and Leiter, M. P. 199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5. Maslach, C., Schaufeli, W. B. and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397-422. 

  26. Nelson, V. C. 1987. "Burnout: A Reality for Law Librarians?" Law Library Journal, 79(2): 267-275. 

  27. Pines, A. and Aronson, E. 1988.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NY: Free Press. 

  28. Schaufeli, W. B., Maslach, C. and Marek, T. 1996.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Philadelphia, PA: Taylor & Francis. 

  29. Siamian, H. et al. 2006. "Stress and Burnout in Libraries & Information Centers." In Proceedings of Asia-Pacific Conference on Library & Information Education & Practice 2006, April 3-6, 2006, Nanyang: Schoo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62-267. 

  30. Smith, N., Birch, N. and Marchant, M. 1984. "Stress, Distress and Burnout: A Survey of Public Reference Librarians." Public Libraries, 83-85. 

  31. Smith, N. and Nielsen, L. 1984. "Burnout: A Survey of Corporate Librarians." Special Libraries, 75(3): 221-227. 

  32. Smith, N. M. and Nelson, V. C. 1983. "Burnout: A Survey of Academic Reference Librarian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4(3): 245-250. 

  33. Togia, A. 2005. "Measurement of Burnout and the Influence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Greek Academic Librarians." Library Management, 26(3): 130-138. 

  34. Vijayakumar, A. and Remy, S. 2013. "Burnout Syndrome in Library Professionals." Asian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4(11): 234-235. 

  35. Watstein, S. B. 1979. Burnout: From a Librarian's Perspectiv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195232. 

  36. Yu, K. 2007. A Cross-Cultural Validation Study on Counselor Burnout: A Korean Sample. Ph.D. diss., University of Arkansas,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