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수확시기에 따른 고려엉겅퀴의 항산화활성 및 항비만 활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2016년 6월, 7월 그리고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를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ORAC assay 및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지표성분 pectolinarin 함량은 수확시기별로 $43.13{\pm}0.22{\sim}95.65{\pm}0.34mg/g$로 수확 시기 가운데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40.43{\pm}0.35mg\;RE/g$로 수확시기 가운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수확시기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ORAC 지수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지표성분 함량의 결과와 유사하게 2016년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에서 6월 수확시기보다 2.4배가량 높은 ORAC 지수를 나타내었다. 수확시기별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50{\sim}200{\mu}g/mL$의 농도에서 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수확시기별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려엉겅퀴는 비만 등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f Cirsium setidens Nakai in different harvest time that will be applied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ingredients. We investigated pecti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and antioxidant effects (DPPH radical sc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의 원재료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6월에서 8월 사이에 수확된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지표성분 및 유용생리활성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pectolinarin 함량분석과 이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수확시기에 따른 고려엉겅퀴의 항산화활성 및 항비만 활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2016년 6월, 7월 그리고 8월에 수확한 고려엉겅퀴를 이용하여 지표성분 분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ORAC assay 및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으로 인해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질환은? 비만은 열량 섭취와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으로 심혈관계 질환을 비롯한 제 2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인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1).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 뿐만 아니라 식이요법, 운동요법들을 병행하게 되면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그 중에서도 식이요법은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2,3).
고려엉겅퀴는 무엇인가?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Nakai)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주로 강원도 지역에 분포하며 그 맛이 담백하고 향이 독특하여 예로부터 빈궁기에 곤드레 밥을 지어 부족한 식량을 해결하는 구황식품으로 활용되어 왔다8). 구황식물로서 활용되었던 고려엉겅퀴가 최근 건강식품의 원료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고려엉겅퀴의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졌으며 Yoo 등9) 은 고려엉겅퀴의 지표성분은 pectolinarin 및 비배당체의 형태인 pectolinarigenin으로 보고한 바 있고, Noh 등10)은 고려엉겅퀴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로부터 무알콜성 지방간의 간 지방축적 억제작용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한바 있다.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많은 약물들이 시장에서 회수된 이유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 뿐만 아니라 식이요법, 운동요법들을 병행하게 되면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그 중에서도 식이요법은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2,3). 식욕, 지방흡수 억제 및 지방산화 조절 등을 통해 비만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비만 치료 약물이 개발이 되었지만 낮은 효능 및 불면증, 두통,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많은 치료제들이 시장에서 회수되었다4,5). 현재는 항비만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소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Park 등6)은 흑마늘 열수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dipogene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lipid droplet 및 triglyceride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막는 항비만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으며 Kim 등7)은 후박 추출물이 지방 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인자를 억제하여 분화를 억제하며, HSL (Hormone sensitive lipase) 발현의 증가로 인해 성숙된 지방세포가 생성한 triglyceride의 분해를 촉진하여 항비만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piegelman, B.M., Flier, J.S.: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2001). 

  2. King, D.J., Devaney, N.: Clinical pharmacology of sibutramine hydrochloride (BTS 54524), a new antidepressant, in healthy volunteers. Br. J. Pharmacol., 26, 607-611 (1988). 

  3. Mason, E.E.: Methods for Voluntary Weight Loss and Control. Obes. Surg., 2, 275-276 (1992). 

  4. Elangbam, C.S.: Review paper: Current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 of anti-obesity drugs and their safety concerns. Vet. Pathol., 46, 10-24 (2009). 

  5. Rodgers, R.J., Tschop, M.H., Wilding, J.P.: Anti-obesity drugs: past, present and future. Dis Model Mech., 5, 621-626 (2012). 

  6. Kim, H.J., Lee, Y.M., Kim, Y.H., Won, S.I., Choi, S.A., Choi, S.W.: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with Magnolia officinali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 117-123 (2009). 

  7. Park, J.H., Park, C., Han, M.H., Kim, B.W., Chung, Y.H., Kim, Y.H.: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Aged Black Garlic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J. Life. Sci., 5, 720-728 (2011). 

  8. Park, H.Y., Lim, B.K.: Manufacturing optimization of wet noodle added with leaf powder of freeze-dried Cirsium setidens Nakai. Food Eng. Prog., 18, 130-139 (2014). 

  9. Yoo, Y.M., Nam, J.H., Kim, M.Y., Choi, J., Park, H.J.: Pect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of Cirsium setidens prevent the hepatic injury in rats caused by D-galactosamine via an antioxidant mechanism. Biol Pharm Bull., 31, 760-764 (2008). 

  10. Noh, H., Lee, H., Kim, E., Mu, L., Rhee, Y.K., Cho, C.W., Chung, J.: Inhibitory effect of a Cirsium setidens extracts on hepatic fat accumulati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via the induction of fatty acid ${\beta}$ -oxida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77, 1424-1429 (2013). 

  11. KFDA. Guideline for standard of health functional foo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8). 

  12. RDA. Profitability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Reg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si, Korea (2012). 

  13.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2006). 

  14. Kim, H.S., Park, J.W., Lee, Y.J., Shin, G.W., Park, I.B., Jo, Y.C.: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 J. Food Preserv., 16, 427-434 (2009). 

  15. Oh, J.W., Lee, J.H., Cho, M.L., Shin, G.H., Kim, J.M., Choi, S.I., Jung, T.D., Kim, Y.H., Lee, S.J., Lee, B.J., Park, S.J., and Lee, O.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for pectolinarin and pectolinarigenin in fermented Cirsium setidens Nakai by bioconver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504-1509 (2015). 

  16. Kim, I.S., Yang, M.R., Lee, O.H., Kang, S.N.: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various spices. Int. J. Mol. Sci., 12, 4120-4131 (2011). 

  17.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 J. Food Sci., 34, 617-624 (2002). 

  18.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001). 

  19.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 J. Food Preserv., 18, 366-373 (2011). 

  20. Lee, S.K., Kim, S.K., Hong, E.Y., Chun, S.H., Son, I.C., Kim, D.I.: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Several Phenolic Compounds and Fruit Quality of Grape Cultivars. Kor. J. Plant Res., 27, 119-124 (2014). 

  21.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2002). 

  22. Hsu, C.L., Yen, G.C.: Effect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on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J. Agric. Food Chem., 55, 8404-8410 (2007). 

  23. Suh, J.T., Choi, E.Y., Yoo, D.L., Kim, K.D., Lee, J.N., Hong, S.Y., Kim, S.J., Nam, J.H., Han, H.M., Kim, M.J.: Comparative Study of Biological Activities at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New Varieties for Highland Culture of Gom-chwi. Kor. J. Plant Res., 28, 391-399 (2015). 

  24. Bondet, V., Brand-Williams, W., Berset, C.: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WT-Food Sci. Technol., 30, 609-615 (1997). 

  25. Villaon,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a-Parrilla, M.C.: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nlanta., 71, 230-235 (2007). 

  26. Nabasreem, D., Bratati, 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leafy vegetables of India: A comparative study. Food Chem., 101, 471-474 (2007). 

  27. Prior, R.L., Cao, G., Martin, A., Sofic, E., McEwen, J., O'Brien, C., Mainland, C.M.: Antioxidant Capacity As Influenced by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 Maturity, and Variety of Vaccinium Species. J. Agric. Food Chem., 46, 2686-2693 (1998). 

  28. Lee, Y.J., Lee, J.H., Kim, Y.H., Kim, J.H., Yu, S.Y., Kim, D.B., Lee, J.S., Cho, M.L., Cho, J.H., Kim, B.K., Lee, B.Y., Lee, O.H.: Assessment of the Pectolinarin Content and the Radical Scavenging-linked Antiobesity Activity of Cirsium setidens Nakai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24, 2235-2243 (2015). 

  29. Sampson, N., Koziel, R., Zenzmaier, C., Bubendorf, L., Plas, E., Jansen-Drr P., Berger, P.: ROS signaling by NOX4 drives fibroblast-to-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diseased prostatic stroma. Mol Endocrinol., 25, 503-515 (2011). 

  30. Basuroy, S., Tcheranova, D., Bhattacharya, S., Leffler, C.W., Parfenova, H.: Nox4 NADPH oxidase-derived reactive oxygen species, via endogenous carbon monoxide, promote survival of brain endothelial cells during TNF- ${\alpha}$ -induced apopto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300, 256-26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