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pous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2, 2017년, pp.145 - 153  

양소라 (부산대학교병원) ,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degrees of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pous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nd investigat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Methods: Research design was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survey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이 인지하는 난임의 상징적 의미와 관련된 변인 즉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배우자 지지를 파악하고, 이들이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명하여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에 실패한 고통의 정도는 지지 체계와 역할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한편, 스트레스 이론에 의하면 임신에 실패한 고통의 정도는 지지체계와 역할에 따라 달라진다는 고통과 지지체계, 역할 간의 상관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17]. 즉 난임 여성 주변의 지지 체계와 다수의 역할 즉 엄마로서, 직장인으로서, 아내로서의 역할 등은 난임으로 인한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역할이 제한적일 경우 지지체계가 고통에 미치는 영향은 커진다. 따라서 난임 여성의 경우 엄마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배우자의 협조와 지지가 부족하다면 그들의 고통은 배로 증가되어[17] 난임 여성의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난임이란 무엇인가 난임은 정상적인 임신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1년 동안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사회적 스트레스나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결혼연령 지연의 이유로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청[1]에 따르면 난임 진단 여성 수는 2004년에서 2014년까지 해마다 5%씩 증가 되어 16만 명으로 결혼 부부의 10쌍 중 1~2쌍에 해당된다.
난임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난임 여성의 삶의 질에 관심을 둔 것은 2000년 중반으로,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의 근거자료가 충분치 않다. 지금까지 몇 편 안 되는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우울[5,6], 스트레스[6], 결혼·부부 적응[6], 가족 지지[6] 등이었으며, 이들 요인 모두를 포함하여 삶의 질 모형을 검증한 연구[6]에서 삶의 질을 51%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은 난임 자체가 부정적인 영향요인이므로[7] 난임에 대해 가지는 개인적인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Classified disease compensation and health care costs: 2004-2014 [Internet]. Daejeon: Author; 2015 [cited 2016 March 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1311&conn_pathI2. 

  2. Jeong KI. A study on hermeneutic grounded theory of women who experience infertility suffering and relief from pa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4;45(4):5-35. 

  3. Boivin J, Takefman J, Braverman A.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to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Fertility and Sterility. 2011;96(2):409-415. 

  4. Valsangkar S, Bodhare T, Bele S, Sai S. A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infertility on marital, sexual satisfaction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J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2011;4(2):80-85. 

  5. Chachamovich JR, Chachamovich E, Ezer H, Fleck MP, Knauth DR, Passos EP. Agreement on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in couples dealing with infertilit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0;39(5):557-565. 

  6. Kim JH, Shin HS.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12-320. 

  7. McQuillan J, Torres Stone RA, Greil AL. Infert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women. Journal of Family Issues. 2007;28(7):955-981. 

  8. Burton RPD. Global integrative meaning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ol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8;39:201-215. 

  9. Matthews R, Matthews AM. Infertility and involuntary childlessness: The transition to non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986;48(3):641-649. 

  10. Fekkes M, Buitendijk SE, Verrips GH, Braat DD, Brewaeys AM, Dolfing JG,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lation to gender and age in couples planning IVF treatment. Human Reproduction. 2003;18(7):1536-1543. 

  11. Lee HY, Si MH. Relationships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1;23(3):400-409. 

  12. White L, McQuillan J, Greil AL, Johnson DR. Infertility: Testing a help seeking model. Social Science & Medicine. 2006;62(4):1031-1041. 

  13. Engelhard IM, van den Hout MA, Arntz 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pregnancy los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1;23(2):62-66. 

  14. Engelhard IM. Miscarriage as a traumatic event.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47(3):547-551. 

  15. Schwerdtfeger KL, Shreffler KM. Trauma of pregnancy loss and infertility for mothers and involuntarily childless women in the contemporary United States. Journal of Loss and Trauma. 2009;14(3):211-227. 

  16. Burke PJ. Identity processes and social str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91;56(6):836-849. 

  17. McQuillan J, Greil AL, White L, Jacob MC. Frustrated fertility: Infertili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wom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03;65(4):1007-1018. 

  18. Lee JH. An analytical study on psychosocial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being in infertility treatment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3. 124 p. 

  19. Foa EB, Cashman L, Jaycox L, Perry K.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1997;9(4):445-451. 

  20. Nam BR, Kwon HI, Kwon JH.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diagnosis scale (PDS-K).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0;29(1):147-167. 

  21. Choi ES. The effects of pre and post operative education with both wives and husbands on the women's adaptation undergoing a hysterectomy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1992. 86 p. 

  22. Kim SN. A structural model for quality of life in women having hysterectom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1):161-173. 

  23. Aarts JWH, van Empel IWH, Boivin J, Nelen WL, Kremer JAM, Verhaak CM.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istress in infertility: A validation study of the Dutch FertiQoL. Human Reproduction. 2011;26(5):1112-1118. 

  24. Fardiazar Z, Amanati L, Azami S. Irrational parenthood cognitio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fertile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Medicine. 2012;5:591-596. 

  25. Kim JM. A study on the double faces of sexual lives in Isla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the Middle East Studies. 2004;23(2):217-244. 

  26. Engelhard IM, van den Hout MA, Vlaeyen JW. The sense of coherence in early pregnancy and crisis support and posttraumatic stress after pregnancy loss: A prospective study. Behavioral Medicine. 2003;29(2):80-84. 

  27. Yu Y, Peng L, Chen L, Long L, He W, Li M, et 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women with infertility: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coping. Psychiatry Research. 2014;215(2):401-405. 

  28. Ha BY, Jung EJ, Choi SY. Effects of resilien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83-91. 

  29. Kang EY. A review o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infertile women.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2014;12: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