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지역 연무 발생일의 미세먼지 중 금속과 이온 성분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 in Fine Particle during Haze Days in Busa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6, 2017년, pp.767 - 778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elements in $PM_{10}$ and $PM_{2.5}$ on haze day and non-haze day in Busan. $PM_{10}$ concentration on haze day and non-haze day were 85.75 and $33.52{\mu}g/m^3$, respectively,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부산에서 연무 발생일에 대한 미세먼지 중 금속 성분과 이온성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연무 발생일에 대해 PM10과 PM2.5 중의 금속원소와 수용성 이온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연무 발생일과 비발생일 사이의 화학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무의 원인은? 연무는 시정이 1km 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5% 이하일 때 대기 중에 연기, 먼지 등 미세하고 건조한 고체입자가 떠 있어서 대기의 색이 우윳빛으로 흐려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KMA, 2013). 연무 현상은 화산 분출물이나 바람에 날린 먼지, 황사 등 자연의 먼지가 공기 중에 섞여 발생하지만, 도시나 공업 지대와 같은 오염 지역에서는 공장과 주택으로부터의 연기,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 인간활동에 의한 인공적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한다(Gao et al., 2015).
연무란? 연무는 시정이 1km 이상이고 상대습도가 75% 이하일 때 대기 중에 연기, 먼지 등 미세하고 건조한 고체입자가 떠 있어서 대기의 색이 우윳빛으로 흐려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KMA, 2013). 연무 현상은 화산 분출물이나 바람에 날린 먼지, 황사 등 자연의 먼지가 공기 중에 섞여 발생하지만, 도시나 공업 지대와 같은 오염 지역에서는 공장과 주택으로부터의 연기,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 인간활동에 의한 인공적 오염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한다(Gao et al.
PM10 과 PM2.5 시료의 질량농도 측정 과정은? PM10 과 PM2.5 의 질량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여과지를 항온(20 ), 항습(50%) 조건하에서 건조장치(automatic dry/up desiccator, SIBATA DUV-12)에 최소 2일간 건조하고, 감도가 0.001 인 전자저울(XP26V, Mettler Toledo Co. Switzerland)로 먼지시료 채취 전 후의 무게를 측량한 후의 중량차 로서 PM10 과 PM2.5 의 질량농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PM10 과 PM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imoto, R., Duce, R. A., Savoie, D. L., Prospero, J. M., Talbot, R., Cullen, J. D., Tomza, U., Lewis, N. F., Ray, B. J., 1996, Relationships among aerosol constituents from Asia and the North Pacific during Pem-West A, Geophy. Res., 101, 2011-2023. 

  2. Colbeck, I., Harrison, R. M., 1984, Ozone-secondary aerosol visibility relationships in North-West England, Sci. Total Environ., 34, 87-100. 

  3. Du, H. H., Kong, L. D., Cheng, T. T., Chen, J. M., Du, J. F., Li, L., Xia, X., Leng, C., Huang, G., 2011, Insights into summertime haze pollution events over Shanghai based on online water-soluble ionic composition of aerosols, Atmos. Environ., 45, 5131-5137. 

  4. Eldering, A., Solomon, P. A., Salmon, L. G., Fall, T., Cass, G. R., 1991, Hydrochloric acid: A Regional perspective on concentrations and formation in the atmosphere of southern California, Atmos. Environ., 25, 2091-2102. 

  5. Gao, J. J., Tian, H. Z., Cheng, K., Lu, L., Zheng, M., Wang, S. X., Hao, J. M., Wang, K., Hua, S. B., Zhu, C. Y., Wang, Y., 2015, The vari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PM_{10}$ and formation causes during two haze pollution events in urban Beijing, China, Atmos. Environ., 107, 1-8. 

  6. Hegg, D. A., Covert, D. S., Jonsson, H. H., Woods, R. H., 2012, A Simple relationship between cloud drop number concentration and precursor aerosol concentration for the regions of Earth's large marine stratocumulus decks, Atmos. Chem. Phys., 12, 1229-1238. 

  7. Holland, H. D., 1978, The chemistry of the atmosphere and ocean, John Wiley, Hoboken, New Jersey, USA, 321-325. 

  8. Jeon, B. I., Hwang, Y. S., 2014,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 in $PM_{10}$ and $PM_{2.5}$ in Busan, Environ. Sci. Inter., 23, 819-827. 

  9. Jeon, B. I., Hwang, Y. S., Oh, K. J., 2010,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ic concentration in $PM_{10}$ at inland and seashore in Busan, Environ. Imp. Assess., 19, 323-333. 

  10. Kaneyasu, N., Ohta, S., Murao, N., 1995, Season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and gaseous species in Sapporo, Japan Atmos. Environ., 29, 1559-1568. 

  11. Kang, C. M., Lee, H. S., Kang, B. W., Lee, S. K., Sunwoo, Y., 2004,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ic gas pollutants and $PM_{2.5}$ species during hazy episodes in Seoul, South Korea, Atmos. Environ., 38, 4749-4760. 

  12. KMA, 2013, The weather encyclopedia. 

  13. Lee, H. Y., Kim, S. B., Kim, S. M., Song, S. J., Chun, Y. S., 2011, The aerosol characteristics in coexistence of Asian dust and haze during 15-17 March, 2009 in Seoul, Kor. Soc. Atmos. Environ., 27, 168-180. 

  14. Lim, H. J., Lee, T. J., Kim, D. S., 2015, Study on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M_{2.5}$ based on long-term database(1990 2012) and development of chemical species profiles during haze days and Asian dust days in Yongin-Suwon area, Kor. Soc. Atmos. Environ., 31, 223-238. 

  15. Lim, J. Y., Chun, Y. S., Cho, K. M., Lee, S. S., Shin, H. J., 2004, The meteor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 during haze event in May 2003, Kor. Soc. Atmos. Environ., 20, 697-711. 

  16. Millero, F. J., Sohn, M. L., 1992, Chemical oceanography, CRC Press, Boca Raton FL, 112-115. 

  17. Okada, K., Ikegami, M., Zaizen, Y., Makino, Y., Jensen, J. B., Gras, J. L., 2001, The mixture state of individual aerosol particles in the 1997 Indonesian haze episode, Aerosol Sci., 32, 1269-1279. 

  18. Schichtel, B. A., Husar, R. B., Falke, S. R., Wilson, W. E., 2001, Haze trends over the United States, 1980-1995, Atmos. Environ., 35, 5205-5210. 

  19. Senaratne, I., Shooter, D., 2004, Elemental composition in source identification of brown haze in Auckland, New Zealand, Atmos. Environ., 38, 3049-3059. 

  20. Song, J. M., Bu, J. O., Yang, S. H., Lee, J. Y., Kim, W. H., Kang, C. H., 2016, Influences of Asian dust, haze, and mist events on chemical composi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s at Gosan site, Jeju island in 2014, Kor. Soc. Atmos. Environ., 32, 67-81. 

  21. Song, S. J., Kim, J. E., Lim, E. H., Cha, J. W., Kim, J., 2015, Physica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n Asian dust and haze episodes observed at Seoul in 2010, Kor. Soc. Atmos. Environ., 31, 131-142. 

  22. Sun, Y. L., Wang, Z. F., Fu, Q. P., Yang, T., Dong, H. B., Li, T., Jia, J. J., 2013, Aerosol composition, sources and processes during wintertime in Beijing, China. Atmos. Chem. Phys., 13, 4577-4592. 

  23. Sun, Y. L., Zhuang, G. S., Tang, A. H., Wang, Y., An, Z. S., 2006,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and $PM_{10}$ in haze-fog episodes in Beijing, Environ. Sci. Technol., 40, 3148-3155. 

  24. Tan, J. H., Duan, J. C., Chen, D. H., Wang, X. H., Guo, S. J., Bi, X. H., Sheng, G. Y., He, K. B., Fu, J. M., 2009a, 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ze during summer and winter in Guangzhou, Atmos. Res., 94, 238-245. 

  25. Tan, J. H., Duan, J. C., He, K. B., Ma, Y. L., Duan, F. K., Chen, Y. A., Fu, J. M., 2009b,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during a typical haze episode in Guangzhou, Enviro. Sci., 21, 774-781. 

  26. Tian, S. L., Pan, Y. P., Liu, Z. R., Wen, T. X., Wang, Y. S., 2014, Size-resolved aerosol chemical analysis of extreme haze pollution events during early 2013 in urban Beijing, China, Hazard Mater., 279, 452-460. 

  27. Truex, T. J., Pierson, W. R., McKee, D. E., 1980, Sulfate in diesel exhaust, Environ. Sci. Tech. Lett., 14, 1118-1121. 

  28. Wang, Y., Zhuang, G., Sun, Y., Zheng, A., 2006, The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s of aerosols in dust, haze, and clear days in Beijing, Atmos. Environ., 40, 6579-6591. 

  29. Wang et al., 2005, The ion chemistry and the source of $PM_{2.5}$ aerosol in Beijing, Atmos. Environ., 39, 3771-3784. 

  30. Watson, J. G., 2002, Visibility: Science and regulation, Air Waste Manag. Assoc., 52, 628-713. 

  31. Yao, X., Chan, C. K., Fang, M., Cadle, T. C., Mulawa, P., He, K., Ye, B., 2002, The water-soluble ionic composition of $PM_{2.5}$ in Shanghai and Beijing, China, Atmos. Environ., 36, 4223-4234. 

  32. Zhang, T., Cao, J. J., Tie, X. X., Shen, Z. X., Liu, S. X., Ding, H., Han, Y. M., Wang, G. H., Ho, K. F., Qiang, J., Li, W. T., 2011, Water-soluble ions in atmospheric aerosols measured in Xi'an, China: Seasonal variations and sources, Atmos. Res., 102, 110-119. 

  33. Zhang, Y., Huang, W., Cai, T., Fang, D., Wang, Y., Song, J., Hu, M., Zhang, Y., 2016, Concentra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fine particles ( $PM_{2.5}$ ) during haze and non-haze days in Beijing, Atmos. Res., 174-175, 62-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