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그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는 풍선덩굴 건조 잎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수율은 16.4, 0.9 및 0.3%로 나타났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92.5{\mu}g/mL$)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대조군인 (+)-${\alpha}$-tocopherol의 $FSC_5$$8.9{\mu}g/mL$이었다. $Fe^{3+}-EDTA/H_2O_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_{50}$)은 아글리콘 분획($4.2{\mu}g/m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L-ascorbic acid ($1.5{\mu}g/mL$)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O_2$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측정에서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은 모두 농도 의존적($5.0-25.0{\mu}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냈다. 추출물/분획물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tau}_{50}$, 76.4 min)이 가장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를 이용하여 풍선덩굴 잎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pigenin-7-O-glucuronide, apigenin-7-glucosdie 및 quercitrin hydrate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풍선덩굴 잎 추출물 또는 분획이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effect and component analysis for extract and fractions of Cardiospermum halicacabum leaf were investigat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dried C. halicacabum leaf. The yields of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에 대하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고, 피부노화의 큰 원인인 활성산소에 따른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작용, 총 항산화능 및 free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풍선덩굴 잎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조사하고 이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자유 라디칼의 이러한 큰 반응성은 피부뿐만 아니라 생체 구성 성분들에도 손상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풍선덩굴 잎 추출물 및 분획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인 DPPH에 대한 시료의 전자 주개 능력을 통한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자유 라디칼이 50% 소거되는 농도인 FSC50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2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인적 노화는 무엇인가? 피부 노화는 일반적으로 내인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적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1]. 내인적 노화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적인 노화이며, 외인적 노화는 자외선[2], 흡연[3] 및 환경요소 등의 원인으로 나타나는 노화이다. 그중에서 피부노화의 가장 큰 원인은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이다[4].
피부의 구성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의 전신을 둘러싸고 있다. 피부는 자외선이나 미생물과 같이 해로운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항산화 방어망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항하는가? 이러한 ROS로 부터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해 피부에는 항산화 방어망이 구축되어 있다.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효소적 항산화제와 함께 flavonoids, vitamin E, vitamin C, glutathione 등과 같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이 서로 상호보완하며 피부에 항산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들은 지질과산화 반응에 대하여 화학적 소거 및 물리적 소광을 통해 singlet oxygen을 감소시키며 ∙OH을 소거함으로써 자동산화반응으로 이어지는 개시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일부의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항산화제들은 Fenton 반응을 촉매하는 Fe2+, Cu+ 의 전이금속과 결합함으로써 라디칼을 생성시키는 반응을 억제시키기 도 한다. 특히 과잉의 ROS는 체내에 존재할 때 효소적 항산화계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비효소적 항산화제의 고갈도 쉽게 일으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 (2015). 

  2.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J. Ma,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63(1-3), 41 (2001). 

  3. D. Bernhard, C. Moser, A. Backovic, and G. Wick, Cigarette smoke - an aging accelerator, Exp. Gerontol., 42(3), 160 (2007). 

  4. B. A. Gilchrest, Skin aging and photoaging -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1(3), 610 (1989). 

  5. A. Perez-Sanchez, E. Barrajon-Catalan, M. Herranz-Lopez, J. Castillo, and V. Micol, Lemon balm extract (Melissa officinalis L.) promotes melanogenesis and prevents UVB-induced oxidative stress and DNA damage in a skin cell model, J. Dermatol. Sci., 84(2), 169 (2016). 

  6. A. Svobodova, J. Psotova, and D. Walterova, Natural phenolics in the prevention of UV-induced skin damage. A review, Biomed. papers., 147(2) 137 (2003). 

  7. J. Pincemail and J. Defraigne, Potentiel therapeutique du coenzyme Q10, J. Cardiolannee., 20(1), 57 (2008). 

  8. G. W. Burton, Antioxidant action of carotenoids, Amer. Inst. Nutr., 119(1), 109 (1989). 

  9. K. Hail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1999). 

  10. C. D. Putnam, A. S. Arvai, Y. Bourne, and J. A. Tainer, Active and inhibited human catalase structures: ligand and NADPH binding and catalytic mechanism, J. Mol. Biol., 296, 295 (2000). 

  11. C. A. Rice-Evans, N. J. Miller, and G. Paganga,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7), 933 (1996). 

  12. R. Yamauchi, Vitamin E: mechanism of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Technol. Int., 3(4), 301 (1997). 

  13. A. T. Diplock, Antioxidants and free radical scavengers, New Compr. Biochem., 28, 113 (1994). 

  14.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 Korea, 23(1), 75 (1997). 

  15. R. Jeyadevi, T. Sivasudha, A. Rameshkumar, and L. Dinesh Kumar, Anti-arthritic activity of the Indian leafy vegetable Cardiospermum halicacabum in Wistar rats and UPLC-QTOF-MS/MS identification of the putative active phenolic components, Inflamma. Res., 62(1), 115 (2013). 

  16. C. Hui-Ling, Z. Li-Jie, L. Yu-Han, H. Ya-Wen, L. I-Jung, L. Chia-Ching, H. Syh-Yuan, and K. Yao-Hau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flavonoids and phenols from Cardiospermum halicacabum, J. tradit. complement. med., 3(1), 33 (2013). 

  17. R. Jeyadevi, T. Sivasudha, A. Ilavarasi, and N. Thajuddin,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indian green leafy vegetable Cardiospermum halicacabum, Indian J. Microbiol., 53(2), 208 (2013). 

  18. M. Viji and S. Murugesan,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Cardiospermum Halicacabum Linn, J. Phytol., 2(1), 68 (2010). 

  19. A. Plazonic, F. Bucar, Z. Males, A. Mornar, B. Nigovic, and N. Kujundzic,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burr parsley (Caucalis platycarpos 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es., 14(7), 2466 (2009). 

  20. M. Huanga, S. Huangb, B. Wangc, C. Wud, M. Sheud, W. Houe, S. Linb, and G. Huangb,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ardiospermum halicacabum and its reference compounds ex vivo and in vivo, J. Ethnopharmacology., 133(2), 743 (2011). 

  21. F. L. Silva, P. R. H. Moreno, R. B. Filho, J. F. Tavares, and J. M. B. Filho, Chemical constituents of Cardiospermum corindum L. and their distribution in Sapindaceae, Biochem. Syst. Ecol., 57, 137 (2014). 

  22. L. Puigventos, M. Navarro, E. Alechaga, O. Nunez, J. Saurina, S. Hernandez-Cassou, and L. Puignou, Determination of polyphenolic profiles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tandem mass spectrometry for the authentication of fruit extracts, Anal. Bioanal. Chem., 407(2), 597 (2015). 

  23. R. Avallone, P. Zanoli, G. Puia, M. Kleinschnitz, P. Schreier, and M. Baraldi, Pharmacological profile of apigenin, a flavonoid isolated from Matricaria chamomilla, Biochem. Pharmacol., 59(11), 138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