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적 관찰을 통한 한국 농촌 노인의 수면 장애 예측
Prediction of Sleep Disturbances in Korean Rural Elderly through Longitudinal Follow Up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4 no.1, 2017년, pp.38 - 45  

박경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김우정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은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안석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남궁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염유식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  김현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불면 증상을 나타내는 수면 장애는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매우 급격히 증가중인 질환이다. 3년간 추적 관찰한 우리나라 농촌의 60세 이상 노인 코호트를 대상으로 수면 장애의 유병률과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2012년과 2014년의 조사를 통해 두 번 데이터를 얻었다. 뇌졸중, 심근경색증, 협심증, 관절염, 폐결핵, 천식, 백내장, 녹내장, B형 간염, 요실금, 전립선 비대, 암,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에 대한 진단 여부를 물었다.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평가하였고 역학연구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증상을 평가하였다. 2015년에는 이 중 235명에게 DSM-IV의 제1축 장애의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을 시행하였고 피츠버그 수면 질 척도로 불면증의 정도, 즉 수면 장애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시행하였다. 수면장애를 예측하기 위하여 성별, 나이, 교육, 첫 번째와 세 번째 주기의 우울 점수, 공존 질환의 개수, 그리고 현재의 분노 억제 점수와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설명 변인으로 삼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의 27%가 수면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회귀 분석 결과, 3년 전의 공존 질환 수, 1년 전의 우울 점수 및 현재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수면 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 론 : 3년 전 측정한 공존 질환과 1년 전 평가한 우울증상이 현재의 수면 장애를 예측할 수 있었다. 공존 질환 및 우울 증상의 치료가 수면 장애를 호전시킬 수 있는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leep disturbance is a very rapidly growing disease with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s and its predictive factors in a three-year cohort study of people aged 60 years and over in Korea. Methods: In 2012 and 2014, we obtained d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당시에는 ‘잠들기가 어려우십니까’와 ‘자다가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우십니까’라는 두 가지 질문으로 수면 장애를 정의하고 횡단적 연구를 통해 수면 장애와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3 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와 구체적인 수면 장애 평가 자료로 노인들의 수면 장애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 KSHAP 연구의 첫 번째 조사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 사이에 일대일 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매년 같은 시기에 사회적 연결망, 신체적 건강, 우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면담은 연구 대상의 집 혹은 보건소나 마을 회관에 마련된 독립된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 장애 관련 진료가 늘어나는 이유 중 하나는? 3배, 진료일수는 23배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면 장애 관련 진료가 늘어나고 있는 데에는 급속한 고령화도 한 몫을 하였다(Cho 2016). 노인이 되면 평균 수면시간이 감소하고 불충분한 수면이 흔해지고 불면증의 유병률과 심각도도 증가한다(Weyerer과 Dilling 1991).
수면 장애와 관련된 노인의 증상은? 우리나라의 수면 장애 관련 진료가 늘어나고 있는 데에는 급속한 고령화도 한 몫을 하였다(Cho 2016). 노인이 되면 평균 수면시간이 감소하고 불충분한 수면이 흔해지고 불면증의 유병률과 심각도도 증가한다(Weyerer과 Dilling 1991). 수면 장애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노인 수면 문제에 대해서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고령화 증가 속도의 상황은 어떠한가? 우리 나라의 고령화 증가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소속 다른 나라들의 평균 보다 네 배나 빠르다(Choi 2016). 고령화 현상은 평균 기대수명의 연장으로도 이어져 1960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이 52세였던 것에 비해 2014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82세까지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자고나도 피곤한 수면장애 최근 5년간 연평균 12% 증가;2013. 

  2. 조영태. 정해진 미래: 인구학이 말하는 10년 후 한국 그리고 생존전략. 서울, 북스톤;2016. 

  3. Baek YM.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10: Development of the scale and exploring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mem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2010. 

  4. Beck SL, Schwartz AL, Towsley G, Dudley W, Barsevick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4;27:140-148. 

  5.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6. Carpenter JS, Andrykowski M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 Psychosom Res 1998;45:5-13. 

  7. Carroll JE, Seeman TE, Olmstead R, Melendez G, Sadakane R, Bootzin R, et al. Improved sleep quality in older adults with insomnia reduces biomarkers of disease risk: pilot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ative efficacy trial. Psychoneuroendocrinology 2015;55:184-192. 

  8.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81-399. 

  9. Cho YW, Shin WC, Yun CH, Hong SB, Kim J, Earley CJ.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J Clin Neurol 2009;5:20-23. 

  10. Choi Y. Longevity Risk in Korea. Sejo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6. 

  11. Chon KK, Kim DY, Yi JS. Development of the STAXI-K: IV.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0;7:33-50. 

  12.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Health Soc Behav 1983;24:385-396. 

  13. Foley DJ, Monjan A, Simonsick EM, Wallace RB, Blazer DG. Incidence and remission of insomnia among elderly adults: an epidemiologic study of 6,800 persons over three years. Sleep 1999; 22 Suppl 2:S366-372. 

  14. Grandner MA, Kripke DF, Yoon IY, Youngstedt SD. Criterion validity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vestigation in a nonclinical sample. Sleep Biol Rhythms 2006;4:129-136. 

  15. Han JW, Kim TH, Jhoo JH, Park JH, Kim JL, Ryu SH, et al.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and Its Short form(SMMSE-DS) in the Korean Elderly.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2010;14:27-37. 

  16. Irwin MR, Olmstead R, Breen EC, Witarama T, Carrillo C, Sadeghi N, et 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tai chi reverse cellular and genomic markers of inflammation in late-life insomn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iol Psychiatry 2015;78:721-729. 

  17. Kamel NS, Gammack JK.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6;119: 463-469. 

  18. Kang WY, Na DL, Hahn SH.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997;15:300-308. 

  19. Kim JM, Stewart R, Kim SW, Yang SJ, Shin IS, Yoon JS. Insomnia, depression, and physical disorders in late life: a 2-year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in Koreans. Sleep 2009;32:1221-1228. 

  20. Kim KW, Kang SH, Yoon IY, Lee SD, Ju G, Han JW, et al.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and its subtypes in the Korean elderly. Arch Gerontol Geriatr 2017;68:68-75. 

  21. Kim TH, Carroll JE, An SK, Seeman TE, Namkoong K, Lee E. Associations between actigraphy-assessed sleep, inflammatory markers,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life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MIDUS) study. Sleep Med 2016;27:72-79. 

  22. Kim WH, Kim BS, Kim SK, Chang SM, Lee DW, Cho MJ, et al.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in a community sample of elderly individual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3;25:1729-1737. 

  23. Kim WJ, Joo WT, Baek J, Sohn SY, Namkoong K, Youm Y,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insomnia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Psychiatry Investigation 2017;14:in press. 

  24. Kripke DF, Garfinkel L, Wingard DL, Klauber MR, Marler MR. Mortality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nd insomn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02;59:131-136. 

  25. Lee E, Cho H, Olmstead R, Levin M, Oxman M, Irwin M. Persistent sleep disturbance: a risk factor for persistent or recurrent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leep 2013;36: 1685-1691. 

  26. Lee JH, Lee KU, Lee DY, Kim KW, Jhoo JH, Kim JH,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2;57:47-53. 

  27. Michael BF, Robert LS, Given MW, Janet BW.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TR Axis I Disorders, Research Version, Nonpatient Edition: Biometric Research: New York Psychiatric Institute; 2002. 

  28. Ohayon MM, Caulet M, Lemoine P. Comorbidity of mental and insomnia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Compr Psychiatry 1998;39:185-197. 

  29. Ohayon MM, Hong S-C.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in South Korea. J Psychosom Res 2002;53:593-600. 

  30. Paik YN, Song MS. Sleep disturbing factors and the relative significance in sleep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0;2:35-47. 

  31. Spielberger C.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1985. 

  32. Spielman AJ CL, Glovinsky PB. A behavioral perspective on insomnia treatment. Psychiatr Clin North Am 1987;10:541-553. 

  33. Taylor DJ, Lichstein KL, Durrence HH, Reidel BW, Bush AJ. Epidemiology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Sleep 2005;28:1457-1464. 

  34. Taylor DJ, Mallory LJ, Lichstein KL, Durrence HH, Riedel BW, Bush AJ. Comorbidity of chronic insomnia with medical problems. Sleep 2007;30:213-218. 

  35. Tung-Ping Su S-RH, Pesus Chou.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insomnia in community-dwelling Chinese elderly: a Taiwanese urban area survey. Aust N Z J Psychiatry 2004;38:706-713. 

  36. Weyerer S, Dilling H. Prevalence and treatment of insomnia in the community: results from the Upper Bavarian Field Study. Sleep 1991;14:392-398. 

  37. Weyerer S, Dilling H. Prevalence and treatment of insomnia in the community: results from the Upper Bavarian Field Study. Sleep 1991;14:392-398. 

  38. Yao KW, Yu S, Cheng SP, Chen IJ.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depression and social network factors and sleep qua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8; 16:131-139. 

  39. Youm Y, Laumann EO, Ferraro KF, Waite LJ, Kim HC, Park YR, et al. Social network properties and self-rated health in later life: comparisons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and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BMC Geriatr 2014;14: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