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Fields of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2, 2017년, pp.86 - 108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  오영주 (미래환경생태연구소) ,  박중수 (경기도농업기술원) ,  홍선희 (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최준근 (강원도농업기술원) ,  허수정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은정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채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박기웅 (충남대학교) ,  조승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권오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임일빈 (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성덕경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정영재 (신경대학교) ,  김창석 (국립식량과학원)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  서현아 (국립농업과학원) ,  장형목 (무주군농업기술센터) ,  김진원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부터 3년동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도 농업기술원, 농과대학, 연구기관 등 11개 기관이 전국 규모로 논, 밭, 과원 그리고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81과 619종이다. 이들 잡초는 논에는 28과 90종, 밭에는 50과 375종, 과수원에는 63과 492종, 목초지에는 52과 275종이다. 이들 잡초를 과별로 분류하면, 국화과 96종(15.5%), 화본과 81종(13.1%), 마디풀과 39종(6.3%), 두과 34종(5.5%), 사초과 32종(5.2%), 십자화과 27종(4.3%), 꿀풀과 24종(3.9%), 장미과 21종(3.4%), 현삼과 19종(3.1%), 메꽃과 15종(2.4%)으로 상위 10과가 388종으로 전체의 62.7%를 점유하고 있다. 또 계절별에 구분하면, 동계잡초는 65과 477종, 하계잡초는 72과 526종이다. 주요 우점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 흰명아주, 돌피 순이었다.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다년생잡초가 308종으로 전체의 49.8%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일년생잡초가 209종(33.8%), 그리고 동계 일년생잡초가 102종(16.4%)이었다. 외래잡초는 28과 166종으로 흰명주, 망초, 개비름, 미국가막사리, 토끼풀 등이 우점하였다. 2000~2004년 농경지 잡초조사에서는 68과 433종으로 10여년만에 13과 186종이 증가하였다. 이는 잡초방제법 변화에 따른 제초제 저항성잡초 증가와 같은 발생잡초 변동과 조사방법 차이 등의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wide weed survey was conducted in arable land, paddy field, upland, orchard and pasture, over whole country of Korea during 3 years from 2013 to 2015. Also, these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a change of weed community and to identify a major dominant weed species, and pro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경지 잡초분포조사는 현재의 잡초발생상황을 파악하고 지난 조사와 비교함으로써 잡초군락변동을 확인하여 향후 효율적인 잡초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유효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난 3년동안 각 농경지별로 조사한 잡초발생 상황을 종합하여 잡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보고하고자 한다.
  • 연구논문에서 잡초명을 단축하여 표기하는 방식이 저자마다 달라(Won et al., 2015; Lee et al., 2016b) 혼선을 주고 있어 Lee et al. (2007)이주장한바와같이 Weed Science(WysePeater et al., 2002)와 Weed Technology (Wilson et al., 2002)에서 사용하고 있는 Bayer code를 준용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KWSS code(가칭)를 부여하고자 한다. 미국과 공통으로 발생하는 잡초는 그냥 Bayer code를 도입하고 우리나라에만 발생하는 잡초는 Bayer code를 만든 것과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란? 일반적으로 농경지라고 하면 토양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는 논, 밭, 과수원, 목초지를 말한다. 그래서 잡초조사는 농경지가 그 대상이 된다.
잡초조사는 각각 몇 개의 지점에서 실시되었는가? 이 때 조사필지는 각각의 농경지에 방제가 소홀하였거나 제초제를 살포하지 않은 논, 밭, 과수원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잡초조사는 논은 3,434지점, 밭은 6,219지점, 과수원은 3,169지점 그리고 목초지는 92지점으로 총 12,914지점에서 실시되었다.
논에 발생한 잡초군락의 시대에 따른 변화는? 우리나라 논에 발생한 잡초는 1971년부터 10년 주기로 1981년, 1991년, 2000년 그리고 2013년에 조사하였다(Oh etal., 1981; Kim 1983; Park et al., 1995; Park et al., 2001; Park et al., 2002; Ha et al., 2014). 2013년 조사는 전국을 10개 지역(제주 제외)으로 구분하여 기계이앙 논을 비롯하여 담수직파, 친환경 재배논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한 결과, 논에 발생하는 잡초는 28과 90종으로 확인되었다(Ha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ge der vegetationskunde. Zweite, umgearbeitete und vermehrte Auflage. Springer-Verlag: Wien. p. 865.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3. Chun, J.C., Lee, S.J., Lim, S.J. and Kim, S.E. 2000. Change in weed population in pear orchard by sequential applications of nonselective herbicides. Kor. J. Weed Sci. 20(1):39-45. (In Korean) 

  4.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5. Guh, J.O., Cho, Y.W. and Lee Y.M. 1986. Weed emergence in orchard and comparison of weeding performance of some orchard-herbicides (single and mixture products). Kor. J. Weed Sci. 6(1):85-96. (In Korean) 

  6. Jung, J.S., Lee, J.S. and Choi, C.D. 1997.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 in Korea. Kor. J. Weed Sci. 17(2):147-156. (In Korean) 

  7. Ha, H.Y., Hwang, K.S., Suh, S.J., Lee, I.Y., et al. 2014.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Weed Turf. Sci. 3(2):71-77. (In Korean) 

  8. Kim, B.H., Kang, D.J., Park, T.J. and Kang, C.J. 1969. A vegetation survey of the native grassland around Mt. Ziri. Kor. J. Ani. Sci. 11(2):250-253. (In Korean) 

  9. Kim, C.S., Lee, I.Y., Oh, Y.J., Oh, S.M., Kim, S.C., et al. 2010. Occurrence of exotic weeds in several islands in Korea. Kor. J. Weed Sci. 30(2):59-67. (In Korean) 

  10. Kim, K.U., Kim, S.H., Kim, C.G., Kim, J.H. and Shin, D.H. 1988. Weed flora of range area in Cheju island in Korea. Kor. J. Weed Sci. 8(3):291-298. (In Korean) 

  11. Kim, S.C. 1983. Status of paddy field weed flora and community dynamics in Korea. Kor. J. Weed Sci. 3(2):223-245. (In Korean) 

  12. Kim, Y.J., Yook, W.B., Choi, S.S., Park, G.J. and Hwang, S.J. 1994. Ecological studies on weeds in cultivated pasture. 1. Regional weed population on cultivated pasture. RDA J. Agri. Sci. 36(1):537-544. (In Korean) 

  13.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www.nature.go.kr).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4. Kwon, Y.U. 1971. Studies of using herbicide and weed control for cultivating of grasses in Korea. Kor. J. Crop Sci. 9(1):61-74. (In Korean) 

  15. Lee, C.Y. and An, H.S. 1963. Nomina Plantanum Korearum. Beomhaksa. (In Korean) 

  16. Lee, I.Y., Kim, C.S., Lee, J., Hwang, K.J., Kim, I.J., et al. 2016a. Occurrence of weed flora in pasture of Jeju, Pyeongchang and Seosan region, Korea and changes in weed vegetation. Weed Turf. Sci. 5(3):126-135. (In Korean) 

  17. Lee, I.Y., Kim, C.S., Lee, J., Park, T.S., Moon, B.C., et al. 2016b.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over the last 50 years in Korea. Weed Turf. Sci. 5(1):1-4. (In Korean) 

  18. Lee, I.Y., Oh, Y.J., Hong, S.H., Choi, J.K., Heo, S.J., et al. 2015. Weed flora diversity and composition on upland field of Korea. Weed Turf. Sci. 4(3):159-175. (In Korean) 

  19. Lee, I.Y., Park, J.E., Kim, C.S., Oh, S.M., Kang, C.K., et al. 2007.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land of Korea. Kor. J. Weed Sci. 27(1):1-21. (In Korean) 

  20. Mori, T. 1921. An enumeration of plants known from Corea. Govt. of Chosen. (In Japanese) 

  21. Oh, S.M., Kim, C.S., Moon, B.C. and Lee, I.Y. 2002. Inflow information and habitat current status of exotic weeds in Korea. Kor. J. Weed Sci. 22(3):280-295. (In Korean) 

  22. Oh, S.M., Kim, C.S., Moon, B.C., Park, T.S. and Oh, B.Y. 2003. Present status of exotic weeds found in Korea since 1981. Kor. J. Weed Sci. 23(2):160-171. (In Korean) 

  23. Oh, Y.J., Ku, Y.C., Lee, J.H.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1981.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24. Park, J.E., Lee, I.Y., Moon, B.C., Kim, C.S., Park, T.S., et al. 2002.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25. Park, J.E., Lee, I.Y., Moon, B.C., Park, T.S., Lim, S.T., et al. 2001.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dynamics of weed flora in paddy rice field. Kor. J. Weed Sci. 21(4):327-334. (In Korean) 

  26. Park, J.E., Lee, I.Y., Kim C.S., Oh S.M., Park, T.S., et al. 2006. Weed flora of pasture in Korea. Kor. J. Weed Sci. 26(1):29-49. (In Korean) 

  27. Park, J.E., Lee, I.Y., Oh S.M., Park, T.S., Kim C.S.,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28.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a. Kor.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29. Park, K.H., Oh, Y.J., Ku, Y.C., Kim, H.D., Sa, J.K., et al. 1995. Changes of weed community in lowland rice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15(4):254-261. (In Korean) 

  30. Park, S.H. 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Nature conservation. 85:39-50. (In Korean) 

  3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In Korean) 

  32.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33.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 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 Manage. 2(4):323-329. 

  34. Wilson, R.G., Yonts, C.D. and Smith, J.A. 2002. Influence of glyphosate and glufosinate on weed control and sugarbeet (Beta vulgaris) yield in herbicide-tolerant sugarbeet. Weed Tech. 16(1):66-73. 

  35. Won, O.J., Park, S.H., Eom, M.Y., Kim, C.G., Lee, B.K., et al. 2015. Weed control and safety of transgenic rice event, CPPO06 in direct-seeding flooded rice field. Weed Turf. Sci. 4(1):44-48. (In Korean) 

  36. Woo, I.S. and Pyon, J.Y. 1988.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Kor. J. Weed Sci. 8(2):164-168. (In Korean) 

  37. Wyse-Pester, D.Y., Wiles, L.J. and Westra, P. 2002. Infestation and spatial dependence of weed seedling and mature weed population in corn. Weed Sci. 50(1):54-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