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leep qual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health, quality of life and working capacity and is affected by age, gender, exercise, life habits. Gender dissimilarities in sleep quality are acknowledged. Howev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in shift workers was not well kn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주간근무 작업자와 교대근무 작업자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도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수면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작업자의 수면의 질과 피로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여 교대근무 작업자의 수면의 질과 피로도 개선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예측한 바와 같이 주간근무 작업자보자 교대근무 작업자의 수면의 질이 낮고 피로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PSQI 설문 도구(Buysse et al., 1989)를 이용하여 근무형태 (주간과 교대근무)와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피로도 차이를 비교하고, 생활습관과 직무 특성이 수면의 질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번 우리의 연구는 LCD 제조업 사업장 근로자를대상으로 근무형태와 성별에 따른 피로도와 수면의 질 차이를 비교하고 그러한 차이에 영향을 주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수면의 질 차이를 보였고, 수면의 질은 피로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상성 조절기능의 역할은 무엇인가? 항상성 조절기능은 내인성 물질(endogenous substances) 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서 내 · 외부 환경으로부터 개체의 손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러한 기능이 유지되지 않으면 내인성 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항상성조절 기능은 어떤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가? 항상성조절 기능은 생활습관 및 환경, 스트레스, 수면과 피로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McEwen & Wingfield, 2010; Koolhaas et al., 2011; Cirelli, 2017).
교대 근무 작업자의 건강보호와 사고예방에 대한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진행된 연구의 결과는? 2%는 불면증 또는 수면장해를 겪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OSHRI, 2014) 교대 근무 작업자의 건강보호와 사고예방에 대한 관리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여러 연구자들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주간근무 작업자 보다 교대근무 작업자들의 수면의 질이 현저히 낮고, 그로 인하여 졸림, 집중력 저하, 피로 등의 증상을 보여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그러한 증상들이 지속되면 건강장해뿐만 아니라 사고발생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보고도 있다(Wagstaff & Sigstad Li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Turk W, Al-Dujaili EAS. Effect of age, gender and exercise on salivary dehydroepiandrosterone circadian rhythm rpfile in human volunteers. Steroids 2016;106: 19-25 

  2. Andersen ML, Alvarenga TF, Mazaro-Costa R, Hachul HC, Tufik S. The association of testosterone, sleep, and sexual function in men and women. Brain Res 2011;1416:80-104 

  3. Boivin DB, Boudreau P. Impacts of shift work on sleep and circadian rhythms. Pathologie Biologie 2014;62:292-301 

  4. Boivin DB, Tremblay GM, James FO. Working on atypical schedules. Seep Med 2007;8:578-589 

  5.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6. Chald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ely S, Wright D, Wallace EP.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1993;37:147-153 

  7. Chennaoui M, Arnal PJ, Sauvet F, Leger D. Sleep and exercise: A reciprocal issue?. Sleep Medicine Reviews 2015;20:59-72 

  8. Cirelli C. Sleep, synaptic homeostasis and neuronal firing rates.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2017;44:72-79 

  9. Doi Y, Minowa M. Gender differences i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mong Japanese workers. Soc Sci Med 2003;56:883-94 

  10. Dugas EN, Sylvestre MP, O'Loughlin EK, Brunet J, Kakinami L, Constantin E, O'Loughlin J. Nicotine dependence and sleep quality in young adults. Addictive Behaviors 2017;65:154-160 

  11. Erlacher C, Erlacher D, Schredl M. The effects of exercise on self-rated sleep among adults with chronic sleep complaints. J Sport and Health Science 2015;4(3): 289-298 

  12. Galland BC, Gray AR, Penno J, Smith C, Lobb C, Taylor RW. Gender differences in sleep hygiene practices and sleep quality in New Zealand adolescents aged 15 to 17 years. Sleep Health 2017;3:77-83 

  13. Gracia CR, Sammel MD, Freeman EW, Lin H, Langan E, Kapoor S, et al. Defining menopause status: creation of a new definition to identify the early changes of the menopausal transition. Menopause. 2005;12:128-35 

  14. Jose MT, Lima LG, Campos GO, Bertani RF, Moriguti JC, Ferriolli E, Lima NKC.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of elderly subjects. Sleep Medicine 2016;25:122-129 

  15. Kim H, Young T. Subjective daytime sleepiness: dimensions and correlates in the general population. Sleep 2005;5: 625-34 

  16. Kim GD. A study on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ing factor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Korean J Soci Welfare Aged 2000;7(1):173-192 

  17. Koolhaas JM, Bartolomucci A, Buwalda B, de Boer SF, Flugge G, Korte SM, Meerlo P, Murison R, Olivier B, Palanza P, Richter-Levin G, Sgoifo A, Steimer T, Stiedl O, van Dijk G, Wohr M, Fuchs E. Stress revisited: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stress concept. Neurosci Biobehav Rev 2011;35(5):1291-1301. 

  18. Load C, Sekerovic Z, Carrier J. Sleep regulation and sex hormones exposure in men and women across adulthood. Pathologie Biologie 2014;62:302-310 

  19. Madrid-Valero JJ, Martinez-Selva JM, do Couto BR, Sanchez-Romera JF, Ordonana JR. Age and gender effects on the prevalence of poor sleep quality in the adult population. Gaceta Sanitaria 2017;31(1):18-22 

  20. McEwen BS, Wingfield JC. What is in a name? Integrating homeostasis, allostasis and stress. Horm Behav 2010; 57(2):105-111. 

  21. Morioka H, Itani O, Kaneita Y, Ikeda M, Kondo S, Yamamoto R, Osaki Y, Kanda H, Higuchi S, Ohida T. Associations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alcohol drinking: A large-scale epidemiological study of adolescents in Japan. Alcohol 2013;47:619-628 

  22.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OSHRI). 4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Study In-depth analysis report by the subjec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4. 

  23. Okun ML, Luther JF, Wisniewski SR, Wisner KL. 2013. Disturbed sleep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pregnant women: an exploratory analysis of pregnancy outcomes. Psychosom Med 2013;75:670-681. 

  24. Paech GM, Jay SM, Lamond N, Roach GD, Ferguson SA. The effects of different roster schedules on sleep in miners. Appl Ergon 2010;41:600-606 

  25. Pereira ECA, Schmitt ACB, Cardoso MRA, Pereira WMP, Lorenzi-Filho G, Blumel JE, Aldrighi JM. Prevalence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associated factors in women aged 35-49 years from the "Pindamonhangaba Health Project" (PROSAPIN). Revista da Associacao Medica Brasileira (English Edition) 2012;58(4):447-452 

  26. Polo-Kantola P, Laine A, Kronholm E, Saarine MM, Rautava P, Aromaa M, Sillanpaa M. Gender differences in actual and preferred nocturnal seep duration ammong Finnish employed population. Maturitas 2016;94:77-83 

  27. Sharkey KM. Normal sleep in women. Encyclopedia of Sleep; 2013, p. 669-673 

  28. Spindola T, Santos RS. Mujer y Trabajo - la historia de vida de madres trabajadoras en enfermeria. Rev Latinoam Enferm 2003;11:593-600 

  29. Touitou Y, Reinberg A, Touitou D. Association between light at night, melatonin secretion, sleep deprivation, and the internal clock: Health impacts and mechanis of circadian disruption. Life Sci 2017;173:94-106 

  30. Viaene M, Vermeir G, Godderis L. Sleep disturbances and occupational exposure to solvents. Sleep Medicie Reviews 2009;13:235-243 

  31. Wagsteff AS, Sigstad Lie JA. Shift and night working and long working hours - a systematic review of safety implication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11; 37(3):173-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