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 현황분석 및 활용방안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4 no.2 = no.104, 2017년, pp.137 - 158  

정힘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태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의료정보융합)

초록

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공유, 활용하는 협조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재난안전 유관기관별로 다양한 재난안전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고 있지만, 각 기관별로 개별적인 용어와 의미를 정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는 재난안전정보를 검색하고 접근하려는 실무자 입장에서 큰 걸림돌이며, 기관별 정보 활용도를 저해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난안전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의 표준화 작업의 선행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유관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휘자원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집된 어휘자원을 대상으로 정보제공자 및 이용자 관점에서의 활용도 분석을 통해 어휘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해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aster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body, and the property. For effective and rapid disaster responses, coordination process based on sharing and utilizing disaster inform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produce and manage heterogene...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강성경, 유환, 이영재 (2016).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정보시스템연구, 18(1), 141-155. Kang, Seong Kyung, Yu, Hwan, & Lee, Young Jai (2016). Analyzing disaster response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1), 141-155. 

  2. 강성경, 이영재 (2015).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8(2), 1-10. Kang, Seong Kyung, & Lee, Young Jai (2015).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8(2), 1-10. 

  3.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3). 비정형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모델 개발.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3). Development of collection and analysis models for unstructured bigdata of disaster-related. Ulsa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5). 재난안전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재난유형 분류 및 표준화.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5).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aster for establishing customized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Ulsa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5. 국민안전처 (2016).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2015-2019). 세종: 국민안전처.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National safety management plan(2015-2019). Sejong: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6. 서진순, 김상균, 김안나, 장현철 (2015). 한의학 표준용어집 서비스와 향후 발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15(11), 571-581.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571 Seo, Jinsoon, Kim, Sang-Kyun, Kim, Anna, & Jang, Hyunchul (2015). A service of Korean medical standard terminology and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571-581.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571 

  7. 소방방재청 (2005). 국가안전관리 2단계 BPR/ISP 사업완료보고서. 서울: 소방방재청.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5). The final report on national safety management 2-level BPR/ISP. Seoul: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8. 신윤주, 김정은 (2009). 건강정보 소비자 용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15(1), 31-40. https://doi.org/10.4258/jksmi.2009.15.1.31 Shin, Yoonju, & Kim, Jeongeun (2009). A study for building a system of consumer vocabulary for health information.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15(1), 31-40. https://doi.org/10.4258/jksmi.2009.15.1.31 

  9. 왕순주 (2008). 보건의료 분야의 표준화 활동: 용어표준화를 통한 국가보건의료정보 구축의 예.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1(1), 11-16. Wang, Soon-Joo (2008).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public health: The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public health information by the terminology standardization. Korean Society of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1(1), 11-16. 

  10. 한국방재학회 (2015). 재난안전 용어사전. 서울: 씨아이알.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5). The glossary for disaster and safety. Seoul: CIR. 

  11. 한국방재협회 방재사전편찬위원회 (2010). 방재사전. 서울: R&D프레스. Korea Disaster Prevention Association (2010). Dictionary of disaster terminology. Seoul: R&D Press. 

  12. Mayner, L., & Arbon, P. (2015). Defining disaster: The need for harmonisation of terminology. Australasian Journal of Disaster & Trauma Studies, 19, 21-25. 

  13. 구글트렌드. Retrieved from https://trends.google.com/trends/ 

  14.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Retrieved from http://www.ndti.go.kr/ 

  15. 네이버뉴스. Retrieved from http://news.naver.com/ 

  16.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17.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행령 

  18. 해양수산 분야 전문용어 표준화 고시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