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통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through Information Problem Solving Model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8 no.2, 2017년, pp.449 - 467  

소병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문헌정보교육학전공, 우신고등학교)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을 밝히고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논문쓰기 교재 7종을 절차적 설명 텍스트로 분석하여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7종 소논문쓰기 교재 본문은 공통으로 <연구주제 정하기, 연구방법 정하기, 연구목차 정하기, 정보 찾기, 본문 쓰기, 참고문헌 기술하기, 발표하기>를 교육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여기에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정보 활용 전략을 추가 보완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연구계획 세우기>와 <정보 처리하기>, <논증적 글쓰기>로 재구조화 한 후, 정보 활용 교육을 위한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In addition, this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a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For clarifying and supporting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xposi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보 활용 교육은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지표를 통해 알 수 있듯 실재된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다. 그 대안으로 소논문쓰기에 주목하였다. 소논문쓰기를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할 수 있는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7종의 소논문쓰기 교재를 분석하여 교육내용을 일반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소논문쓰기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강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일반화하고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학교도서관에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소논문 쓰기 교재를 분석해 일반화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정보문제 해결모형과 비교하여 추가·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고 정보 활용 전략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에 최적화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소논문 쓰기 교재를 분석해 일반화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정보문제 해결모형과 비교하여 추가·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고 정보 활용 전략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에 최적화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렇게 학교도서관의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최적화한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과 정보 활용 전략을 와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래서 가설은 조건과 반응이라는 두 변인을 가지고 ‘~한다면 ~이다’, 혹은 ‘~은 ~가 아니다’ 또는 ‘~방법으로 지도하면 ~한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기대 역할은 무엇인가? 도서관은 관종별로 고유한 기대 역할이 있다. ≷도서관법≸(법률 제13960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대 역할은 ‘이용자 지도, 독서교육과 정보 활용 교육’ 등 주로 교육과 관련된 업무이다. IFLA(2015)는 학교도서관이 해야 할 핵심 교육 활동으로 모두 6가지 유형을 제안했다.
사서교사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또한 도서관 협력수업과 협동수업을 위한 장학자료집(교육과학기술부, 대구광역시교육청 2010)이 학교 현장에 보급되었다. 사서교사는 교과교사와의 협동수업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교과 수업에 교수자로 참여하거나, 정보활용능력 신장을 목표로 다양한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IFLA가 제안한 학교도서관이 해야 할 핵심 교육 활동 6가지 유형에 대한 기대는 어떠한가? IFLA(2015)는 학교도서관이 해야 할 핵심 교육 활동으로 모두 6가지 유형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리터러시와 독서진흥’(literacy and reading promotion), ‘매체와 정보 리터러시’(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탐구기반학습’(inquiry-based learning) 등은 정보 활용 교육의 구체적 내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독서교육과 정보 활용 교육 등과 같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활동이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상당히 회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yun, Woo-Yeoul et al. 2015. Theory and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Seoul: Teailsa. 

  2. Byun, Woo-Yeoul and Song, Gi-Ho. 2014. "Development of Reading Strategies to Learn for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through Creative Writ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25-147. 

  3. Ewha University Press. 1999. Research Method and Thesis Writing. Seoul: Ewha University Press. 

  4. Han, Sol. 2014. A Study on Teaching to Write Thesis for the Foreign Academic Purpose Learners: Focused on Genre-based Approach.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5. Han, Seung-Hee. 2008.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81-101. 

  6. Kim, Eun-Jung. 2015. The Effects of Creative Writ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M. 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7. Kim, Hye-Youn. 2013. "Composition Direction of the Expository Texts in the Textbook."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58): 211-242. 

  8. Kim, Hee-Young. 2015.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Paper Writing and Phase-based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Paper Writing, M. 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Kim, Sung-Jun.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71-292. 

  10. Korea University 'Thinking and Expression' Compilation Committee. 2007. Thinking and Expression - Humanities II and Composition.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11. Lee, Byeong-Ki. 2005.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6(1): 45-74. 

  12. Lee Byeong-Ki. 2012.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eoul: Joeungulteo.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0. Delight of Learning and Happiness of Knowing in the School Libraries. Daegu: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4. Moon, Sung-Hak. 2008. "A Study on ron-sul Education."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54: 229-248. 

  15. Park, Hye-Kyung. 2016. "Essay Writing Teaching Plan and a Writing Re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1): 321-348. 

  16.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5. 2015 Evaluation Report of Korean Libraries'Management.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17. Seo, Dae-jin. 2016. High School Students Thesis Writing. Seoul: Bookstar. 

  18.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2007.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Subject Curriculum Standard.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19. Shin, Hee-Eun. 2011. "A Study on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High School Students' Thesis Writing : Based on Genre-based Writing Theory". M. A.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 Song, Gi-Ho. 2011.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29-50. 

  21. Yu, So-Young. 2007. The Subject Learning and Creative Essay-Writing. Pusan: Korean Digital Forum. 

  22. IFLA.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Hague: IFLA School Libraries Section Standing Committee. 

  23. California School Library Association (CSLA). 1997. From Library Skills to Information Literacy: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2nd ed. California: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