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경찰활동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olicing for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51, 2017년, pp.317 - 334  

이주락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신소영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의 특성상 재난이 발생할 경우 지방정부차원에서 피해와 재정적 부담을 가져가야 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재난을 대비하고 재난관리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단위로 접근해야 하나, 현재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위주로 재난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세월호 사건 이후 재난안전 강화를 위해 신설된 국민안전처가 2016년 경주지진사건 등에서도 재난컨트롤타워로서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과 염려가 제기되어 또 다른 실질적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재난대응 유관기관인 경찰조직의 재난관리 활동 및 역할에 관심이 대두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경찰활동 중 특히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중점으로 지방정부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물론 기존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범죄 예방활동이 주 업무이지만 경찰서비스의 확대를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경찰은 범죄예방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주민의 안전과 지역사회의 질서를 위해 재난대응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역할 및 범위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지역주민과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주민밀착형 재난대응 및 안전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중점으로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경찰활동 확대방안으로 지역경찰의 재난 활동에 대한 인식전환과 사경비와의 협력 체계 구축, 순찰차의 재난예방 활동과 초동조치, CCTV 통합 플랫폼 구축 등을 제시하여 경찰의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rden of addressing the damage and financial losses caused by disaster events falls primarily on local governments. Given this reality, preparing for disasters and assessing the effects of disaster management would be more effective if both were carried out at the local level. However, disa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 경찰활동의 범위를 확대하고 효과적인 재난예방활동을 위한 경찰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패러다임을 제시하기에 본 연구가 탐색적 연구라는 점에서 여러 한계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며 재난 복구가 되도록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역할과 그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경찰의 역할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경찰의 효과적인 재난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활동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미국에서는 Coastwatch 프로그램, CERT(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 등 안전과 재난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사례가 있다(Flint & Brennan, 2006).
  • 이러한 환경에서 경찰의 전문적인 재난관리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인력과 예산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인력과 예산을 보완하고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사경비와의 협력체계 구축을 강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관리를 광의적 개념으로 보면 무엇을 포함하나? 재난관리(Disaster Management)를 광의적 개념으로 보면 사전에 재난을 예방하고 대비하며, 재난발생 후 그로 인한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상태로 시설을 복구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김석곤, 2015). 우리나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규정하는 재난관리 역시 재난 발생을 예방하고 대비하며 대응 및 복구 활동을 모두 포함한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어 광의적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협의의 재난관리란? 우리나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규정하는 재난관리 역시 재난 발생을 예방하고 대비하며 대응 및 복구 활동을 모두 포함한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어 광의적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반면, 협의의 재난관리는 재난이 발생한 후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대응 및 복구 과정만을 의미한다. 하지만 사회재난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역시 예방 및 대비로 예측이 가능하고 피해를 보다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관리는 광의적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경찰은 재난 발생 시 대응하기 위해 어떻게 훈련을 하고 있나? 경찰은 재난 발생 시 대응하기 위하여 48개 상설부대와 250개의 112 타격대 체계로 구성된 재난관리부대를 편성 및 운영하고 있다. 수시로 재난관리부대와 외근경찰관 등 46,982명을 대상으로 집중호우와 태풍, 산불 및 화재, 산악구조, 응급처치법, 환자후송법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각 경찰관서 재난관리장비 점검하는 등 재난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있다. 또한,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소방기관과 연계하여 연기피난법, 공기호흡기 사용법, 완강기 사용법 등 실습위주의 교육훈련도 실시하고 있다(경찰청,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욱.박준석.조준택(2014). 재난관리에 있어서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7-33. 

  2. 경찰청(2016). 2015 경찰통계연보, 경찰청 

  3. 경찰청(2015). 2015 경찰백서, 경찰청 

  4. 경찰청(2017). 경비국 내부자료, 경찰청 

  5. 김석곤(2005).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의 자원보유인식과 협력에 관한 연구: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학경.강욱(2017). 영국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위험성 평가제도의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9-32. 

  7. 박동균(2004).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능력 제고방안: 미국과 일본 사례의 교훈을 중심으로, 한국 공안행정학회보, 18: 179-215. 

  8. 비상기획위원회(2001). 전.평시 비상대비 및 재난재해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비상계획위원회. 

  9. 양문승(2001). 지역사회 경찰활동론, 서울: 대영문화사. 

  10. 이황우(2002). 경찰학개론, 서울: 법문사. 

  11. 조호대(2005). 재난관리에 있어 경찰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지, 20: 473-503. 

  12. 조호대(2014). 경찰재난관리규칙 상 경찰 재난대응활동에 대한 정책적 제언, 한국위기관리논집, 10(7): 21-32. 

  13. 최창호(2016). 지방자치의 의해, 서울: 삼영사. 

  14. Flint, C., & Bennan, M.(2006).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From disaster responder to community builders, Rural Realities, 1(3), 1-9. 

  15. Hartmann, F. X., Brown, L. P., & Stechens, D. W.(1989) Community Policing: Would You Know It If You Saw It?. East Lansing, MI: National Center for Community Policing. 

  16. James, Z.(2006). Policing space: managing new travellers in England. Th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6: 470-485. 

  17. Kappeler, V. E., & Gaines, L. K.(2012). Community Policing: A Contemporary Perspective. New York: Elsevier. 

  18. Lewis, S., Rosenberg, H., & Sigler, R. T.(1999). Acceptance of community policing among police officers and police administrators.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22: 567-588. 

  19. Nalla, M. K, & Kang, W.(2011). An assessment of South Korean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ost-reform era. Policin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e Strategies & Management, 34(2): 326-346. 

  20. Roth, J. A., Roehl, J., & Johnson, C. C.(2004). Trends in the adoption of community policing. In W. G. Skogan(Ed.), Community Policing: Can It Work?, Belmont, CA: Wadsworth/Thomson, 3-29. 

  21. Stipak, B. (1996). Are you really doing community policing? Police Chief, October. 

  22. 뉴시스, 범죄예방 CCTV 우후죽순... 감시요원은 부족 관리도 엉망, 2011. 9. 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