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사회 한국인의 과학소양에 대한 요구 분석
The Needs Analysis on Science Literacy Required for Koreans in the Future Socie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3, 2017년, pp.441 - 452  

전승준 (고려대학교) ,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고훈영 (인하대학교) ,  이영식 (경희대학교) ,  최성연 (동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50년 미래사회를 살아갈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 범주 및 구성요소 도출에 앞서서, 설문조사를 통해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2050년 미래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다루어야 할 과학소양 주제와 과학소양 구성범주별 중요도 변화 등을 전망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보다 큰 프로젝트인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 Koreans) 개발'이라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것으로 미래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해당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소양의 정의에는 기존 과학지식 이외에 과학적 사고방식과 작업 방식 그리고 과학의 응용 등을 포함해야 한다고 응답자들은 강조하였다.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을 지식과 핵심역량으로 구분하여 제안하고, 2050년 미래 학교 과학소양 교육을 위한 교과목 편성, 과학소양 구성범주별로 중요도 추이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의 범주로 과학의 방법, 과학지식, 과학의 응용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2050년 미래사회를 살아갈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 범주 및 구성요소 도출에 주는 시사점과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ategories and components of science literacy and investigate the trend in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of science literacy required for Koreans living in a future society in 2050 through survey analyses with the public. This study, as a preliminarily resea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래지향적인 과학소양을 정의하기 위하여 과학소양 정의에 포함해야 할 내용을 조사하였다. Kim(2016)은 2045 미래 인재상과 핵심 과학역량 마일스톤 연구에서 과학과 핵심역량을 과학적 표현력,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협업, 및 건전한 판단력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한국인이 갖추어야 하는 과학소양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래 사회 변화를 전망한 메가트랜드를 분석하였다.
  • 본 설문조사에서는 설문 첫 부분에서 스미스소니언 협회 (Smithsonian Institution)에서 제공하는 12개의 퀴즈 문항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과학소양 수준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스미스소니언 협회에서 제공하는 12개의 퀴즈 문항을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 응답자들의 응답 결과는 Table 3과 같다.
  • 셋째, 2050년 미래사회를 살아갈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을 개발함에 있어서 각계각층으로부터 과학소양에 기대하는 것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50년 미래사회 변화를 전망한 메가트렌드에서 출발하여 개인의 삶과 공동체 및 국제사회를 위한 방향성과 필요를 제시하고, 이러한 필요를 구현하기 위한 과학기술 영역을 파악하고, 해당 과학기술 발전을 뒷받침할 기초과학소양과 역량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50년 미래 사회에 대비하여 분야 별로 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과학소양으로 과학과 기술 분야별 기초 지식과 더불어, 과학의 본성과 핵심역량으로 창의성과 과학적 상상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빅데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학교교육 등을 교육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래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 및 미래 과학교육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설문 영역은 (1) 응답자 본인의 과학소양 진단, (2) 과학소양의 의미와 과학 정보 출처, (3) 2050년 미래사회 전망에 따른 과학소양, (4) 2050년 과학소양 교육 주제 및 미래 학교 과학소양 교육을 위한 교과목 구분, (5) 과학 소양 구성범주별 중요도 평가, (6) 미래 한국인으로서 강조해야 할 과학소양 등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2050년 미래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다루어야 할 과학소양 주제와 과학소양 구성범주별 중요도 변화 등을 전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이 인식하는 미래지향적인 과학소양의 구성요소,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 과학소양 교육을 위한 주제와 교과목 구분, 과학소양 구성요소별 중요도 평가, 한국인으로서 강조해야 하는 과학소양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설문조사와 선행연구 사례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을 위한 과학소양’에서 한국인이란 2017년 현재 태어나고 학교를 다닐 아이들이, 성인으로서 사회를 책임져 나갈 2050년을 내다볼 때 필요로 할 과학소양을 규명하고 이를 초⋅중등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소양의 범주를 크게 과학의 방법, 과학지식, 과학의 응용 등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과학의 방법은 과학의 본성, 과학의 언어 및 도구, 과학의 방법 등으로 구성하고, 핵심역량과 과학적 사고와 작업 방식, 과학적 태도 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의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2050년 미래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다루어야 할 과학소양 주제와 과학소양 구성범주별 중요도 변화 등을 전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중이 인식하는 미래지향적인 과학소양의 구성요소,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 과학소양 교육을 위한 주제와 교과목 구분, 과학소양 구성요소별 중요도 평가, 한국인으로서 강조해야 하는 과학소양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현재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과학소양의 중요도 수준과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소양 범주와 내용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4%) 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응답 결과를 반영하여 과학소양 범주별로 담아야 할 소주제를 도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한국인이 갖추어야 할 과학소양의 범주와 내용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대중들이 요청하는 과학소양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다 큰 프로젝트인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 Koreans) 개발’이라는 연구 (Jeon et al.
  • 이를 위해 대중이 인식하는 미래지향적인 과학소양의 구성요소, 2050년 미래사회 변화 전망에 따라 요청되는 과학소양, 과학소양 교육을 위한 주제와 교과목 구분, 과학소양 구성요소별 중요도 평가, 한국인으로서 강조해야 하는 과학소양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현재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과학소양의 중요도 수준과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소양 범주와 내용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2017). 첫째, 과학소양은 학습 가능한 능력이다. 과학소양은 학교 교육은 물론 학교 밖 교육을 통해서도 후천적으로 학습 가능한 능력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소양이란 무엇인가? 과학소양이란 “과학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회적 경험에 적용하는 것(Hurd, 1958: 13)”으로, 199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들에서 과학 교육의 주요 목표로 자리매김해 왔다. 다양한 미래사회 전망에서는 사회변화와 더불어 미래 학교나 미래 교육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KICE, 2012).
미래사회 변화에 있어서 과학 소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미래사회를 살아갈 시민들이 미래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학교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런 변화의 중심에 지식 정보화, 초연결, 초지능화와 같은 과학기술의 혁신이 있다는 점에서 미래시민에게 요구되는 과학 소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소양, 혹은 과학적 소양의 의미와 구성요소는 다소 열린 개념으로 관점이나 철학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왔다(Deboer, 2000; Laugksch, 2000).
과학소양에 대한 의미 규명은 결국 어디로 연결되는가? 과학소양에 대한 의미 규명은 결국 학교교육을 통한 과학소양 함양 방안으로 연결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소양을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로 설정하고 소양의 개념을 정의하고 지속적으로 구성요소를 정련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Brown, B. A., Reveles, J. M. & Kelly, G. J.(2005). Scientific Literacy and Discursive Identity: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89(5), 770-802. 

  3. Bybee, R. W. (1997). Towards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Literacy. In W. Graber & C. Bolte(Eds.), Scientific literacy (pp. 37-68). Kiel, Germany: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IPN). 

  4. Bybee, R., McCrae, B., and Laurie, R. (2009). PISA 2006: An Assessment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8), 865-883. 

  5. Chiapetta, E., Sethna, G. & Fillman,D.(1993). Do Middle School Life Science Textbooks Provide a Balance of Scientific Literacy Them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7), 787-797. 

  6. Choi, K., Lee, H., Shin, N., Kim, S., and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7. Chung, Y. L., & Choi, J. M. (2007).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1), 9-17. 

  8. DeBoer, G. E.(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9. Gilley, J. W., & Eggland, S. A. (1989).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mbridge, MA: Perseus Books. 

  10. Holbrook, J., Rannikmae, M.(2007).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1), 1347-1362. 

  11. Hurd, P. D. (1958). Science literacy: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s. Educational Leadership, 16, 13-16. 

  12. Jeon, S., Koh, H., Lee, Y., Kwak, Y., & Choi, S. (2017). Development for 'Science for All Koreans'. (KOFAC Research Report). Seoul: KOFAC. 

  13. KEDI (2010). "Future Vision 2040", Retrieved May 15, 2016 from http://17future.pa.go.kr/data/forumdata/p_20100614113252.pdf, (accessed February 1, 2017). 

  14. KICE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Research Report RRC 2012-4). Seoul: KICE. 

  15. Kim, D. (2016). Future Human Resources and Milestones of Key Science Competencies (KOFAC Research Report). Seoul: KOFAC. 

  16. Kim, H. J., Choi, S. Y., Hwang, Y. J., Lee, J. E., Kim, S. W., & Lee, M. K. (2006).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4), 601-609. 

  17. Kim, K., & Choi, T. (2014). US NIC "Global Trends 2030". Report 2014-001. Seoul: KISTEP. 

  18. Kwak, Y. (2016).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cience. Cooperative association of Korean science education contents. Science Education Monograph Series No. 11. 

  19. Laughsch, R. C.(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20. Lee, C., & Jung, B. (2016). A Study on the Talent Development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in IS-Geo of KIGAM: Focusing on the Training Needs Analysis and Training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7(4), 230-242. 

  21. Lee, M. J. (2009). Toward to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487-494. 

  22. Lee, M. J. (2014).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Classifications of Scientific Literacy Defini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55-62. 

  23. Manhart, J. J.(1998). Gender Differences in Scientific Liter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24. Miller J. D. (2004). Public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Research: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3(3), 273-294. 

  25.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2007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6.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7. Mun, K., Mun, J., Cho, M., Chung Y., Kim, S- W. & Krajcik, J.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Evaluation Framework on Korean High School Science Text Boo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789-804. 

  28.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2016). Science Literacy: Concepts, Contexts, and Consequenc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doi: 10.17226/23595.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0. NIPA (2010). Fifteen Mega Trend in Korean Society: Meta Analysis. Retrieved May 15, 2016 from http://www.nipa.kr/know/trandInformationView.it?identifier02-004-110406-000001&menuNo26&page10 

  31. Norris, S., Phillips, L.(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32.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DeSeCo Project. Retrieved May 29, 2016,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33. OECD. (2013). The PISA 2015 Draft Science Framework. Retrieved May 29, 2016, from 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2015%20Science%20Framework%20.pdf 

  34. Park (2016). Discussions About the Three Aspects of Scientific Literacy: Focus on Integrative Understanding, Settlement in Curriculum, and Civic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3), 413-422. 

  35. Project on the Wisdom of Science & Technology (2008). Reports of the Project on the Wisdom of Science & Technology. Retrieved May 11, 2016, from http://www.science-for-all.jp/ 

  36. Ryu H. S. & Choi, K. H. (2010). Perception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Literacy for Global Science-Technology-Societ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850-869. 

  37. Shin D. H. & Ro, K. H. (2002).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10), 76-92. 

  38. Song, M., Choi, H., Im, H., & Park, H. (2012).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Establishing PISA 2015 Field Trial. (Research Report RRE 2013-6-2). Seoul: KICE. 

  39. World Economic Forum (2015).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4-2015, Retrieved May 11, 2016,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GlobalCompetitivenessReport_2014-15.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