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평가 및 비만과의 연관성 분석
Assessment of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3, 2017년, pp.263 - 273  

양시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이향숙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지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윤명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  서영균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  박경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장한별 (질병관리본부 대사영양질환과) ,  이혜자 (질병관리본부 대사영양질환과) ,  박상익 (질병관리본부 대사영양질환과) ,  임현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quantifying dietary intak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on differences in quality among diets remain scarce. This study compared diet quality by weight status and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diet and ob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사의 질 지표(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는 각 대상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기준으로 수정하여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며(Kim 등 2003), 어린이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는 성장발달에 꼭 필요한 식품섭취 및 식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Kang 등 2012; Kim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사의 질 지표(DQI-I), 어린이 영양지수(NQ) 및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KDRIs)을 이용하여 소아청소년 정상체중군 및 비만군의 식사의 질을 비교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만 9∼18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체중상태에 따른 식사의 질 지표(DQI-I), 어린이 영양지수(NQ),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비율을 이용하여 식사의 질을 비교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체중 및 비만 유병률이 증가된 이유는 무엇인가? 지난 30년간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과체중 및 비만 유병률이 증가되어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소아청소년에서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u & Lee 2000). 학생 건강검사 표본조사에 따른 우리나라 만 6∼18세소아청소년의 비만율은 2007년 11.
신체계측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신체계측은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혈압을 측정하였다. 대상자가 가벼운 옷차림을 하고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 체성분 분석기(InBody 720, Biospace Co., Korea)를 이용하여 신장(cm) 및 체중(kg), 체지방량(kg)을 측정하였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신장(m)의 제곱값으로 체중(kg)을 나누어 산출하였다.
식사의 질 지표란 무엇인가?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이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식이 관련 내용을 평가한 연구는 다양하지만(Yu 등 2007; Boo 등 2015) 비만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비교적 수가 적으며(Sung 등 2007; Lee 등 2008),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 식행동 및 식습관뿐만 아니라 식사의 질을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식사의 질 지표(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는 각 대상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기준으로 수정하여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며(Kim 등 2003), 어린이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는 성장발달에 꼭 필요한 식품섭취 및 식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Kang 등 2012; Kim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사의 질 지표(DQI-I), 어린이 영양지수(NQ) 및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KDRIs)을 이용하여 소아청소년 정상체중군 및 비만군의 식사의 질을 비교하고, 식사의 질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YJ (2012):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related to obesity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according to dietary diversity scor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7(4):419-428 

  2. Boo MN, Cho SK, Park K (2015):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48(4):335-343 

  3. Bowman SA, Gortmaker SL, Ebbeling CB, Pereira MA, Ludwig DS (2004): Effects of fast-food consumption on energy intake and diet quality among children in a national household survey. Pediatrics 113(1 Pt 1):112-118 

  4. Chae MJ, Choi SK, Seo JS (2009): The differences of biochemical statu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ity degree among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ung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4):441-450 

  5. Cheon SY, Wang HW, Lee HJ, Hwang KM, Yoon HS, Kang YJ (2017): Relationship of sodium consumption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J Nutr Health 50(1):64-73 

  6. Choi SN, Kim HJ, Chung NY (2011): Nutrient intakes,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and lifestyle behaviors of obese 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7(4):349-363 

  7. Combs Jr GF, McClung JP (2016): The vitamins: fundamental aspects in nutrition and health. 5th ed. Elsevier Science. Saint Louis. p.630 

  8. Flynn A (2003): The role of dietary calcium in bone health. Proc Nutr Soc 62(4):851-858 

  9. Hong YJ (1999): A study on the relation of eating behavior and food intake to obesity index of adolescents. Korean J Nutr 14(5):535-554 

  10. Jeffery RW, French SA (1998): Epidemic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re fast foods and television viewing contributing? Am J Public Health 88(2):277-280 

  11.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1):55-66 

  12.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45(4):372-389 

  13. Kang NR, Lee JS, Kang KS, Kwack YS (2016): Mental health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7(2):119-129 

  14. Kaur L, Kaur G, Mala D, Gohlan D (2009): Association between BMI & eating pattern: study among adolescents. Nurs Midwifery Res J 5(1):38-44 

  15.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2012):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4):390-399 

  16. Kim S, Haines PS, Siega-Riz AM, Popkin BM (2003): The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et quality as illustrated by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 Nutr 133(11):3476-3484 

  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18.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 Cult 15(3):201-213 

  19. Lee HJ, Rhie SG, Won HR (2008): Comparisons of dietary habits and eating disorder by obesity index on one of middle school girls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9(1):157-169 

  20. Lee SJ, Kim Y (2013):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6(5):440-446 

  21. Ma Y, He FJ, MacGregor GA (2015): High salt intake: independent risk factor for obesity? Hypertension 66(4):843-849 

  22. Malik VS, Schulze MB, Hu FB (2006): Intake of sugar- 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84(2):274-288 

  23. Ministry of Education, Student Health Examination - Sample Investigation. 2016.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25. Park JS, Park ES (2008):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Focused on Namwon city, Jeonbuk. Korean J Hum Ecol 17(1):159-170 

  26. Salerno-Kennedy R. Folic acid and health (2008): An overview. In: Elliot CM, ed. Vitamin B: New Research, pp.39-56, Nova Science Publishers, New York, 2008. 

  27. Serdula MK, Ivery D, Coates RJ, Freedman DS, Williamson DF, Byers T (1993): Do obese children become obese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ev Med 22(2):167-177 

  28. Sung SH, Yu OK, Son HS, Cha YS (2007):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8):995-1009 

  29. Tanner JM (1981): Growth and maturation during adolescence. Nutr Rev 39(2):43-55 

  30. Veugelers P, Sithole F, Zhang S, Muhajarine N (2008):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diet,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of Canadian children. Int J Pediatr Obes 3(3):152-159 

  31. Wang SG (2007): Prevalence of obesity, food habits, and daily nutrient intakes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Human Ecol 16(3):631-642 

  32. Yoo J, Choi Y (2013):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46(5):427-439 

  33. Yu OK, Park SH, Cha YS (2007):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2(6):665-6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