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ID시설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율평가를 위한 SWMM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SWMM for Reduction of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in LID Facilitie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8 no.4, 2017년, pp.249 - 256  

정광욱 ((사)한국수계환경연구소) ,  정종석 (LH 토지주택연구원) ,  박진성 ((사)한국수계환경연구소) ,  현경학 (LH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의 확대와 팽창에 따라 불투수층 증가에 따른 물순환의 건전성 약화, 녹지 등 생태계의 파괴 등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LID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인 아산탕정 분산형 빗물관리 시범지구를 대상으로 SWMM 모텔을 구축하여 LID시설 적용 전후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강우를 대상으로 모의한 결과 배수구역 기준 12.2%, 집수구역 기준 62.0%의 유출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OD오염부하 저감효과 평가 결과 배수구역기준 15.5%, 집수구역 기준 74.9%, TP의 경우 배수구역기준 9.2%, 집수구역 기준 71.4%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아산탕정 지구 내에 설치된 4가지 시설물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효율은 식생수로가 가장 높고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하지만 이는 시설물의 개소수, 체적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로 실제 시설물의 효율을 비교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집수면적당 시설물의 공극률을 고려한 체적(V/A)이 낮은 침투도랑 및 측구형 침투시설이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SWMM 모델의 LID모듈을 이용하여 물순환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검토한 결과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검토를 통해 효과적인 LID시설을 설계하는데 활용 기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ization can be remarkable affected flood, pollutant loading, ecological system, and green infrastructure by distortion of hydrologic cycle. In order to mitigate these problems in urban, Low Impact Development(LID)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in the world. SWMM model was calibr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ID기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아산탕정지구에 적용된 LID 적용 전과 후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강우는 2016년 1년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 Q유역 ②지점의 모니터링 보정결과는 표 2에 제시하였으며 유출고는 보정지점의 유출량을 유역면적(외부 유역을 포함하여 369, 337nf)으로 나누어 산정하였으며, 강우량 대비 유출고의 비율로 유출률을 산정하였다.
  • SWMM.LID에서 3개의 Layer 분석이 가능한 Controle Bio-Retention CeU 과 Permeable Pavement 로 Permeable Pavement의 경우 투수성 포장에 적용하므로 이를 제외하면 Bio-Retention Cell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모델에 적용하였다 (표 2).
  • 1). 각 유역의 경우 실시설계(한국토지주택공사, 2011)에서 제시한 유역명인 K, Q, R, S로 통일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K 유역의 경우 지구내 저류지를 통해 장재천으로 유출되며, Q 유역은 장재천으로 직접 유출되고 R 유역과 S 유역은 외부 관로로 유출되며 모니터링 위치는 그림 3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아산탕정지구의 LID시범도시에 SWMM모델을 적용하여 2016년 강우를 대상으로 LID기법 적용에 따른 유출 및 오염부하 저감량을 산정하였다.
  • 아산탕정지구는 총 362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였으며, 모델에 적용된 LID시설물은 총 990개소(침투도랑 805, 식생수로 135, 측구형 침투시설 50)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으며(그림 2), 총 4개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구성하였다(표 1). 각 유역의 경우 실시설계(한국토지주택공사, 2011)에서 제시한 유역명인 K, Q, R, S로 통일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 나눌 수 있다. 유역과 관련한 입력자료는 유역면적, 유역폭, 유역경사, 불투수면적버I, 조도계수, 지면저류량, 침투와 관련한 Curve Numbet(CN), 지하수, LID 모듈 등이 있으며 이 중 유역면적, 유역폭, 유역경사 불투수면적비는 정확한 산정과 관련 식들로 적용이 가능한 물리적 매개변수로 분류되며, 조도계수, 지면 저류 등은 수문학적 매개변수로 범위 또는 경험 등에 의한 제시 값들로 산정하였다.
  • 유역모델의 보정결과는 표 3에 유출률로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며, 외부유역을 제외하여 평가하였다. 유출율의 차이는 각각 3.
  • 침투시설이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효과분석을 위하여 각 시설물별로 소유역을 별도로 구분하였으며 설치 전후에 발생하는 차이를 효과로 제시하였다.
  • 전.후에 대하여 단기연속유출 모의에 의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집수구역은 LID시설로 직접 유입되는 구역을 집수구역으로 정의하였으며, 배수구역은 LID시설의 집수구역을 포함한 유역전체의 면적으로 정의하였다.

대상 데이터

  • 유역 유출지점, K 유역 저류지 유출지점이다. K 유역 저류지 유출지점의 경우 배수암거 2련이며 유량계가 각각 1개소씩 2개 설치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개에서 측정된 각각의 유량을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 대상강우는 2016년 1년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 모니터링 위치는 총 3개 지점으로 Q 유역 외부 유입지점, Q 유역 유출지점, K 유역 저류지 유출지점이다. K 유역 저류지 유출지점의 경우 배수암거 2련이며 유량계가 각각 1개소씩 2개 설치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2개에서 측정된 각각의 유량을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 모델의 보정은 유기물의 지표인 COD와 조류성장에 제한인자인 T-P를 대상으로 하였다 보정모니터링 자료는 매우 높은 농도를 나타낸 6월 24일 데이터를 제외한 2회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대단위 도시개발사업 중 분산형 빗물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자연적 물순환 체계 복원 및 친환경 도시를 조성하는 국내 최초의 LID시범사업 지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아산탕정 지구에 대해서는 관련 연구(현경학과 이정민, 2010; 현경학 등, 2008; 현경학 등, 2010; 현경학 등, 2012; 현경학 등, 2012) 등이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다.
  • 지점 ①을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 유역 유출부(모니터링 지점 ②)와 K 유역 유출부(모니터링 지점 ③, ④) 총 2개 지점에 대해서 모델 보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니터 링자료의 유무를 고려하여 전체유역의 94.7%에 해당하는 Q와 K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그림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충남 천안시 불당ㆍ백석ㆍ신방동 및 아산시 배방ㆍ탕정면 일원에 위치하는 총 사업면적 5,170,487m2 중 약 40%인 1,753,385m2이며 2007년 공사를 착공하여 조성공사는 2015년 말에 완료하였다. 다만, 공동주택 및 상업ㆍ무시설 등은 현재도 공사 중이다.
  • 수질모니터링은 배수구역 말단 2개 지점에서 실시하였으며, COD, TP 종 2개 항목에 대해 3회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였다.(한국토지주택공사, 2016).
  • 아산탕정지구의 유량 모니터 링은 2016년 2월 1일부터 201612월 6일까지 측정된 연속유량자료를 활용하였다.
  • 연구대상지구의 기상자료는 지구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강우량계를 통해 수집된 10분 단위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침투량 산정방법은 Curve Number(CN)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 토지피복도, 토양도, 소유역구분도를 중첩하여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이형(2008), 21세기 친환경 건설을 위한 Low Impact Development(LID)기술, 한국수자원학회지 41(6): 47-57. 

  2. 신동수, 박재범, 강두기, 조덕준(2013), SWMM-LID를 이용한 상습침수유역 내 유출저감효과 분석, 한국방재학회 13(4): 303-309. 

  3. 이정민, 현경학, 이윤상, 김정곤, 박용부, 최종수(2011), SWMM-LID를 이용한 저탄소 녹색마을의 LID-분산형 빗물관리 계획에 따른 물순환 효과 분석, LHI Journal 2(4): 203-507 

  4. 장수환(2009),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2009권 17호. 

  5. 최희선(2007), 물순환형 생태도시를 위한 유역차원의 습지조성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6. 현경학, 김정곤, 이정민, 정종석, 김종만, 이유진(2010), 아산탕정 물순환 그린도시 조성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7. 한국토지주택공사(2016), 상하수도 및 빗물 모니터링 통합운영시스템 최종 모니터링 보고서. 

  8. 한국토지주택공사(2011). 아산탕정지구 분산형 빗물관리 도시조성공사. 

  9. 한양희, 서동일(2014), SWMM 모델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도시 소하천 관리를 위한 LID 기법의 적용방안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6(10): 691-697. 

  10. 현경학, 이정민(2010), 토지이용 변화가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과 침투트렌치 설치 효과 분석, 상하수도학회지 24(6): 691-701. 

  11. 현경학, 김종남, 오정익, 김길태, 이기홍, 김용환(2008), 아산 신도시 물순환 도시 조성을 위한 우수관리 및 인공습지 시스템 적용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대한주택공사. 

  12. 현경학, 김정곤, 이정민, 이은엽, 김승곤, 추연우, 유정은(2012), LID 빗물관리시설 설치 해설집 작성 및 모니터링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13. 현경학, 김정곤, 이정민, 이은엽, 김승곤, 추연우(2012), LID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 설치 해설집, 토지주택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14. Rossman, L.(2015).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sion 5.1, EPA/600/R-14/413b,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thens, GA. 

  15.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1997), Low-Impact Development Design Manual,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16. U.S. EPA(2007), http://www.lowimpactdevelopmnet.or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