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전단계 대학생들의 단순 일회성 유산소 운동이 혈압, 혈중지질과 섬유소 용해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ute Aerobic Exercise 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Fibrinolytic Markers in Pre-hypertension College-aged Ma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140 - 148  

김대열 (전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백경엽 (광주살레시오고등학교) ,  박혁 (전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이하얀 (전남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동희 (전남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혈압전단계 남자 대학생들이 단순 일회성 유산소 운동을 운동강도를 달리하여 혈압, 혈중지질, 섬유소용해 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총 6명이 최종 실험 참가자로 선정되어 일회성 달리기 운동을 저강도(50-60% 여유심박수(Heart rate reserve(HRR)), 중강도(60-70%HRR), 고강도(70-80%HRR)로 실시하였다. 혈압(수축기와 이완기), 혈중지질(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TC), 고밀도단백질 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섬유소 용해인자(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는 운동 전과 후 그리고 운동 후 60분 각각의 강도마다 측정되었다. 실험결과는 저강도 그룹의 수축기 혈압은 운동 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13). 하지만 중강도와 고강도 그룹의 수축기 혈압은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효과크기로 분석시 운동 후 60분에 -1.33과 -1.23으로 큰 효과를 보이며 낮아졌다. HDL-C는 중강도(p=0.003)와 고강도 그룹(p=0.002)에서 운동 후 60분에 유의하게 증하였다. tPA는 중강(p=0.021)와 고강도 그룹이(p=0.042)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일회성 중강도와 고강도 운동을 했을 때 운동 후 저혈압이 나타나고 HDL-C가 높아지고 또한 tPA 농도가 높아져서 고혈압 전 단계 젊은 남자들이 지속적인 중강도 이상의 운동을 하게 되면 고혈압과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지연시킬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ute aerobic exercise at different intensities on the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fibrinolytic markers in pre-hypertension college-aged males. Six subjects performed an acute running exercise at three different intensities(low intensit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단순 일회성 운동시 다른 강도의 따라서 혈압, 혈중 지질, 혈중 섬유소 용해 인자들의 반응에 차이가 나타난다면 이를 바탕으로 고혈압이나 고혈압 전 단계 환자들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설계 시 가장 효과적인 강도를 설정하여 환자들의 건강을 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전 단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 일회성 유산소운동을 다른 강도로 실시하여 혈압이나 혈중 지질, 혈중 섬유소 용해 인자들의 효과를 살펴보아 고혈압 전 단계 대상자들에게 어떠한 운동 강도가 가장 효과적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혈압 전 단계 남자 대학생들에게 강도가 다른 달리기 운동을 처치하여 혈압, 혈중지질, 섬유소용해 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은 다른 운동 강도[(저강도 50-60% heart rate reserve(HRR), 중강도(60–70% HRR), 고강도(70-80% HRR)]로 단순 일회성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여 혈압(SBP와 DBP), 혈중지질(TC와 HDL-C) 그리고 섬유소 용해 인자(tPA와 PAI-1)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단순 일회성 유산소 운동을 저·중·고강도로 실시하여 혈압, 혈중지질, 혈중섬유 용해 인자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유산소 운동 훈련 프로그램 설계 시 가장 효과적인 강도인지를 권장하기 위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실험은 고혈압 전단계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 일회성 유산소 운동 시 다른 운동 강도 에 따라 혈압, 혈중지질, 혈중 염증 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총 3회의 운동을 다른 강도로 실시하였고 운동 간의 간격은 일주일로 설정하여 그 전에 운동이 차후 운동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으로 인한 어떠한 질병을 발병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관상동맥질환(coronary heart disease), 뇌졸중(stroke), 울혈성심부전증(congestive heart failure) 등에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과 말기 신장질환(end-stage renal disease)등을 유발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1]. 또한 이 고혈압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의 첫 번째 원인이고[2]약 10억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 건강에 관련한 보험의 사용을 증가 시키고 있다[3].
운동이 고혈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는? 게다가 단순 일회성 운동 후에도 혈압이 낮아지는 운동 후 저혈압이 발생하여[6]운동은 혈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한 메타분석 연구에 의한 유산소 훈련을 통한 혈압의 저하의 기전은 심박출량(cardiac output)은 유지된 상태에서 심혈관계의 저항성(systemic vascular resistance)이 낮아졌기 때문인데 이는 훈련으로 인하여 자율신경계의 활성이 저하되어 안정시 심박수(heart rate)가 약 9.3% 낮아지고 이와 동시에 심장의 1회 박출량(stroke volume)은 15.4% 상승하였기 때문이다[7].
고혈압의 위험성을 낮추는 방법은? 이런 고혈압은 혈관 손상(endothelial damage)으로 생리학적 혈관 운동 활성(physiological vasomotor activity)을 상실시켜 심혈관계 질환의 중요한 발생 요인 중 하나인 이상지혈증(dyslipidemia)을 유발하기도 한다[4]. 이러한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은 신체활동으로 증대로 인하여 낮출 수 있다[5]. 게다가 단순 일회성 운동 후에도 혈압이 낮아지는 운동 후 저혈압이 발생하여[6]운동은 혈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helton, S. P., Chin, A., Xin, X., & He, J.,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136, no, 7, pp. 493-503, 2002. DOI: https://doi.org/10.7326/0003-4819-136-7-200204020-00006 

  2. Ezzati M, Lopez AD, Rodgers A, Vander Hoorn, S, Murray CJ, Selected major risk factors and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disease. Lancet 360 (9343) p. 1347-1360, 2002.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02)11403-6 

  3. Ciolac, E. G,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and hypertension: maximizing the benefits of exercise? American Journal of Cardiovascular Disease, vol. 2, no, 2, pp. 102-110, 2012. 

  4. Halperin, R. O., Sesso, H. D., Ma, J., Buring, J. E, Stampfer, M. J., Gaziano, J. M, Dyslipidemia and the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in men. Hypertension, vol. 47 no. 1, pp. 45-50, 2006. DOI: https://doi.org/10.1161/01.HYP.0000196306.42418.0e 

  5. Hu, G., Barengo, N. C., Tuomilehto, J., Lakka, T. A., Nissinen, A., Jousilahti, P,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to the risk of hypertension: a prospective study in Finland. Hypertension, vol. 43, no. 1, pp. 25-30, 2004. DOI: https://doi.org/10.1161/01.HYP.0000107400.72456.19 

  6. Liu, S., Goodman, J., Nolan, R., Lacombe, S., Thomas, S. G., Blood pressure responses to acute and chronic exercise are related in prehypertens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44, no. 9, pp. 1644-1652, 2012. DOI: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25408fb 

  7. Fagard, R. H., Cornelissen, V. A., Effect of exercise on blood pressure control in hypertensive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 Rehabilitation, vol. 14, no. 1, pp. 12-17, 2007. DOI: https://doi.org/10.1097/HJR.0b013e3280128bbb 

  8. Prospective Studies C, Lewington S, Whitlock G, Clarke R, Sherliker P, Emberson J, Halsey J, Qizilbash N, Peto R, Collins R. Blood cholesterol and vascular mortality by age, sex, and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61 prospective studies with 55,000 vascular deaths. Lancet 370 (9602) p. 1829-1839. 

  9. Kelley, G. A., Kelley, K. S., Aerobic exercise and lipids and lipoproteins in me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journal of men's health & gender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Men's Health & Gender, vol. 3, no. 1, pp. 61-70, 2006. 

  10. Kelley, G. A., Kelley, K. S., Franklin, B., Aerobic exercise and lipids and lipoproteins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vol. 26, no. 3, pp. 131-139, 2006. DOI: https://doi.org/10.1097/00008483-200605000-00002 

  11. Bodary, P. F., Yasuda, N., Watson, D. D., Brown, A. S., Davis, J. M., Pate, R. R., Effects of short-term exercise training o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5, no. 11, pp. 1853-1858, 2003. DOI: https://doi.org/10.1249/01.MSS.0000093751.82616.F0 

  12. Francis, R. M., Romeyn, C. L., Coughlin, A. M., Nagelkirk, P. R., Womack, C. J., Lemmer, J. T., Age and aerobic training status effects on plasma and skeletal muscle tPA and PAI-1.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14, no, 6, pp. 1229-1238, 2014. DOI: https://doi.org/10.1007/s00421-014-2857-2 

  13. Lowe, G. D., Danesh, J., Lewington, S., Walker, M., Lennon, L., Thomson, A., Rumley, A., Whincup, P. H.,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tigen and coronary heart disease.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European Heart Journal, vol. 25, no. 3, pp. 252-259, 2004. DOI: https://doi.org/10.1016/j.ehj.2003.11.004 

  14. Smith, D. T., Hoetzer, G. L., Greiner, J. J., Stauffer, B. L., DeSouza, C. A., Effects of ageing and regular aerobic exercise on endothelial fibrinolytic capacity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546, no. 1, pp. 289-298, 2003. DOI: https://doi.org/10.1113/jphysiol.2002.027870 

  15. Smith, D. T., Hoetzer, G. L., Greiner, J. J., Stauffer, B. L., DeSouza, C. A., Effects of ageing and regular aerobic exercise on endothelial fibrinolytic capacity in humans.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546, no. 1, pp. 289-298, 2003. DOI: https://doi.org/10.1113/jphysiol.2002.027870 

  16. Eicher, J. D., Maresh, C. M., Tsongalis, G. J., Thompson, P. D., Pescatello, L. S., The additive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ost-exercise hypotension. American Heart Journal, vol. 160, no. 3, pp. 513-520, 2010. DOI: https://doi.org/10.1016/j.ahj.2010.06.005 

  17. Forjaz, C. L., Cardoso Jr, C. G., Rezk, C. C., Santaella, D. F., Tinucci, T., Postexercise hypotension and hemodynamics: the role of exercise intensity.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vol. 44, no. 1, pp. 54-62, 2004. 

  18. Rhea, M. 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reatment effects in strength training research through the use of the effect siz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 National Strength & Conditioning Association, vol. 18, no. 4, pp. 918-920, 2004. 

  19. Taylor-Tolbert, N. S., Dengel, D. R., Brown, M. D., McCole, S. D., Pratley, R. E., Ferrell, R. E., Hagberg, J. M., Ambulatory blood pressure after acute exercise in older men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vol. 13, no. 1, pp. 44-51, 2000. DOI: https://doi.org/10.1016/S0895-7061(99)00141-7 

  20. Pescatello, L. S., Guidry, M. A., Blanchard, B. E., Kerr, A., Taylor, A. L., Johnson, A. N., Maresh, C. M., Rodriguez, N., Thompson, P. D., Exercise intensity alters postexercise hypo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vol. 22, no. 10, pp. 1881-1888, 2004. DOI: https://doi.org/10.1097/00004872-200410000-00009 

  21. Baster-Brooks, C., Baster, T., Exercise and hypertension. Australian family physician, vol. 34, no. 6, pp. 419-424, 2005. 

  22. Santana, H. A., Moreira, S. R., Asano, R. Y., Sales, M. M., Cordova, C., Campbell, C. S., Espindola, F. S., Sposito, A. C., Nobrega, O. T., Simoes, H. G., Exercise intensity modulates nitric oxide and blood pressure responses in hypertensive older women.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25, no. 1, pp. 43-48, 2013. DOI: https://doi.org/10.1007/s40520-013-0017-x 

  23. S. H. Lee., H. S. Kang., Effects of two different intensities of acute exercise on insulin sensitivity. Exercise science, vol. 17, no. 4, pp. 391-400, 2008. 

  24. Hernandez-Torres, R. P., Ramos-Jimenez, A., Torres-Duran, P. V., Romero-Gonzalez, J., Mascher, D., Posadas-Romero, C., Juarez-Oropeza, M. A., Effects of single sessions of low-intensity continuous and moderate-intensity intermittent exercise on blood lipids in the same endurance runners. Journal of Science and Medicine in Sport, vol. 12, no. 2, pp. 323-331, 2009. DOI: https://doi.org/10.1016/j.jsams.2007.12.002 

  25. D. H. Park., Y. J. Kim., K. H. Kim., Seeking Optimal Acute Exercise Intensities Based on the Blood Lipid and Inflamm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2, no. 2, pp. 1813-1824, 2011. DOI: https://doi.org/10.24985/kjss.2011.22.2.1813 

  26. H. C. Cho., D. J. Kim., The Changes of Acute Moderate Aerobic Exercise Time on Serum Lipid, Malondialdehyde and Superoxidedismustase in College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43, pp. 639-650, 2011. 

  27. Womack, C. J., Rasmussen, J. M., Vickers, D. G., Paton, C. M., Osmond, P. J., Davis, G. L., Changes in fibrinolysis following exercise above and below lactate threshold. Thrombosis Research, vol. 118, no. 2, pp. 263-268, 2006. DOI: https://doi.org/10.1016/j.thromres.2005.06.016 

  28. Lamprecht, M., Moussalli, H., Ledinski, G., Leschnik, B., Schlagenhauf, A., Koestenberger, M., Polt, G., Cvirn, G., Effects of a single bout of walking exercise on blood coagulation parameters in obese wome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15, no 1, pp. 57-63, 2013. DOI: https://doi.org/10.1152/japplphysiol.00187.2013 

  29. Cooper, J. A., Nagelkirk, P. R., Coughlin, A. M., Pivarnik, J. M., Womack, C. J., Temporal changes in tPA and PAI-1 after maximal exercis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6, no. 11, pp. 1884-1887, 2004. DOI: https://doi.org/10.1249/01.MSS.0000145447.61736.ED 

  30. Weiss, C., Seitel, G., Bartsch, P.,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after moderate and very heavy exercise in healthy male subjec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0, no. 2, pp. 246-251, 1998. DOI: https://doi.org/10.1097/00005768-199802000-00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